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자살적 자해 경험: 정신과 병동 입원 청소년을 대상으로 : Non-Suicidal Self-Injury (NSSI) Experiences of Inpatient Adolesc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주애

Advisor
최희승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자살적 자해자해청소년정신과입원질적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최희승.
Abstract
2010년 후반에 들어와 우리나라에서는 자해 대유행(self-injury epidemic)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자해가 널리 퍼져 문제가 되어 왔다. 하지만 자해와 관련된 간호학적 연구나 실무 지침, 제도 등이 부족한 상황이다. 더욱이 정신과 입원 청소년은 정신과적 질환을 동반하고 있고 감정조절 능력이 부족하며, 스트레스 상황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왔다는 점 등에서 자해에 취약한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사회 자해 청소년에 비해 심각한 자해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경험해 온 비자살적 자해는 어떠한 지 탐색하여 그 현상을 이해하고 간호 중재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 대상자가 속한 병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받은 후 수행하였고, 2019년 3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 중인 비자살적 자해 과거력이 있는 청소년 9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도출한 20개의 주제를 6개의 범주로 묶어볼 수 있었다. 도출한 범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로 자해에 휘말림, 나의 힘듦을 모두가 알아주었으면 함, 칼 앞에서 요동치는 감정과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실, 터닝 포인트, 상처없이 그대로 간직하고 싶은 몸이 됨, 자해에서 한 발 떨어짐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해의 시작에 영향을 준 요인과 자해의 의미를 알 수 있었고, 자해의 순간에 대한 묘사를 참여자들의 언어로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참여자들이 병원까지 오게 된 여정은 길고도 힘든 시간이었고 치료적 환경은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기회라고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입원 전 자해에 매몰되어 보이지 않던 것들을 입원 후 되돌아볼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입원 치료의 한계점을 언급하였고, 이는 참여자들이 입원 전 기대한 치료의 목표와 병동 현실과의 괴리 및 병동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자해의 시작부터 입원 전까지의 지역사회 환경에서 자해의 보호요인은 무엇이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는 간호 영역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자해의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의 핵심에 가족과 교사가 있으며, 참여자들을 치료까지 이끌어올 수 있었던 부분은 자해 여정에서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입원 치료를 통해 자해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반면, 일부 한계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부정적인 의료진의 태도, 행동 수정 요법(Behavior Modification) 기반의 병동 규칙 적용, 전문적인 자해 프로그램의 부재가 입원 치료의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간호사는 행동 수정 요법 기반의 접근법을 넘어서서 자해 청소년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하는 자세와 공감해주는 태도를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해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환자들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간호 실무 영역에서 전문성이 더욱 필요함에 대해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이 퇴원 후 돌아갈 지역 사회에 체계적인 지지체계가 필요함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자해 청소년의 자해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이는 자해 청소년에 대한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 실무 영역에서 간호 중재 전략을 수립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진단으로 분류되어 있는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e of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mong Korean inpatient adolescents since the late 2010s has gained considerable social issues, and NSSI is recently considered as a self-injury epidemic. Despite this exacerbating NSSI phenomena among Korean adolescents, there is an absence of nursing information and research encompassing practical guidelines and treatment programs. Without establishing systematic research and practical strategies, inpatient adolescents with mental health difficulties and lack of emotional control are more prone to NSSI in frequent exposure to stressful conditions compared to non-inpatient adolescents. Herein, the NSSI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studied to further understand the varying NSSI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establish nursing strategy direc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inpatient adolescents where the author was working as a registered nurse. Between March 2019 and January 2020, 9 inpatient adolescents with NSSI experiences have participated after the approval from the hospitals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h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comprehensively and further analyzed from recorded interview dialogs. 20 themes related to participants NSSI experiences were deduced from the analysis which were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udden entanglement to self-injury from positive expectation, Seeking attention of my grief, emotional fluctuation in front of a knife with nobody understanding my circumstance, Turning point, Determination to keep body intact and One-step far from self-injury.
The onset of participants NSSI behaviors and its meanings were clarified from the results. Discourse with the 9 participants have all included in-depth descriptions of NSSI experiences. The determination to hospitalization was an arduous journey for all participants, but was also eventually considered as a critical opportunity for temporal halt in NSSI. Participants were able to self-reflect on several aspects which were concealed from self-injuries, and the nurses were able to contribute as the most proximate individuals helping the temporal halt of NSSI. Never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nts expectation and the available treatment in the ward was also raised fro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ich implied the current medical limitations (including nursing) related to NSSI. The behavioral comprehension beyond behavioral modification (BM) is necessary for nursing staffs to temporally halt NSSI of inpatient adolescents. In addition, protective factors of NSSI from communities were more clarified before each participants NSSI onset and hospitalization.
Specific directions related to nursing practic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In the light of the critical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rom core family members and school teachers, nursing practices can be applied similarly in communities as non-clinical nurses working in schools. The difference of participants expectations and availabilities in the ward also gave clear directions: Nursing practices require behavioral comprehension of NSSI inflicted adolescents base on empathy rather than mere BM. The patients preferences for treatment is considered as a prerequisite to program development, and the necessary professionalism of relevant nursing practices was further explained. Lastly, the need for establishing post-treatment in the local community after discharge was discussed.
Therefore, in-depth NSSI experience of inpatient adolescents were studied.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used as directions for establishing nursing strategies and practices in the area of adolescent NSSI.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6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6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