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양화의 모사 전통을 활용한 황씨화보 제작 연구 : Hwangs Manual Production Utilizing the Copying Tradition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규민

Advisor
김성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이모사모사화보동양화한국화수묵화목판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3. 2. 김성희.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rint work Hwangs Manual and its operating system, produced from 2020 to 2022. It attempts to study and formulate a systematic structure of my artistic practice by analyzing the motivation, theoretical background, composition, activation of the work,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expression, and material technique.

Apropos of a system revolving around the term transmission by copying(傳移模寫), this thesis endeavors to (re)juxtapose the traditional conventions of oriental painting's epistemology by placing my work right inside that long-established system. Regardless of the incessant dichotomy of the West and the East, it is unquestionable in contemporary art that artworks inspired by already instituted forms are prevalent. Notwithstanding such universality, yet situated in a particular agenda, faith persists in the act of succeeding or innovating the tradition amo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named Oriental/Korean Painting. However, when the ground is the faith, the answer shall be nothing but faith since it is a matter of the faith itself. Hence, rather than searching for a reason after pinning down the tradition as the ultimate solution, a work that wishes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tradition" should begin by building the reasons from the legacies of tradition and then proceed to a clarification of its use valu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copying the tradition of copying old paintings as a modus operandi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oriental painting.

"Copying(模寫)" is the work of imitating, thus, representing. It is a tradition practiced for a long time throughout east Asia for various purposes—e.g., preserving and making copies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learning to paint, and creating authentic artwork—and remains an effective way of learning up until now. Hwang's Manual, the central work of this research that unfolds into three fundamental elements—the original, the manual, and the copy—conceives the copying tradition as the original model and diligently copies it. Although some precedents referencing a manual—for example, Choi Hae-Ri, Kim Cho-Yoon, Jin Hee-Ran, and Kim Hwa-Hyun take copying the manual as a method, and Seo Eun-Ae borrows images from the manual—may heave into view, an individual practice that puts the copying tradition at its heart has yet to exist. For that reason, I expect this thesis focusing on "the copy," which indicates both the core of the work and one compartment of it, t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my study further and serve as a foundation for oriental painting and its knowledge passing model of tradition to settle as a meaningful form.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sets two significant tasks that one should resolve as a practitioner of oriental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Korean art scene. Subsequently, it discusses the motivation for devising a system that revolves around "transmission by copying."
The second chapter, "Transmission by Copying and Copying With a Manual," presents an overview of later generations' diverse interpretations of "transmission by copying" since Xie He's initial introduction of the concept in Southern Qi amidst the Six Dynasties period. The object of the action of copying in Hwang's Manual is unveiled, followed by an articulation of the manual's function, appeal, and formal and historical limits. In concomitance, this chapter recapitulates the system based on three ways of copying—making an exact copy, making a freehand copy, and making a copy of a particular artist's style—referenced throughout the work.
The third chapter, "The Structure of Hwang's Manual," elucidates the formation of the work constituted of the original, the manual, and the copy. This chapter begins with an explication of the original from the inner perspective of the work and investigates the author-subject, Mr.Hwang—the manual maker. In due course, the organized context of each category-step of the work leads to an exploration of how Hwang's Manual materializes the copying tradition.
The fourth chapter, "The Formative Features and Materials of Hwang's Manual," delves deeper into the corporeal details of each element—the original, Hwang's manual, and the copy. The difference among the disparate demonstrations of the same icon is compared.
The fifth and final chapter, "Conclusion," propounds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that features copying tradition and states relevant questions and tasks for further development.

This research made possible a broader view of how the act of copying reinterprets tradition. Moreover, it allowed a contemplation on how such reinterpretations can be utilized in current times. However, there is more to determine since Hwang's Manual should develop in the direction of constant modification for the number of cases to increase. On top of that, the task for it to keep breathing by reaching the audiences' repeated use remains pending. By unraveling the tasks above, I wish to find a clue for oriental painting to earn its place as a prominent contemporary art form.
이 논문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한 판화 작품 황씨화보와 이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작품 제작의 동기와 이론적 배경, 작품의 구성과 사용법, 조형적 특징과 재료 기법을 살펴, 나의 작업 세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하기 위한 논문이다.

나는 전이모사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안에 나의 그림을 넣는 실험을 통해 동양화(단)에서 전통을 학습하고 이어 나가는 관습을 비유하고자 한다. 과거의 형식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새로운 미술 작품을 만드는 일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동서를 막론하고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한국의 동양화(또는 한국화) 전공자들의 전통 계승과 창신 및 혁신에 대한 믿음은 유독 특별하다. 믿음을 전제로 이야기하면 그것은 말 그대로 믿음의 문제기 때문에 말하는 그대로 정답이 되어버린다. 그러나 전통의 의미를 밝히는 일은 전통에 답이 있다고 정해놓고 그 근거를 찾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유산들로부터 근거를 얻어 그 효용을 밝히는 순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나는 고화를 모사하는 전통을 모사하는 방법으로 동양화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모사는 원작을 모방하여 재현하는 일로, 동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서화의 보존과 복제, 그림 학습, 창작 등을 목적으로 널리 행해졌다. 이는 현대 동양화 학습에도 여전히 활용된다. 나는 이 모사 전통을 모본으로 하여 모본, 화보, 모사본으로 이루어진 모사본을 만들었는데, 이 논문은 이 모사본에 대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지금까지 최해리, 김초윤, 진희란, 김화현 등 모사를 작업의 방법으로 삼거나, 서은애와 같이 화보를 작품에 차용한 일이 왕왕 있었으나, 모사 전통 자체를 주제로 하는 개인의 작품은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이 나에게는 작업 세계를 더 확장할 기회가 되고, 나아가 동양화와 전통의 계승 모델이 한국 현대미술에서 유의미한 형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I 장 머리말에서는 내가 한국 동시대 미술 환경에서 동양화가로 활동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두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전이모사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고안하게 된 동기를 밝힌다.
II 장 전이모사와 화보를 이용한 모사에서는 육조 남제(南齊) 사혁(謝赫)에 의해 육법이 제시된 이후, 전이모사를 해석하는 후인(後人)들의 다양한 견해를 살피고, 나의 작업이 모사하고자 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밝힌다. 이어 화보의 매력을 중심으로 양식적, 역사적 의의와 한계를 검토해, 황씨화보에서 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반영한 모·임·방의 모사 체계를 정리한다.
III 장 황씨화보의 구조에서는 작품 안에서 모본을 해석하고 이를 화보로 만들어내는 가상인물 저자 황씨에 대해 알아본 뒤, 모본, 화보, 모사본으로 구성된 황씨화보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각 단계의 구성과 내용을 정리해 황씨화보가 모사 전통을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살핀다.
IV 장 황씨화보의 조형적 특징과 재료기법에서도 역시 모본, 황씨화보, 모사본으로 나누어 각 단계가 보여주는 서로 다른 조형적 특징과, 다른 재료를 사용해 구현한 같은 도상의 차이를 비교한다.
V 장 맺음말에서는 모사 전통을 주제로 한 작품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나는 이 연구를 통해 전통이 모사를 통해 어떻게 재해석되는지 조금 더 먼 거리에서 바라볼 수 있었고, 앞으로 이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깊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러나 황씨화보는 더 많은 경우의 수를 다룰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 이를 이용할 방법을 찾고, 관객에 의해 거듭 이용되어 살아 숨 쉬게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여 동양화가 동시대 미술에서 유의미한 형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실마리를 찾기를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