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설적 논쟁(Constructive Controversy)을 활용한 도덕과 논술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Using Constructive Controvers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혜진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덕과논술건설적논쟁도덕과수업도덕과평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2. 8. 정창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mitation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moral essay writing and to present ways to improve moral essay writing by utilizing David Johnson's constructive controversy. Moral education is a subject that makes students think about how to live in various life context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apply it to their lives. Through this, it aims to cultivate moral humans and righteous citizens. In particular, in order to live as a moral human being and a just citizen in a pluralist societ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solve the inevitable value conflict, and essay writing has been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This is because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expresses one's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moral perspectives, adjusts opinions, and reflects on individual values.
Research on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explosively between 2007 and 2009, when integrated essay writing became a hot topic, and various measures were proposed to apply essay writing to the educational field. In particular, the thesis on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round situations where values are at odds, and 'discussion' has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essay classes. This is because the process of controversy in the debate has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the topic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ritically reviewing individual opinions. However, in the study of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there was no suggestion of organically linking discussion and essay writing by focusing too much on the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essay writing. In addition, as a result of not considering specific evaluation plans or evaluating only the final essay,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writing could not be evaluated.
In this study, 'constructive controversy' was used to improve these limitations. Constructive controversy is a form of debate in which opposing debaters present and coordinate their opinions to seek common problem-solving solutions. Constructive controversy places importance on the experience of adopting a different position from that of the process of argument and suggests specific measures to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pponents with opposing positions. In addi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debaters to review and reflect on their initial positions in the process of synthesizing the process of argumentation and finding alternatives. Constructive controversy is not only a theory, but it has been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s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verified several times. This constructive controversy theor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moral interpersonal, and ethical reflection capabilities through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and can provide new ideas for improv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moral essay writing.
Using this constructive controversy, the following instruc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irs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ents of the essa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adoption of perspective by applying a discussion using a constructive controversy struc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operative context when activating perspective adop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o reflect on the student's life by synthesizing the content of the argument. In addition, in terms of evaluation, it was argued that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ssessment as learning' should be made so that the cooperative context emphasized in the constructive controversy can be maintained throughout the class. In order to apply this to evaluation, it was proposed to use analytical scoring metrics that could serve as feedback for students and to activate descriptive feedback that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students' learning.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and then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Accordingl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was reviewed to present the criteria to be used when selecting the thesis in the moral essay class, and examples of the thesis that can be used in clas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ontent system table of middle school morality in the 2015 revised moral curriculum. Next,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essay classes using constructive controversy was embodied in six stages to present an instructional model, and an analytical scoring standard table applicable to each stage of the class was produced. Finally, an example of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 and evaluation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was presente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role that moral teachers should play in conducting actual classes and evaluations in the fiel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the model. Specifically, moral teachers should play a role in forming an essay learning structure using constructive controversy and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morality by becoming a role models as a constructive debate on their ow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possibility that constructive controversy can improve essay writing in moral education, and suggests a specific teaching and evaluation model. However, it showed limitations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to help students develop morality. This is a point to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research,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view how essay writing using constructive controversy affects students' morality. Subsequent research should focus on diversifying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model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oral instruction and assessment.
본 연구는 도덕과 논술 수업 및 평가의 한계를 모색하고, 데이비드 존슨(David Johnson)의 건설적 논쟁(Constructive Controversy)을 활용하여 도덕과 논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덕과는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하고 이를 삶에 적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과로 이를 통해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을 양성하고자 한다. 특히, 다원주의 사회에서 도덕적 인간, 정의로운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치 갈등을 해소하는 역량을 함양해야 하는데, 도덕과 논술은 이를 위한 효과적 방안으로 여겨져 왔다. 도덕과 논술은 가치적 갈등 상황에서 도덕적 관점을 고려해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의견을 조정하며, 일련의 사고 과정을 거쳐 개인의 가치관을 성찰하는 교수학습방안이기 때문이다.
도덕과 논술에 대한 연구는 통합 논술이 화두가 된 2007~2009년 사이에 폭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에 도덕과 논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특히, 도덕과 논술은 교과의 특성상 가치가 대립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논술 수업을 위한 효과적 교수학습방안으로 토론을 제시해왔다. 토론에서 이루어지는 논박의 과정이 다양한 관점에서 논제를 이해하고 개인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덕과 논술 수업에 대한 연구에서는 논술의 과정에서 토론에 지나치게 집중하여 토론과 논술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논술을 수업에 활용할 때 구체적 평가 방안을 고려하지 않거나 최종 논술문만을 평가하는 결과 중심적 평가를 채택하여 논술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교육적 성취에 대해 평가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덕과 논술 수업 및 평가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건설적 논쟁을 활용하고자 했다. 건설적 논쟁은 논쟁적 주제로 대립하는 논쟁자들이 공동의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상호 간 의견을 제시하고 조정하는 논쟁의 한 방식이다. 건설적 논쟁은 논박의 과정에서 나와 다른 입장을 채택하는 경험을 중시하며, 대립하는 입장을 가진 상대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논박의 과정을 종합하여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논쟁자들로 하여금 초기 입장을 검토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건설적 논쟁은 이론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 교수학습 방안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여러 차례 그 효과성이 검증된 바 있다. 이러한 건설적 논쟁 이론은 도덕과 논술을 통해 함양하고자 하는 도덕적 사고역량, 도덕적 대인관계역량, 윤리적 성찰 역량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도덕과 논술 수업 및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적 논쟁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도덕과 논술 수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논술문의 내용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건설적 논쟁 구조를 활용한 토론을 적용해 관점 채택을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관점 채택을 활성화할 때 협력적 맥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논쟁의 내용을 종합하여 학생의 삶을 성찰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평가의 측면에서는 건설적 논쟁에서 중시한 협력적 맥락이 수업의 전 과정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와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를 도덕과 논술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피드백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분석적 채점기준표를 활용할 것과 학생들의 학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언적 피드백(descriptive feedback)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 방향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한 후에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에 국내외 연구를 검토해 도덕과 논술 수업에서 논제 선정 시 활용해야 할 기준을 제시하고,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중 중학교 도덕의 내용 체계표를 근거로 수업에 활용 가능한 논제 예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설적 논쟁을 활용한 논술 수업의 과정을 6단계로 구체화해 수업모형을 제시했으며, 수업의 각 단계에 적용 가능한 분석적 채점기준표를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모형 및 평가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 해당 모형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해당 모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에서 실제 수업 및 평가를 진행하는 도덕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 교사는 건설적 논쟁을 활용한 논술 학습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스스로 건설적 논쟁자로서의 역할 모델이 되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도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건설적 논쟁을 활용하여 기존 도덕과 논술 수업 및 평가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제시한 모형이 실제로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지 효과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인다. 이는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지점으로 건설적 논쟁을 활용한 논술 수업 및 평가가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체계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건설적 논쟁이 도덕과 논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인 수업 및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후 연구는 해당 모형을 국내의 교육 환경에 다양하게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집중하여, 도덕과 수업 및 평가 방안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