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유로운 붓질을 통한 차용된 그림의 추상적 표현 연구 : A Study on Abstract Expression of the Appropriated Paintings through the Application of Liberal Brushstrokes : Based on My Works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길해연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붓질추상화색 면구성그리는 행위명화의 참고무시간성얽힌 구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2.2. 임자혁.
Abstract
When I am painting, I place more emphasis on formal elements rather than its contents. In particular, I am interested in colors and their compositions, which are expressed through unrestrained and liberal brushstrokes in my work. I recognize objects, landscapes, and digital images as a plane of color void of details, using them as the subject matter of a painting. In doing so, I came across Heinrich Wölfflins and was inspired to use paintings, especially figurative ones, in art history as a reference for my own work. When I look at old paintings, I pay close attention to how formal elements of a painting, such as colors, composition, and movements are revealed, rather than the detailed depiction of the figures outfit or the background. When I look on the internet to find a reference painting, I encounter paintings across all era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urrent world is characterized by its atemporality in which all eras seem to exist at once. Because I have been naturally exposed to such a state, I am used to using the internet on an everyday basis without any qualm in selecting reference paintings regardless of which era they were made, perceiving individual paintings instead of classifying them based on the time of their creation. Also, I often experience paintings as a digital image on my screen rather than a physical object in a real space due to developments in the internet and digital devices. A painting loses its physical depth and materiality when digitized, its visual information altered or completely disrupted. By tracing the brushstrokes or textures of paint applied on canvas, I speculate what the original painting would have been and bestow materiality to the flat image captured on screen to make it real and tangible once again.

I purposefully omit details of a reference painting so that only the composition of a color that spreads across the canvas and brushstrokes are left in the final work. In my work, I use a flat background brush or a fanbrush to effectively reveal brushstrokes that highlight the materiality of paint and gestures. In the process, details of the original image as well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gure and the background disappear. What was once a figurative painting now becomes abstract as the outlines become blurred. In addition, I make lines using round filbert brushes to show subtle colors that are not pronounced in the original painting, gestures and movements implied by the brush marks, and the trajectory of my vision across the reference painting. When I use lines, I make dynamic movements in a painting by elongating static brushstrokes, recalling my experience with bold, gestural painting style. Line is used as a method that realizes the potential of an implicit movement inside formal elements of a painting. By blurr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bstracted color plane and lines, I create an intertwined structure where formal elem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n organic manner. To make sure not one particular area is more noticeable than the rest, I jumble the layers of paints in my work. A digitized art historical painting is then transformed into a dynamic painting as it regains materiality and size in the process of making intertwined structure through a use of quick, bold brushstrokes and extraction of color based on lines. By giving depth and dimension, I transform a flat image to a painting, emphasizing what could be generated through daring brushstrokes and application of paint.
나는 그림을 그릴 때 내용보다 형식에 주목한다. 그중에서도 나는 색과 색의 구성에 관심을 가지며, 이를 자유로운 붓질을 통해 표현하기 위한 그림을 그려왔다. 나는 사물이나 풍경, 디지털 이미지 등을 세부 사항이 제거된 색 면의 구성으로 인식하며 이를 그림의 소재로 사용해왔다. 그러던 중 하인리히 뵐플린(Wölfflin, Heinrich)의 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미술사에 등장하는 그림을 소재로 삼게 되었다. 나는 여러 점의 명화 중 구상적인 그림을 소재로 삼는다. 이때 나는 인물의 옷, 배경 등의 세부 묘사보다 색이나 구성, 운동감 등 시각적으로 드러난 상태에 주목한다. 나는 참고할 그림을 고르기 위해 검색하는 과정에서 여러 시대의 그림을 동시다발적으로 접한다. 현재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모든 시대가 동시에 공존하는 무시간성(atemporality)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는 인터넷이 발달한 환경이 익숙하며, 이를 자연스럽게 접해왔기 때문에 여러 시대의 그림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다. 이에 따라 나는 시대적인 분류에 얽매이지 않고 개별 그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나는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미술관에 있는 실제 그림보다 픽셀 화면을 통해 더 많은 그림을 경험한다. 그림은 디지털화 과정을 거치며 두께와 물성을 잃으며, 이때 그림의 시각적인 정보는 소실되거나 변형된다. 나는 두께를 잃은 붓 자국이나 물감의 질감의 흔적을 보며 원본을 추측하고, 화면 속의 이미지에 다시 물성을 부여해 실재하는 것으로 만들고자 한다.
나는 그림에서 색 면의 구성과 붓질만을 남기기 위해 참고하는 그림의 세부 사항을 지워 단순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나는 물감의 물성과 그리는 행위가 강조된 붓질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납작한 배경 붓이나 부채꼴 모양의 팬 붓을 사용하여 빠르게 칠한다. 붓질로 인해 참고하는 그림에 있던 인물, 배경 등 역할의 구분은 사라진다. 이에 따라 그림에 있던 뚜렷한 외곽선이 사라지면서 구상적인 그림은 추상화된다. 또한, 나는 그림에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물감이나, 붓 자국에서 드러난 움직임, 참고하는 그림을 보는 나의 시선을 드러내기 위해 둥근 평 붓으로 선을 긋는다. 나는 선을 사용할 때 과감하게 붓질을 하던 나의 경험을 떠올리며 정적으로 보이는 붓 자국을 길게 늘여 그림을 역동적으로 만든다. 이때 선은 그림의 조형 요소 안에 잠재된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나는 정보가 지워진 색 면과 선이 칠해진 선후관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캔버스 화면 내의 조형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얽힌 구조를 만든다. 내용이 묘사된 가장 겉의 칠이 벗겨질 때 아래에 쌓여있던 물감의 층이 드러난다. 이때 어느 특정한 부분이 도드라지게 앞서 나와 다른 영역과 분리되지 않도록 물감의 층을 뒤섞는다. 디지털화된 미술사 속 그림은 과감하고 빠른 붓질과 선을 사용한 색의 추출, 얽힌 구조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성이 부여되고, 크기가 확대되며 역동적인 그림이 된다. 나는 납작한 이미지를 그림으로 바꾸면서 대담한 붓질과 물감으로 인해 무엇이 생기는지를 강조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