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동학대 대응체계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 Policy Network Analysis of Child Protection Respons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현민

Advisor
나종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동학대정책네트워크정책집행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2.2. 나종민.
Abstract
최근 들어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기관인 경찰과 지자체 그리고 민간기관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아동학대 대응체계를 재정립하였다. 국가가 더 이상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비극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국부주의(國父主義)적인 태도로 정책을 다수 입안하였다. 지금까지 개편된 정부 조직과 정책을 고려하여, 아동학대 대응체계를 피해아동 조기발견, 가 · 피해자 분리, 피해아동 피해회복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집행 단계의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아동학대 대응체계 세부 단계의 효과성을 각각 검증하고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현시점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할 때 단순히 예산과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보다, 참여자들 간 상호작용의 내용과 성격 및 정책네트워크의 구조적 효율성에서 문제점을 찾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문제지향적 거버넌스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정책네트워크 분석의 연구방법론으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정책사례연구 및 심층면접을 활용하였다. 정책네트워크의 개괄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에 등록된 정책자료에 기반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책사례연구를 통해 아동학대 대응체계와 관련된 주요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심층면접을 진행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의 아동학대 대응체계 사례를 선정하여 정책네트워크의 주요 참여자인 용인동부경찰서 중앙지구대 경찰관 5명, 용인동부경찰서 여성청소년과 경찰관 2명, 용인시청 아동보호팀 소속 직원 1명, 경기용인아동보호전문기관 소속 직원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정책집행 현장에서의 참여자들 간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세부 단계별로 상기 연구방법을 적용한 결과, 아동학대 대응체계가 국가의 기획 의도대로 집행되고 있지 않은 모습의 근거를 다수 발견하였다. 피해아동 조기발견 정책네트워크에서는 보유한 자원이 희박한 참여자부터 네트워크에 먼저 참여하기에 조기발견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어 피해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밝혀냈다. 가 · 피해자 분리 정책네트워크에서는 국가가 분리를 보호보다 강조한 결과, 정책집행 단계에서 피해아동이 경험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피해아동 피해회복 정책네트워크에서는 실질적인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시청 아동보호팀과 형성한 상호작용의 성격으로 인해, 사례관리 서비스가 질적으로 개선되지 못하는 실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모두 취합했을 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피해아동을 기준으로 행정 데이터와 형사사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참여자들 간 상호작용의 양상이 분쟁적이거나 협상적이지 않고 협력적일 수 있도록 공동의 목표의식을 함양하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re-established the Child Protection Response system, focusing on the roles of the national police,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specializing in child protection. The government has enacted a number of policies so as to actively prevent the tragedies of child abuse. Consider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policies that have been re-organized so far, the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3 stages: Detection · Separation · Recovery. In this paper, the effectiveness of each detailed stage of the child protection response system was examin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policy network analysis at the policy execution stage. Especially,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paper confirmed the feasibility of Problem Oriented Governance. Specificall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hild abuse response system is successfully identified by the results of policy network analysis which emphasize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and the structural efficiency of the network rather than simply explaining that it is due to a lack of budget and manpower.
As for research methodologies of policy network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policy cas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olicy network, a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olicy data listed on the Korean Policy Briefing website. And major policies regarding each stage of the system were examined through policy case studies. Also, a case of Yong-in city was selected to conduct policy case researches and in-depth interview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police officers from the police precinct of Yong-in, 2 APOs(Anti-abuse Police Officer) from the police station of the east part of Yong-in, 1 local government officials from child protection team, 2 employee from child protection agency of Yong-in.
As a result, a lot of evidence was found that the child protection response system is not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by the government. In the Detection stage, since participants with fewer resources participate sooner, the work is carried out inefficiently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victim. In the Separation stage, we can take a look at some problems which is caused by an attitude of participants focusing on separation rather than protection. In the Recovery stage, it was proved that the quality of case management impoverished due to the nature of the vertical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protection agency responsible for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child protection team. Lastly, in terms of common solutions, computerized system which consolidates all the administrative data and criminal justice data of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theres a need for a measure to cultivate a collaborative sense of purpose so that the type of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will more likely to become cooperation rather than conflict or negoti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8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