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유민의 제사활동 연구 : 明遺民的祭祀活動研究:以朝宗巖大統廟为中心
조종암대통묘(朝宗巖大統廟)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서민

Advisor
최종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종암(朝宗巖)대통묘(大統廟)명유민(明遺民)구의사(九義士)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종교학과, 2022. 8. 최종성.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acrificial rites practiced among the people of Ming Dynasty who moved to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九義士), the migrants from Ming, came to Chaozongyan and constructed the Datong Temple(大統行廟) and Jiu Yishi Temple(九義行祠) in order to worship Emperor Hongwu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nd Nine Righteous Literati.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ritual activity of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is viewed as a dynamic process rather than a static one,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perio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While focusing on the specific processes of the sacrificial rites, this paper will consider the overall contexts of socio-economic circumstances that render these activities possible.
Chapter 2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the sacrificial rites and the modifications of their processes in various ways. From 1831 to 1934,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held a memorial service to Emperor Hongwu in lunar calendar January 4th every year (the founding day of the Ming Dynasty) and to Nine Righteous Literati two days later (January 6th). When the rite was resumed in 1958, it was expanded to hold ancestral rite for Emperors Shenzong and Yizong in addition to Emperor Hongwu, and the date of the rite was also changed to January 4th in the lunar calendar. After the Datong Temple was established in 1980,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and Korean Confucians decided to add Joseon Confucians to the ritual list and to change the ritual date to March 19th (the day when the Ming Dynasty was collapsed). As a result, the sacrificial rites in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today are practiced for the sake of the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Joseon Confucian scholars, and Nine Righteous Literati altogether.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ritual forms and processes are clearly linked to the historical evolution with regard to the meanings and values that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has contemplated and nourished within its own socio-economic contexts. Consequently,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began in 1831 the sacrificial rites to celebrate the great unification of the Ming Dynasty and to express their gratitude to the Ming Dynastic in memory of the noble virtues of the Emperors and ancestors. Since the sacrificial rites in 1958 have been restored in such a way that Joseon Confucian scholars are also worshiped along with the Ming Emperors, the meaning of the rituals can be reinterpreted not only as a token of the Korean spirit of the independent nationality but also as the representation of honoring the civilian and condemning the barbarian.
Chapter 3 pays attention to the economic bases and contexts of the sacrificial rites.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in the economic demands for the rituals: 1) the costs of preparing for the rituals; 2) the costs of purchasing a property; 3) the cost of building ritual space and its maintenance.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the descendant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bear the costs for the rites on their own since 1831. They constantly asked the government for support and attempted to provide the necessary expenses for purchasing the ritual properties. Gradually, they had to largely rely on the donations from the Korean Confucian communities. At last, these economic circumstances impacted upon the actual forms of ritual practices. On the one hand, when the descendants paid the entire cost of the rites without any other sponsorship, the ritual scale was quite small and limited while the main performers in the rites were the very descendants. On the other hand, however, as the economic support of the Korean Confucian communities increased, the scale of the rites became much larger whereas the descendants no longer enjoyed their exclusive roles and centripetal powers in the performing their rites.
Chapter 4 explores the gradual process of forming a social network related to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Due to the special identity of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as migrants from Ming Dynasty,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are essentially intertwined with 1) Nine Righteous Literatis descendants; 2) governmental officials; 3) Korea confusion scholars. Such an interpersonal network has been maintained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and even developed in the form of a special group, which is much closer social network than those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the ritual activities of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played a social role as a medium,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 descendants to envision the ideal that would overcome a variety of the crises or predicaments in reality without losing their interpersonal connections. In addition, these ritual activities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get together on a regular basis and thereby safeguarded a sense of community as a migrant group from Ming Dynasty, which was also recognized by Joseon Dynasty and Korea society.
At the beginning,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began to worship Emperor Hongwu and their ancestors in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Now they also worship Joseon Confusion scholars and Nine Righteous Literati along with other Emperors, such as Shenzong and Yiz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took advantage of Confucianism to justify their ancestral rituals so as to confirm their identity of Ming loyalists that Joseon society also recognized and confirmed as one of types of Chongming Sanyi(崇明三義).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fact that the Joseon Confusion scholars are added to the ritual list shows that the sacrificial rites can be redefied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spirit of the independent nationality.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as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began to intervene the ritual activities, the power of influence of the descendants in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has weakened.
In conclusion, the sacrificial rites in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can be a differentiation strategy employed by the descendants of Nine Righteous Literati to recognize their specific identity and buttress their socio-economic status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Korean society. This paper scrutinizes the ritual activities in the Datong Temple of Chaozongyan by means of inquiring into their socio-economic contexts upon which they are based. Hopefully, this study is not only valuable as a case study of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migrant groups in Korean, but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cholarship relevant to migrants from Ming Dynasty and Joseon Junghwa Ideology.
