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기후변화정책 수용도의 결정요인 분석 :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Climate Policy: Focusing on the Youth of Seoul Special City
서울시 거주 20-30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정민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변화위험인식정책수용도기후변화정책위험소통Climate changeRisk perceptionPolicy acceptanceClimate policyRisk communicationYouth studi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 2. 윤순진.
Abstract
성공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정책설계는 물론 정책 수립과 시행 과정에서의 국민의 지지와 적극적 참여 확보가 중요하다. 특히 시민참여형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인식과 정책지지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높은 기후변화인식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1%가 넘는 58개국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성과지수(CCPI)에서 매우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인식과 대응행동 간 비일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조사결과 20-30대의 기후변화 심각성 인식과 체감 수준이 낮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들의 기후변화인식에 대한 추가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의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기후변화정책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위험인식 모형에서 인지적 요인인 기후변화 실재 믿음과 세부 재난-기후변화 연관성 인식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가치적 요인인 물질주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책수용도 모형에서는 세부 재난-기후변화 연관성 인식과 정부신뢰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후변화에 대한 부정적 감정 또한 정(+)의 영향을 미쳐 정책수용판단에 있어서 감정 휴리스틱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사실에 기반해 기후변화 실재와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위험소통의 필요성과 청년층의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정책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상기후현상 위주로 이해되어 온 기후위험에 신종감염병(covid19)을 포함해 기존 기후위험의 개념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wher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high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n Korean society and the low level of responsive actions to mitigate climate change came from.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th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acceptance level of climate policy of the youth, given the especially low level of climate awareness of the 20s and 30s in Korea. To explore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se two dependent variables, we used a social-psychological model of climate risk perception containing cognitive, experiential, and socio-cultural factors. The conceptual model is tested empirically on a sample (N=172) of the 20s and 30s who lives in the city of Seoul, Korea. Results indicate that climate risk perception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ognitive factors(belief in climate change,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and cultural factor(materialism). Meanwhile, the acceptance of climate policy model showed cognitive factor(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disaster and climate change), experiential factor(affect), and trust in government as significant factors with positive effects on acceptance of climate policy. Direct experience of climate disaster(heavy rain, heatwave, and Covid19(as an example of contagious diseases), which was expected to enhance the risk perception and policy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by shortening psychological distance on climate change, was identified as a non-significant factor in both analytic structur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enhancing the risk perception and policy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regardless of types of disaster.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ublic risk communication a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