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왕교육의 관점에서 본 조선전기 경연제도 연구 :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Loyal learning in early Chosu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진

Advisor
우용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왕 교육경연조선 전기집현전홍문관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3. 2. 우용제.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educational meaning revealing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loyal learning institution(經筵). The Joseon Dynasty's loyal learning, along with crown princes, is a representative king education system, which aims to make the king a transcendent and symbolic existence in the Neo-Confucian culture. However, no agreement can be found in existing research on the actual direction of operation of this system. This is because the loyal learning is simultaneously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political roles in its institutional form. Moreover, the system has been operated more strictly than China, which is unique to the Joseon Dynasty, and if the system itself is not fully understood, it would be difficult to explain why Joseon operated king education in this direction. Eventually, it will be necessary to first organize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cess and then address the related topics more carefully.

The first characteristic to pay attention about loyal learning is the relevance between the reform during the end of Goryeo and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scholar-gentry class(士大夫) have been steadily striving to refine the loyal learning system, and have prepared for the opening of the country with joining the rising and growing of military power(新興武將勢力) after Wihwado Retreat(威化島回軍). Because of this, Joseon was able to operate an organization related to loyal learn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but the short period of system maintenance immediately revealed problems in operation. In other words, while the scholar-gentry class sought to revitalize the loyal learning system by cultivation of mind and human nature, the kings did not respond properly to the requests of the scholar-gentry class, focusing on private interchange. Naturally, to make up for this, discussions were held immediately after the prince's rebellion, but the actual settlement was not reached, and there were two re-arguments after King Taejong's ascension, but this was also nullified. Therefore, such efforts by the scholar-gentry class could be meaningful in that they explored the reform of the system only through discussion.

Instead it was during the King Sejong era to be famous in history. He actively accepted the former discussions and gradually participated in education with the concurrent instructors, participated in evaluating an ancient statute(古制詳定) and allowed private reading(賜暇讀書), greatly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academic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rough this, the loyal educational institution(集賢殿) gained comparative advantage over concurrent instructors in many ways, and eventually became a full-time organization covering the entire education of the king in the second half of his reign. In particular, the loyal educational institution was abl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scholar-gentry class who had originally expected the revitalization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yal learning course by securing a organization that mainly functions a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adviser, researcher – educationalist typically. However, there was a disagreement between King Sejong and scholars regard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King Sejong's demand for full-time life and long-term service by internal promotion caused a new conflict.

Since then, this has led to a serious crisis in the loyal educational system itself. King Sejong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establishing a crown princes assisting agency(世子詹事院) in the reason for King Munjong's vicarious government(代理聽政), but practically caused an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loyal educational institution into an organization for political advice(臺諫) and liberal-arts(文翰). As a result, the restoration of King Danjong in the early years of King Sejo led to the abolition of the loyal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led to a crisis in the loyal educational system. King Sejo and King Yejong actively defied the demands of the scholar-gentry class by operating them in an arbitrary manner, as well as blocking discussions on its reconstruction, undermining the method of enlightenment that has been pursu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As a result, conflicts within the ruling class triggered various aftereffects and discussions, and continued until King Seongjong separated the liberal-arts institution(藝文館) to establish the loyal educational-political advice institution(弘文館). In short, the king's education system faced a crisis by failing to properly respond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after King Sejong.