본 논문은 조종암대통묘를 중심으로, 조선으로 이주해온 명나라 유민의 제사활동을 총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조종암대통묘 제사는 명유민인 구의사의 후예가 조종암에 대통행묘(大統行廟)와 구의행사(九義行祠)를 만들고, 명 태조와 구의사에게 올리던 의례 전통을 가리킨다. 본 논문에서는 조종암대통묘 제사활동을 하나의 정적인 행위보다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볼 것이며, 시간적으로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기간을 주목할 것이다. 제사의 구체적인 진행방식을 주목하되, 의례행위를 가능하게 한 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네트워크도 함께 고려하여 제사활동의 전반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에 2장에서 먼저 의례의 정립과정과 양식의 변화를 확인할 것이다. 1831년부터 1934년까지 구의사의 후손들은 해마다 음력 1월 4일(명나라를 세운 날)에 선황인 명 태조에게 제사를 지내고, 이틀 뒤(1월 6일)에 선조인 구의사에게 제사를 지냈다. 1958년 제사를 다시 시작했을 때 명 태조 외에 명 신종과 명 의종을 같이 제사 지내는 것으로 확대되었고, 제사 날짜도 음력 1월 4일에 같이 지내는 걸로 변경되었다. 1980년 대통묘가 완공된 후, 구의사의 후예와 유림들이 함께 상의하여 한국 유림을 배향 대상으로 추가하였고, 의례일도 음력 3월 19일(명나라가 망한 날)로 변경하였다. 따라서 오늘날의 조종암대통묘 제사는 명나라의 황제, 조선의 명유, 구의사를 함께 제사하는 복합적인 형식으로 자리잡았다. 의례의 변동은 조종암 대통묘 제사의 의미와 가치의 변동과도 연동될 수밖에 없다. 1831년 구의사의 후손들이 조종암대통묘 제사를 시작한 목적은 명나라를 대일통의 상징으로 강조하고, 선황과 선조의 숭고한 덕행을 추모하면서 명나라에 보답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데 있었다. 1958년에 단절되었던 의례를 복향한 후 한국의 명유들을 추가함으로써 제사의 의미가 존화양이의 체현뿐만 아니라 외적에 대항하는 독립정신의 발로로도 재해석되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의례의 의미를 표출하게 하는 경제적 기반에 대해 주목한다. 조종암대통묘 제사와 관련된 경제적 수요는 크게 1) 제사를 지내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 2) 토지를 구입하는 비용, 3) 제사공간을 짓고 유지하는 비용 등으로 구분되었다. 1831년에 제사를 시작한 이래로 구의사의 후손들은 스스로 의례의 비용을 부담하면서도 의례적 후원을 얻기 위해 정부나 유림계를 향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의례에 필요한 경제적 비용을 어떻게 마련하고 어떠한 후원자들이 동참하느냐에 따라 의례의 성격과 기능도 변모할 수밖에 없다. 구의사의 후손들이 제사의 비용을 스스로 감당했을 때에는 의례의 규모도 작았고 의례의 주체도 구의사의 후손들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한국 유림들의 경제적 지원이 많아지면서, 의례의 규모가 커지긴 했지만 구의사 후손들만의 의례적 구심력과 배타적 정체성은 다소 누그러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조종암대통묘에 관련된 사회적 네트워크의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조종암대통묘 의례는 구의사와 그의 후손들이 지닌 이민자 신분의 특수성 때문에 1) 구의사의 후손, 2) 정부관원, 3) 유림 등이 서로 연동된 사회적인 네트워크 속에서 운영되었다. 이러한 인적 네트워킹은 조선 시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고, 심지어 단체의 형식으로 확장되면서 조선말기에 비해 훨씬 긴밀한 사회적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종암대통묘 제사활동 자체가 하나의 매개체로서 사회적 역할을 발휘하였다. 조종암대통묘 제사는 구의사의 후손들이 이상과 현실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며, 이 제사활동을 통해 그들이 주기적으로 모일 수 있는 연결망이 구축되었다. 뿐만 아니라 제사활동을 통해 구의사의 후손들간에 명유민으로서의 공동체 의식도 나눌 수 있었고, 당대인들로부터 사회적 지위도 인정받을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조종암대통묘 제사는 처음으로 구의사의 후예들이 조종암에 가서 선황 명 태조와 선조 구의사에게 제사했던 것이었지만, 그 후 많은 조정을 겪어 오늘날 명 삼황(명 태조, 명 신종, 명 의종), 한국구현 및 구의사를 함께 제사하는 방식으로 확정되었다. 조선후기 구의사의 후손들은 자신의 선조를 선황과 함께 제사하는 것을 유교적 명분으로 뒷받침했으며, 황조유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었고, 더불어 이 제사가 숭명삼의(崇明三義) 중 하나가 되어 조선사회의 인정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와, 한국의 명유들을 의례의 대상으로 추가하며, 제사의 의미를 한국독립민족정신의 응결로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한국유림의 지지 및 동참을 이끌어냈고, 명유민으로서의 정체성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유림이 제사에 개입하기 시각하면서 의례대상이 다원화되고 의례주체도 다각화됨에 따라 조종암대통묘의 의례적 정체성과 기능도 복합적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다.
총괄적으로 조종암대통묘 제사는 구의사의 후예가 선택한 하나의 차별화 전략으로서, 조선시대부터 현대사회까지 그들이 명유민이라는 신분을 인정받고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고자 했던 의례적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종암대통묘 의례행위와 이를 뒷받침하는 물적 기반과 인적 토대를 분석함으로써, 명유민의 제사활동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이민단체 제사활동의 한 사례연구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명유민 및 조선중화사상에 관한 논의에 있어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6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