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 주거복지 담당직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of Housing Welfare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상인

Advisor
나종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사회자본조절효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2. 8. 나종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affect job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for employees in charge of housing welfare at the regional headquarters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within an organization increas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changes in the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ocial capital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it moderates the effect of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ole ambiguit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and network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the norm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role conflict, but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at it would have a buffering effect, it had showed a synergistic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role ambiguity among the job stressors of housing welfare employee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clear division of duties and roles of employees in charge is needed rather than a symptomatic method such as simple stress management program or complaint handling manual.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and exp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related to housing welfare to induce smooth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reduce monitoring cos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rm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didn'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y themselves, but reinforced the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role conflict. It means that the accumulation of norm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role conflict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various stakeholders (local governments, customers, bosses, etc.) is rather reinforcing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s a street-level bureaucrat who is facing a situation where the norms within the organization interact with role conflict and nega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measures to expand his/her discretion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role conflict to manage the stress of the housing welfare employee, or to promote public service motives such as employee education to use job stress as a driving force for problem solving are required.
In particular, classifying and analyzing 4th and 5th grade staffs which belong to the middle hierarchy in the housing welfare organization and have higher average value of role conflict than other ranks, their norms of social capital a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o meticulous policy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middle-level employees who have to switch their roles in the vertical hierarchy(Vertical Code-Switching) from time to time and experience role conflicts as a result.
This study went one step further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d only studied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and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variable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job stressors and social capital were subdivided into sub-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variable was confirm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it is a study that only targeted employees in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xternal validity of research by broadening the scope of subjects such as other organizations (SH, local public corporations) where housing welfare employees work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Second, as only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are dealt with as job stressors,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expand to more factors.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such as emotional labor factors are also considered to be worth the study. and as the norms, the sub-factor of social capital showed a synergistic moderating effect rather than a buffering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dditional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ole conflict of housing welfare employees and the norms will be needed. Third, as a limitation of research through a survey,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cope of the survey contents is limited. There is room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through interview method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본부의 주거복지업무 담당직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주거복지 담당직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인적관리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변화 등 조직 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조직 내 사회자본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자본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의 하위 요인 중 신뢰와 네트워크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부(-)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하위 요인 중 규범이 역할갈등과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으나, 완충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부(-)의 영향을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복지 담당직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므로, 단순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나 민원응대 매뉴얼 같은 대증적 방법보다는 담당직원들의 직무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업무 분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조직 사회자본 중 원활한 부서간 협조를 유도하고 감시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신뢰의 수준을 높이고 주거복지업무와 관련된 대내외 네트워크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자본의 하위요인 중 규범은 자체적으로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역할갈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지자체, 고객, 상사 등)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과정에서 규범의 축적이 직무만족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 내 규범이 역할갈등과 상호작용하여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일선관료로서, 주거복지 담당직원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하여 역할갈등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재량을 확대하거나, 직무스트레스를 문제해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도록 직원교육 등 공공봉사동기의 진작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주거복지 조직 내 중간 위계에 속하면서 역할갈등의 평균값이 높은 4, 5급과 그렇지 않은 기타 직급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4, 5급 직원의 경우 사회자본 중 규범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직적 위계구조에서 수시로 역할 변환(Vertical Code-Switching)을 해야 하며 그로 인해 역할갈등을 경험하는 중간 위계의 직원들에 대하여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처럼 단순히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자본 변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사회자본을 하위변수로 세분화하여 각 변수별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주거복지 담당직원이 근무하는 타 기관(SH, 각 지방공사)과 지자체 공무원 등 대상의 범위를 넓혀 연구함으로써 외적 타당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 만을 다루고 있어 더 많은 요인으로 확장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감정노동 등 기타 요인도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회자본의 하위요인 중 규범이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완충조절효과가 아닌 강화조절효과를 나타낸 바, 주거복지 담당직원의 역할갈등이 규범과 연결되는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의 한계로서 설문 내용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향후 면접법 등을 통해 심층적인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여지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67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7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