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 :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우정

Advisor
소경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육과정 재구성교육과정 재구성 실천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초등교사질적 사례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3. 2. 소경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by looking into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what it means to practice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teacher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atter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Second, what aspects affect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first result, the purpos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eachers' practice is to 'provide more suitable classes for students', 'teach students more efficiently', and 'exercise teacher expertise as a class expert'. In addition, the scop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eachers' practice was found to be 'addition of educational content other than achievement standards', 'associ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class situation', and 'adjustment of educational cont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hou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generally practic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y "limitedly practiced" the scop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llowed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econd result of the study, the aspects that influence teachers'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teacher personal aspects' and 'contextual aspects'. The individual aspects of teachers were revealed as 'educational view' and 'experi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contextual aspects were revealed as 'class characteristics', 'same-grade teachers, parents, managers', and 'administrative work'.
According to the third result of the study, explor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irst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is 'limited practice of the scope of reconstruction allowed by the government'. The second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is 'teaching and learning suitable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third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is 'the thing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tracks how teachers practice what is presented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rough this,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scene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national docum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for teachers.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a more three-dimensional way in that it dealt with not only how to practice curriculum reconstruction but also why it is possible. This search is valuable in that i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eachers to discuss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compared to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not considered becaus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general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at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four research participants belonging to one research site. Based on thes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들여다봄으로써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는 것이 교사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 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Qualitative Case Study)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에 영향을 주는 측면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의 실천에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더 적합한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들을 더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수업 전문가로서 교사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해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의 실천에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범위는 성취기준 이외의 교육 내용 추가, 관련지을 수 있는 성취기준의 연계, 학급의 상황에 따른 교육 내용의 지도 순서 조정, 시수 증감을 통한 교육 내용의 비중 조정으로 드러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체로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토대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고 있었으나, 국가에서 허용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에 영향을 주는 측면은 크게 교사 개인적 측면과 맥락적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교사 개인적 측면은 교육관,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으로 드러났으며, 맥락적 측면은 학급의 특성, 동학년 교사, 학부모, 관리자, 행정업무로 드러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 첫 번째는 국가가 허용하는 재구성 범위의 제한적 실천이다. 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 두 번째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적합한 교수 실천 행위이며, 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 세 번째는 소통과 협의를 통해 형성되는 산물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하는 바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실천 장면에서의 재구성을 국가 문서에 비추어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를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에 영향을 주는 측면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을 어떻게 실천하는지 뿐만 아니라 왜 이러한 실천이 가능한지도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양상을 더욱 입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러한 탐색은 교사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의 의미를 국가 교육과정 문서 및 선행연구에 견주어서 논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초등교사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중등교사의 경우는 고려하지 못했다. 둘째, 한 곳의 연구 현장에 속해있는 네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 결과를 초등교사의 일반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한계를 바탕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9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0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