loyal educational-political advice institution is a complete institution that solves the accumulated problems. King Seongjong fully accepted to restore the organization along with the system of the loyal education, allowed the impeachment for the official, unlike the scholar-gentry class. In addition, King Seongjong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topics and revitalization of the loyal educ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s in special advice(特進官). As a result, with the trend of public opinion politics(公論政治) taking place, the loyal educational system became the center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loyal educational-political advice institution was completely established as a political adviser. This, on the one hand, contributed to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fusion of education and politics, while enhancing the status of the loyal educational-political advice institution by making it a incorrupt government official.
본 논문은 조선 전기 경연의 성립 과정에서 드러난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의 경연은 서연과 더불어 대표적인 국왕 교육 제도로서, 국왕을 초월적이고 상징적인 존재로 보고 성리학적 교양을 갖추도록 만드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 제도의 운영이 실제 어떤 방향으로 이뤄졌는지에 관해 기존 연구 상으로 그 어떠한 합의도 찾아볼 수 없다. 왜냐하면 경연은 그 제도적 양태(樣態) 상 교육 활동과 정치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도가 유래했던 중국보다 더 엄정하게 운영해온 점은 조선 왕조만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만일 제도 그 자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조선이 국왕 교육을 이런 방향으로 운영하게 된 까닭도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연구의 방향을 잘 잡기 위해 먼저 그 제도적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그 후 관련된 주제들을 조금 더 주밀하게 다뤄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연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첫 번째 특징은 여말선초의 관제 개혁과 조선 개국의 연관성이다. 신진 사대부들은 이미 여말부터 꾸준히 국왕 교육의 정제화(定制化)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여말 위화도회군 이후 신흥 무장 세력과 연합한 이후 기존 관제의 정비로써 개국을 준비하였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조선은 경연과 서연에 관한 기구를 국초부터 운영할 수 있었으나, 짧은 제도 정비 기간은 곧바로 운영에서 문제를 드러냈다. 즉, 사대부들은 훈도(薰陶)를 명분으로 국왕 교육 제도의 활성화(日御經筵)를 도모한 반면, 정작 국왕들은 사적인 교류에 치우친 채 사대부들의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않았던 것이다. 당연히 이를 만회하기 위해 제1차 왕자의 난 직후 집현전 복설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으나 실제 정착에 이르지 못했고, 태종 등극 후 2차례에 걸쳐 다시 재론이 있었지만 이 역시도 무위로 그치고 말았다. 따라서 사대부들의 이런 노력은 단지 논의를 통해 제도 개편을 탐색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을 정도였다.
오히려 이런 탐색이 제대로 빛을 발했던 시기는 세종 때였다. 그는 기존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겸관인 경연관들과 함께 점진적으로 교육에 참여시키는 한편, 고제상정(古制詳定)에도 참여시키고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허용하는 등, 연구 활동의 참여와 수행을 충분히 뒷받침해줌으로써 학사 개인과 기구의 역량을 크게 강화시켰다. 이를 통해 집현전은 겸관들보다 여러 면에서 비교우위를 점하여 나갔으며, 마침내 재위 후반, 국왕 교육 전반을 아우르는 전임 기구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집현전은 고문, 연구 – 교육과 시사(정무협의)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경연 기구만의 전형성을 확보함으로써 당초 국왕 교육 과정의 활성화와 안정적 운영을 기대했던 사대부들의 기대에도 부응하였던 것이다. 다만 여기서 이후 발전 방향을 두고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 간의 입장이 엇갈리게 되고, 세종이 이에 종신전업(終身專業)과 내부 승진에 의한 장기근속을 요구한 것은 새로운 갈등을 유발하였다.
이후 이는 경연 제도 자체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한다. 세종은 문종의 대리청정을 보좌한다는 명분으로 세자첨사원을 설치하여 해결하려 하였으나, 그로 인해 발생한 관행은 집현전을 대간(臺諫), 삼관(三館)과 더불어 언론 기구로 변화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그 결과 세조 초년에 발생한 단종 복위 사건으로 인해 집현전이 혁파됨으로써 경연 제도에도 위기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세조와 예종은 각각 자의적인 방식으로 이를 운영함은 물론, 이의 복설(復設)에 관한 논의까지 차단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대부의 요구를 꺾어 국초부터 추구해온 교화의 방식을 훼손시켰던 것이다. 이로 인해 생긴 지배층 내부의 갈등은 다양한 후유증과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성종이 친정을 개시한 뒤 예문관을 분설(分設)하여 홍문관을 설치할 때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한 마디로 세종 이후 운영 방향을 두고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국왕 교육 제도가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성종의 홍문관은 기존의 누적된 문제를 해결시킨 완성형 기관이다. 성종은 경연 회복과 함께 담당 기구를 재건해야 한다는 사대부의 입장을 전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전업에 중점에 두고 장기근속을 추구하던 사대부와 달리 논핵과 규간까지 대폭 허용했다. 또한 성종은 특진관 제도의 신설을 통해 경연 주제의 시의성을 높이고 활성화에 이바지하였다. 그 결과 공론 정치의 풍조가 일어나면서 경연 제도는 조선 정국의 중심이 되었고, 홍문관은 양사(兩司)와 더불어 언론 기관으로 완전히 정착되었다. 이것은 한편으로 홍문관 낭관들을 청요로 만들어 위상을 제고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교육과 정치의 융합이라는 경연의 운영 목적에도 일조하게 되었던 것이다. 성종 당시의 이 방식이 조선말까지 정착된 점에 비추어 볼 때, 홍문관의 등장은 세조의 세자시강원과 더불어 조선의 국왕 교육을 주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9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