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연행동의 단계별 심리적 특성 탐구 : Psychological Correlates of Five Procrastination Phases: Development of Procrastination Phase Questionnaire and Procrastination Regulation Program
지연행동 5단계 척도의 개발 및 단계별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효선

Advisor
권석만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연행동꾸물거림미루기행동단계모델지연행동단계척도지연행동조절프로그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2. 8. 권석만.
Abstract
Procrastination, which is defined as unnecessarily putting off the tasks that need to be done, has received tremendous attention from researchers over the past 30 years. Various measures of procrastination were developed accordingly but unfortunately, only a few have been sufficiently validated. Even though procrastination is defined as a lack of self-regul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nes goals, the majority of the measures of procrastination did not consider the dilatory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goal-directed behavior. Therefore, based on the Model of Action Phases (Gollwitzer, 1990),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odel of five action phases of procrastination, and attempt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dilatory behavior in planning, initiating, sustainment, completion, and evaluation phase. Also,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and developed an effective group-based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measure of five procrastination phases. In Study 1-1, preliminary version of the Procrastination Phase Questionnaire (PPQ) was constructed and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clinical psychologists. Three hundred and sevent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PQ,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to determine underlying factor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As a result, planning phas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planning difficulty, planning avoidance) and initiation phase was consisted of a single factor. Also, EFA produced 2 factors for the sustainment phase (discontinuation, sustainment difficulty) and completion phase (completion difficulty, difficulty meeting deadlines), and three factors for the evaluation phase (regret and concern, dis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hopelessness). In Study 1-2, PPQ was validated through data collected from 448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PPQ demonstrated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3-week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mong PPQ,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Scale, Brief Self-Control Scale, and Goal Focused Self-Regulation Scale. Factor structure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purpose of Study 2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ocrastination phase and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Four hundred and eighty fou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asked to complete the measures of impulsivity, perfectionism, tolerance for failure, general self-efficacy, goal-achievement orientation, depression, anxiety, guilt, and shame. The distinct feature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explored through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impulsivity was especially related to procrastination in planning phase, whereas perfectionism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completion procrastination and the negative evaluation of outcome. It is implied that procrastination is greatly affected by personality factors, which makes it fairly stable over time. Low level of tolerance for failure and general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lanning and sustainment procrastination, whereas high level of guilt and shame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High level of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low level of mastery-approach goa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lanning procrastination.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itiation procrastination and personality factors produced a very different result from other procrastination phases. Initiation procrastin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maladaptive aspect of perfectionism, guilt, and shame; also,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general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procrastinators who show dilatory behavior only in initiating phase hold more adap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ose who procrastinate in other action phases as well. The results of Study 2 indicate that the patterns of procrastin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individual, and also imply that procrastinators are more complex and heterogeneous group than previously thought.
In Study 3, a group-based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developed and its therapeutic efficacy was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and 2,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heeran and Webb (2016), which suggests main tasks and problems to be addressed in each action phase. Twenty two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intervention group or waitlist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a 5-week online-based program (2 hour 30 minute-session per week), and both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completed the surveys before the intervention,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rocrastination phas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herapeutic effect last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PPQ, which comprehensively assesses five procrastination phases, was developed and th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each procrastination phase was explored. Also,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targets each procrastination phas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지연행동은 해야 할 일을 불필요하게 미루는 행위로서, 목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의 문제라고 정의되지만, 이러한 정의를 충실히 반영하는 타당한 측정도구가 지금까지 부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표 관련 자기조절 이론인 Gollwitzer(1990)의 행동 단계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지연행동이 나타나는 과정을 5단계(계획 단계, 착수 단계, 지속 단계, 완수 단계, 그리고 결과 평가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에서의 지연행동 양상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연행동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지연행동 단계에 개입하는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의 목적은 지연행동 단계 척도(Procrastination Phase Questionnaire: PPQ)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 1-1에서는 기존 지연행동 측정도구의 문항들을 보완하여 적절한 지연행동 단계로 분류하였고, 행동 단계 모델을 잘 반영하는 새로운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 평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함으로써 PPQ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3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지연행동 단계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획 지연은 계획 곤란 및 계획 회피 요인, 착수 지연은 단일 요인, 지속 지연은 지속 중단 및 지속 곤란 요인, 완수 지연은 완결 곤란과 기한 준수 곤란 요인, 끝으로 결과 평가는 후회 및 문제의식, 결과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무기력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1-2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8명을 대상으로 PP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PPQ의 내적 합치도, 3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으며, Aitken 지연행동 척도,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와의 상관분석 및 부분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공존타당도도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각 지연행동 단계의 심리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484명을 대상으로 각 지연행동 단계와 다양한 성격적(충동성, 완벽주의), 인지적(실패에 대한 내성, 일반적 자기효능감), 동기적(성취목표지향성), 정서적 변인(우울, 불안, 죄책감, 수치심)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 및 부분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충동성은 대부분의 지연행동 단계와 관련이 있었지만 특히 계획 지연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완수 지연과 결과 평가는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요인인 행동에 대한 의심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지연행동은 성격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낮은 수준의 실패에 대한 내성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계획 지연 및 지속 지연과, 우울 및 불안은 계획 지연 및 완수 지연과, 그리고 죄책감과 수치심은 결과 평가와 더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높은 수준의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지향성 그리고 낮은 수준의 숙달접근지향성은 계획 지연과 관련되어 있었다. 한편 착수 지연과 다양한 심리적 변인 간의 부분상관분석 결과, 충동성과 완벽주의의 부적응적인 특징, 죄책감, 수치심 등과는 부적 상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착수 지연만 보이는 사람들은 적응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도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지연행동 양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지연행동가들이 생각보다 매우 복잡하고 이질적인 집단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3에서는 각 지연행동 단계에 골고루 개입하는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과 2의 결과, 그리고 각 행동 단계에서 다뤄야 할 주요 과제와 문제에 대해 정리한 Sheeran과 Webb(2016)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 집단은 13명이었으며, 프로그램 전(사전),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추후) 설문조사에만 응한 무처치 대기 통제 집단은 9명이었다. 5주 간(매주 1회, 2시간 30분) 온라인으로 지연행동 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지연행동 수준을 비교한 결과,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모든 행동 단계에서 지연행동 수준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지연행동의 다섯 단계를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인 PPQ를 개발했다는 점, 지연행동 단계별 심리적 특징을 탐색했다는 점, 그리고 각 지연행동 단계에 효과적으로 개입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0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4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