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Focusing on queer character
퀴어 인물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수현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젠더 구성빈자리인물 이해퀴어소설 읽기 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2.2. 윤대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process of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a character and to present specific educational pla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gender of character in novel reading.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der of a character as an essential factor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It aims to devise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focusing on the ambiguity inherent in the gender.
Character is a critical element in the interpretation of novels, and even within literature education, novel education centered on characters has been discussed a lot. However, understanding a person is mainly based on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gender has no more meaning than one piece of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 However, even if the reader is not aware of it, the gender of the charact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which is essentially not transparent. Therefore, the gender of the character is not simply treated as a matter of fact judgment but needs to be an object of inquiry.
This study, citing Judith Butlers discussion, identified gender as uncertainty constructed of several signs. In addition, referring to Wolfgang Isers concept of blank, tried to discover a gender of character as a blank that has not functioned as such so far. The blank in text is an uncertain place in the novel that needs to be discovered and filled by the reader during the reading process. The blank also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Therefore, discovering the gender of a character as a blank makes it possible for the reader to interact more actively with the text filling the blank of gender and using the gender as a resource for text interpretation.
In the end, reading a novel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can be defined as a reading that discovers new meanings of the text by finding the gender of the character as blank in the novel and filling it out.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such gender construction through queer characters because queer characters whose gender is vague reveal the contradictions in the gender of character more directly. Through these queer characters, the learning reader will reflect again on gender that has been accepted as a fact without doubt and further, recognize the meanings newly discovered through gender construction for standard novels.
Specifically, this study sets the process of reading novels through the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was set as 1) perception of ambiguity of gender of character 2)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3) appropriation of the text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Based on this, the learning readers interpretation text and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readers performed gender construction through this steps. The learning reader first recognized the ambiguity of the gender of a character, complained of difficulties, or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is ambiguity. The perception of ambiguity of gender naturally led the reader to construct the gender of the character. In this process, conventional wisdom and reflective reasoning work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is process of gender construction allowed readers to reflect on the personal and social perceptions of gender, showing the possibility of re-meaning the text.
However, the limitations were also revealed in the learning readers reading process. Education plans were suggested as a supplement to each limitation of process that overlooks the ambiguity of characters gender, reproduces fixed gender perception, and derives conventional lessons through disregarding of gender.
Specific educational goals were to enhanc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character in novel reading, foster awareness of gender in a constructional point of view, and expand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reflection on humans. There are thre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i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gender, understand of non-fixed gender through queer character, re-meaning of the tex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haracter. Specific methods to realize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presented as comparison of representation and reading patterns of characters according to gender,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through describing gender signs, and interpretation through segmental reading and sharing contents of interpre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expanded the scope of character interpretation and diversified the method of reading novels by using gender of character as a new resource for character interpret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new educational plan called gender construction to promote the active reading of learning readers, as it newly discovers the gender of character as a blank. Through this, learning readers will broaden their human understanding and have a new opportunity to appropriate novels, which will provide meaningful literary experiences to themselves.
본 연구는 소설 읽기에서 인물의 젠더에 주목하여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개념과 과정을 밝히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물의 젠더를 인물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파악하며, 젠더에 내재한 모호성에 초점을 맞춰 젠더를 구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인물은 소설 해석에 있어 핵심적 요소로서 문학교육 내에서도 인물 중심의 소설 교육은 많이 논의된 바 있다. 그러나 이때 인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주로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젠더는 인물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정보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했다. 그러나 인물의 젠더는 본질적으로 투명하지 않으며 독자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인물 해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때문에 젠더는 단순히 사실 판단의 문제로 취급될 것이 아니라 탐구의 대상으로 새롭게 발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디스 버틀러(Butler. J.)의 논의를 인용하여 젠더를 여러 표지들에 의해 구성되는 불확정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볼프강 이저(Iser. W.)의 빈자리 개념을 참조해 지금까지 빈자리로서 기능하지 않았던 인물의 젠더를 빈자리로 새롭게 발견해내고자 했다. 텍스트의 빈자리는 독서 과정에서 독자에 의해 발견되고 채워지는 소설의 불확정적인 간극으로서 텍스트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인물의 젠더를 이러한 빈자리로 발견하는 것은 독자가 젠더를 텍스트 해석의 자원으로 삼아 젠더라는 빈자리를 채우는 과정에서 텍스트와 보다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란 인물의 젠더를 소설의 빈자리로서 발견하고 그 빈자리를 채워나가는 과정에서 텍스트의 새로운 의미들을 발견하는 읽기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퀴어 인물을 통해 이러한 젠더 구성의 가능성을 발견해보고자 했는데, 젠더가 모호하게 재현된 퀴어 인물의 경우 인물의 젠더 안에 존재하는 균열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학습 독자는 이러한 퀴어 인물을 통해 인물의 젠더에 대해 다시 성찰하게 되며, 나아가 기존의 소설들에 있어서도 젠더 구성을 통해 새롭게 발견되는 의미들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의 과정은 1) 인물 젠더의 모호성 인식 2) 인물의 젠더 구성 3)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텍스트 자기화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 독자의 해석 텍스트와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학습 독자들이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젠더 구성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독자는 먼저 인물 젠더의 모호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이러한 모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젠더의 모호성에 대한 인식은 자연스럽게 독자가 인물의 젠더를 구성하도록 이끌었는데, 이 과정에서는 사회적 통념과 반성적 추론이 동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젠더 구성의 과정은 독자가 개인적, 사회적 젠더 인식을 성찰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를 재의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학습 독자의 읽기 과정에서는 한계 양상 역시 함께 드러났는데, 각각의 단계에서 인물 젠더의 모호성을 간과한 경우, 고정적 젠더 인식을 재생산한 경우, 젠더의 무화를 통해 관습적 교훈을 도출한 경우의 세 가지 양상을 한계로 파악해 이에 대한 보완으로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교육의 목표로는 소설 읽기에서의 인물 독해 능력의 신장과 구성적 관점에서 인물 젠더에 대한 이해의 함양, 그리고 인간에 대한 성찰을 통한 타자 이해의 확장을 이야기하였고, 이를 위한 교육의 내용을 인물과 젠더의 관계 인식, 퀴어 인물을 통한 비고정적 젠더 이해, 인물 이해를 통한 텍스트 재인식의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교육의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는 젠더에 따른 인물의 재현 및 독해 양상 파악, 젠더 표지 기술을 통한 인물의 젠더 구성, 분절적 읽기를 통한 텍스트 재해석 및 해석 내용의 공유를 제시하였다.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는 인물의 젠더를 새로운 해석의 자원으로 삼아 인물 해석의 폭을 넓히고 소설 읽기의 방법을 다양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는 인물의 젠더를 텍스트의 빈자리로 새롭게 발견하여, 학습 독자의 능동적 읽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젠더 구성이라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덧붙여 이를 통해 학습 독자는 인간 이해의 폭을 넓히고 소설을 자기화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게 되며, 이는 학습 독자에게 유의미한 문학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3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4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