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친사회적 규범과 프레이밍에 따른 학생들의 친사회성 연구 : A study on the prosociality of students according to prosocial norms and fram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지수

Advisor
신종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친사회적 규범친사회적 규범의 맥락프레이밍 방식중요성 인식도덕 정서행동 의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3. 2. 신종호.
Abstract
In the school field, prosocial norms are educated and trained to improve students'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norms refer to norms considered as moral in a society that includes altruism and helping others(Siu et al., 2012). Such prosocial norms are explicitly learned by students, especially through moral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prosocial norms and the resulting prosocial behavior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This is because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that children encounter has their own norms and rules, and the role expected of children is also different(Crandell et al., 2011). The ecological system model(Bronfenbrenner, 1979)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prosocial no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major development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belong.
Moreover, as the prosocial norm is a message that persuades students, studies on the persuasive power of the message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message framing effect theory, positive framing emphasizing positive results when following a message and negative framing emphasizing negative results when not following a message have differential effects in persuasion(Maheswaran & Meyers-Levy, 1990).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wo ways to identify the present and propose the future of prosocial norm education, to distinguish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and to find out appropriate framing methods according to context.
In the first study, through textbook analysis, the context and framing method of prosocial norms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could be divided into family, school, and society. In addition, the most frequent contexts of norms were in the order of home, school, and society. As for the framing method, positive framing was used more than negative in all contexts. These analysis results secured reliability by confirming the intercoder reliability between two elementary education experts and researchers.
In the second study, typical prosocial norms covered in textbooks were presented as scenarios in the context of home, school, and society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t this time, scenario images with different contexts and framing methods of prosocial norms were presented as videos for each framing group. As for the perception of prosocial norms, variables of recognition of importance, moral emotion, and willingness to act were explor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cond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the framing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moral emotion, and willingness to act. In particular, positive framing was more effective than negative framing in rai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norms in school and society. Secon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prosocial norms, moral emotions, and willingness to act. Specifically, the perception of prosocial norms at h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rosocial norms in schools and societ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exposure in the textbook to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was consistent with the actual level of perception of student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positive framing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norms in school and socie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and negative fram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norms, moral emotions, and willingness to act at home. Fourth, it was found that it is natural that the perception of norms at home is lower than that of norms in school and society according to the ecological system mode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it not only examined the context of prosocial norms to confirm the present of prosocial normative education, but also explored effective framing methods according to context to propose an effective future of normative education.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친사회적 규범을 교육하고 훈련시킨다. 친사회적 규범이란, 이타주의, 봉사 정신 등을 포함하는 사회에서 도덕적이라 일컬어지는 규범을 의미한다(Siu et al., 2012). 이와 같은 친사회적 규범은 특히 도덕 교과를 통해 명시적으로 학생들에게 학습된다.
한편,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은 발달 맥락에 따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아동이 접하는 발달 맥락은 저마다의 규범과 규칙을 가지며 아동에게 기대되는 역할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Crandell et al., 2011). 생태학적 체계 모델(Bronfenbrenner, 1979)은 아동이 속한 가정, 학교, 사회와 같은 주요 발달 맥락에 따라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더해, 친사회적 규범은 무엇을 해야 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설득하는 메시지인만큼, 메시지의 설득력에 관한 연구들에 주목하였다.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이론에 의하면, 메시지를 따랐을 때의 긍정적 결과를 강조하는 긍정 프레이밍과, 따르지 않았을 때의 부정적 결과를 강조하는 부정 프레이밍는 설득력에 있어 차별적 효과가 있다(Maheswaran & Meyers-Levy, 1990).
본 연구는 친사회적 규범 교육의 현재를 알아보고 미래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을 구분하고 맥락에 따라 적합한 프레이밍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연구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과 프레이밍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은 가정, 학교, 사회로 구분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규범의 맥락은 가정, 학교, 사회 순이었다. 한편, 프레이밍 방식은 모든 맥락에서 부정보다 긍정 프레이밍이 더 많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초등교육 전문가 2인과 연구자와의 일치도를 확인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서 다룬 대표적인 친사회적 규범을 시나리오로 제시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과 프레이밍 방식을 달리한 시나리오 영상을 6가지 제작하여 프레이밍 집단별로 나눠 제시하였다.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요성 인식, 도덕 정서, 행동 의지의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두 번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에 따라 프레이밍 방식이 중요성 인식, 도덕 정서, 행동 의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교와 사회에서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높이는 데에 있어서는 부정 프레이밍보다는 긍정 프레이밍이 효과적이었다. 둘째,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에 따라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중요성 인식, 도덕 정서, 행동 의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에서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학교와 사회에서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첫째,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에 대한 교과서 속 노출 빈도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 수준과 일관되게 구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교와 사회에서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긍정 프레이밍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정에서의 친사회적 규범에 대한 중요성 인식, 도덕 정서, 행동 의지는 모두 긍정과 부정 프레이밍의 효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가정에서의 규범에 대한 인식이 학교와 사회에서의 규범에 대한 인식보다 낮은 것은 생태학적 체계 모델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친사회적 규범 교육의 현재를 확인하기 위해 친사회적 규범의 맥락을 나누어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효과적인 규범 교육의 미래를 제안하기 위하여 맥락에 따른 적합한 프레이밍 방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