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식기반산업의 입지 결정 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Location Determinant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terprise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미송

Advisor
이영성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이영성.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long-distance communication, software, data, video, and audio made it possible to share and spread knowledge, ideas and led to innovation by industry. As high added value was created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innovation, the full-fledged spread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was achiev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echnological progress has led to the structural chang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rough the advance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types of work such as remote work, non-face-to-face meetings, and virtual offices have emerged. With the disappearance of spatial constraints, companies can fre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production activities.. Recently, as work from home have spread around the world due to COVID-19, arguments about spatial distribution have been gaining more strength.
However, knowledge-based industrial companies began to accumulate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the 2000s. The concentra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the most severe, with 65% of business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06, but increased to 71% in 2019. The policy emphasizes the uneconomy of urban agglomer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ut the actual production activities of companies were center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re were respectively differences in the studies on industriess location, social awareness, and real corporate location patter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y the innovative economy is flocking to the city despite the obvious external diseconomy, such as high property prices, traffic congestion, low secur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location determinants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y,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static influences centered on a specific year. It did not explain the change in location determinants in response to structural changes. In response to the rapid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pecific determinants that are changing the position of companies in the c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ain the location pattern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y that has changed rapidly since the 2000s, variables were organized based on newly grown factors such as diversity and citynes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period to analyze the change in location determin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population, the diversity of population and land use, vertical linkage of the industry, and worker density in industries with high attractiveness showed a influence on the number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sinesses LQ
Ahead of the full-fledged start of Industry 4.0, efforts to attract knowledge-based industrial companies in various forms by region are likely to increase.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location determinant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원거리 통신, 소프트웨어, 데이터, 영상, 오디오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지식과 아이디어의 공유, 확산을 가능하게 했고 산업별 혁신을 이끌었다. 혁신의 상용화를 통해 높은 부가가치가 창출됨에 따라 본격적인 지식기반경제의 확산이 이루어졌다. 기술 진보가 지식기반사회라는 구조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통신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원격 근무, 비대면 회의, 가상 오피스 등의 새로운 방식의 업무 형태가 등장했다. 공간 제약이 사라짐에 따라 기업은 자유롭게 생산 활동의 입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으로 재택근무 방식이 확산함에 따라 기업의 분산에 관한 주장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식기반산업 기업이 집적하기 시작했다. 여러 산업 중 정보통신업의 수도권 집적이 가장 심화하였는데 2006년에는 전체 사업체의 65%가 수도권에 있었지만 2019년에는 71%로 증가했다. 정책 사회적으로는 도시 집적의 불경제, 지역 균형발전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기업의 생산 활동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업 입지에 관한 연구와 사회적 인식, 현실의 기업 입지 양상은 제각각 차이를 보였다.
도시 집적이 높은 부동산 가격, 교통난, 낮은 치안, 환경 오염 등 명백한 외부불경제를 발생시킴에도 불구하고 왜 혁신 경제는 도시로 몰려가는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에도 지식기반산업의 입지 결정 요인 분석을 위한 연구가 상당수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특정 연도 중심의 정태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구조적 변화에 대응한 입지 요인의 변화를 설명하지는 못했다. 산업 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도시에서 기업의 입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요인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급격히 변화하는 지식기반산업의 입지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성, 도시성 등 새롭게 성장한 요인을 중심으로 변수를 구성하고 기간을 구분하여 입지 결정 요인 변화에 관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정보통신업 사업체 수 LQ에 대해 인구 규모와 인구 및 토지이용의 다양성, 집객력이 높은 업종 종사자 밀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본격화를 앞두고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로 지식기반산업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를 통해 지식기반경제를 견인하는 산업 중 하나인 정보통신업의 입지 특성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