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농촌 소규모 중학교 비다문화 학생들의 다문화 경험 이해 : Understanding of majority small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a rural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엄윤정

Advisor
모경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문화사회다문화 경험시민교육다문화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3. 2. 모경환.
Abstract
Since the 1990s,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due to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he migration of refugees.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including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has mainly flowed into rural areas whe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located and the gender ratio was relatively high. Therefore, compared to urban areas, people in rural areas experienced multicultural society earlier, and the frequency of opportunities to directly experience multiculturalism was high. In particular, students who have attended a small school in the area with a large multicultural population have not only been neighbors to multicultural populations since they were young but also have been in the same clas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such as foreign students and international marriage children for years.

Many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xperiences have reveale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multicultural experiences have led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such as resolving stereotypes and biase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ing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or enhanc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However,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an appropriate context and environment are more important than a simple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This is becaus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margizen areas, where many foreigners migrated for economic and social survival, had lowe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denizen areas with many high-income professionals or areas not populated with foreigners.

Therefore, it is not presupposed that 'the majority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have a high frequency of contact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neighbors, so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will be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tively understand what unique empirical context of the majority students attending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have formed their current multicultural perception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concept of experience encompasses experience activities, which are experience in terms of process, and experience as a result that means knowledge, habits, and personality formed through the process, which borrows Deweys theory that experience is interaction. It examined what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he majority students have learned while living with multicultural friends and neighbors in rural areas and attending small school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In addition, what multicultural experiences including knowledge, intelligence, habits, and personality they have eventually formed as a result of the process was also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imilar to previous studies that students in the margizen area had lowe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an the denizen area, the majority students in the margizen area experienced trial and error, such as alienating or discriminating against multicultural students when they first encountered them. However, they have become familiar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appearance, and language because they have been in the same class for many years due to the environment of a small school with only one class per grade and less than 10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also said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in communicating with foreign students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semester and just begin to learn Korean, and therefore it took time to get closer. Non-verbal activities such as sports activities, pranks, practical education, dance, and club activities helpe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form intimate relations regardless of nationality. When students became proficient in the language, they could get closer. The formal cross-cultural experiences such as a Korean class for foreign students 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foreign languages, and the experiences of learning culture and language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between each other enabled them to communicate. There were many encounters in the village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foreign residents, and the majority students sometimes received help from multicultural neighbors, such as teaching farming or giving a ride to school.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hey have come to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neighbors or friends are no longer passive objects that they should give help, but are subjective people like them.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called each other's names or nicknames rather than distinguishing multicultural students by nationality, appearance, or mother tongue, and considered the multicultural students as their group, such as their neighbors,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and friends in the same clas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global citizenship can be emphasized under the perception of "same person" unlike past civic education that emphasized nationalism under the perception of "same nationality", and further the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suitable for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provided.
우리나라는 외국 노동인구의 유입, 국제결혼 가정의 증가, 새터민의 유입 등으로 인해 1990년대 이래로 다문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때 외국 노동인구나 국제결혼 여성 등 다문화 인구는 주로 중·소규모 산업체가 입지해있고 남녀성비가 높은 농촌으로 유입되었다. 따라서 농촌지역은 일찍이 다문화사회를 경험하였고 다문화 직접 경험의 빈도도 도시지역에 비해 많았다. 특히 다문화 인구가 많은 지역의 소규모학교에 다닌 학생들은 어렸을 때부터 다문화 인구와 이웃으로 지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생이나 국제결혼 자녀 등 다문화 학생들과 다년간 같은 학급에서 생활하였다.
다수의 다문화 경험에 관련된 연구는 직·간접적인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가정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해소하고 다문화 수용 정도를 높이거나 다문화 감수성을 키우는 등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게 했음을 설명한다. 하지만 경제적, 사회적 생존을 위해 이주한 외국인이 많은 마지즌 거주지역 초등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정도가 고소득 전문직 외국인 종사자들이 많은 데니즌 지역이나 외국인 비밀집 지역 초등학생보다 낮았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할 때 단순한 다문화 접촉 경험보다는 적절한 맥락과 환경에서의 다문화 접촉 경험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 소규모학교 비다문화 학생들은 다문화 학생과 이웃과의 접촉 빈도가 높으므로 다문화 수용성과 감수성이 높을 것이다라고 전제하지 않고 농촌지역 소규모학교에 재학하는 비다문화 학생들의 어떤 독특한 경험적 맥락이 어떤 지금의 다문화 인식을 형성했는지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귀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때 경험의 개념은 과정적 측면에서의 경험인 경험 활동과 그 과정을 통해 형성한 지식, 습관, 인격 등을 의미하는 결과로서의 경험 즉, 경험 내용이 통합된 것이라고 설명하는 듀이의 이론을 차용해 농촌에서 다문화 또래 친구 및 이웃과 지내는 동시에 소규모학교에 재학하며 과정적으로 어떤 다문화 경험 활동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이 결과적으로 어떤 지식, 지성, 습관, 인격 등의 다문화 경험 내용을 형성했는지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마지즌 지역의 비다문화 학생들은 데니즌 지역보다 문화간 감수성이 낮다는 선행연구와 비슷하게 처음 다문화 학생들을 접했을 때 소외시키고 차별하는 등의 시행착오를 겪었다. 하지만 한 학년에 한 반밖에 없어서 반이 바뀌지 않고 한 학급 인원이 적은 소규모학교 특성상 다년간 같은 반에서 생활하다 보니 국적, 외모, 언어 등 겉모습에 상관없이 서로를 익숙하게 여기며 함께 어우러지고 있었다. 다만 연구 참여자들은 다문화 학생 중 한국어를 배운지 얼마 안 된 외국인 중도 입국 자녀와 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에서 불편함을 느꼈고 가까워지는 데에 시간이 걸렸다. 이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적에 상관없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는 체육활동, 장난, 실습, 반댄스, 동아리 활동 등 비언어적 활동이 도움이 되었다. 이후 언어가 통하기 시작되면 좀 더 서로가 가까워질 수 있었는데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실이나 외국어를 배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 등의 형식적 다문화 경험과 서로 간 교류를 통해서 문화와 언어를 배운 경험들이 소통을 가능하게 했다. 마을에서는 워낙 외국인 거주 비율이 높아 마주치는 일이 많았고 다문화 이웃이 농사일을 알려주거나 다문화 또래 친구의 외국인 부모님이 학교까지 태워다주는 등 비다문화 학생이 다문화 이웃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일도 있었다.
다문화 인구를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고 도와주어야 하며 폭력적일 것이라고 타자화했던 연구 참여자들은 마을과 학교에서의 다문화 경험 활동을 통해 다문화 이웃이나 또래 친구도 똑같은 사람임을 알게 되었다. 다문화 경험 활동을 통해 다문화 이웃이나 또래 친구가 도와주어야 하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나와 같은 주체적인 사람이라고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곳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국적, 외모, 모국어 등으로 서로를 구별하기보다는 서로의 이름이나 애칭을 불렀으며 같은 이웃, 같은 학교 학생, 같은 반 친구 즉, 자신의 내집단이라고 여겼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같은 국적이라는 인식 아래에 민족주의를 강조했던 과거의 시민교육에서 같은 사람이라는 인식 아래에 세계 시민성을 강조하며 다문화사회에 걸맞는 시민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0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