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대학교 학생 창업생태계의 진화 및 기업가적 프로세스 : The Evolution and Entrepreneurial Process of Student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소영

Advisor
구양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생 창업가창업생태계허브대학기업가적 프로세스서울대학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23. 2. 구양미.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fact that policy efforts are being made to support student start-ups by creating a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start-up ecosystem an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that promotes student start-up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ecosystem components that support the expression of student entrepreneurship. To this end,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7 student entrepreneurs and related part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of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was established in 1997 with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fostering venture companies and began with the first venture boom, and was launched in earnest by the second venture boom by the mobile SNS platform market in 2010. Since 2017, the government has been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a start-up ecosystem through the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revitalization of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Accordingly,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policy focuses on material aspects such as establishing start-up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start-up funds and manpower for the purpose of creating start-up companies on campus.
Seco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start-up ecosystem was built over three gener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and the role and key actor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nged in each period. The first generation start-up ecosystem was born in the late 1990s by the first venture boom and industry-academic linkage policy, and entered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e start of the second venture boom in 2010, and the third generation appeared based on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olicy reform and venture market revitalization in 2017. In each period,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nged its role from "academic ivory tower university" to "supplier university" in knowledge and labor force in the first generation, and changed to "hub university" in the third generation through a transition period in which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formed. Cor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stablished by factors outside the university expanded the activities of naturally occurring student start-up organizations, allowing the entrepreneurship culture in the university to expand.
Third, in the curr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student entrepreneurs is entering each stage by utilizing the network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attached to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the "formation of business ideas" stage, ideas were secured based on the "supporting cultur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horizontal network" between students, which were attached to the "specific space where various talents are combined." In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stage, the business idea was verified based on the 'vertical network' between professors or senior entrepreneurs and student entrepreneurs in the 'official start-up support facility'. In the last "entrepreneurial opportunity utilization" stage, he moved to an external institu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access a network to secure and utilize business opportunities, and there was also an "entrepreneurial recirculation" in the region by start-up support facilitie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which supports student start-ups, allows students to leap to the next start-up stage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s rooted in material attributes. The student start-up network is in a virtuous cycl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challenging start-ups by accumulating the entrepreneurship culture in universities, establishing support policies. In addition,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universities support student start-ups to the stage of opportunity recognition, and connections to the outside of the start-up ecosystem are made through institutions outside the university.
In conclusion, the start-up ecosyste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hub university based on the physical infrastructure built based on the start-up support system and changes in the venture market, and student start-ups have been made by utilizing networks attached to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this process, the entrepreneurship culture accumulated in universities is leading the dynamics of the startup ecosyste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ecosystem by capt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components in the student start-up process, in addition to identifying key actors and components in the university start-up ecosystem. In terms of policy, it can be used as evidence for university start-up policymakers to establish policies aimed at accumulating entrepreneurship culture rather than support at the material level.
본 연구는 대학 창업생태계를 조성하여 학생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창업생태계의 구축과정을 밝히고, 학생 기업가정신의 발현을 지원하는 생태계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학생 창업을 촉진하는 대학 창업생태계의 구축 방향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참여관찰, 서울대 학생창업가 및 관계자 17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창업생태계의 조성은 1997년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제도적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제1벤처붐과 함께 시작되었고, 2010년 모바일 SNS 플랫폼 시장에 의한 제2벤처붐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2017년부터 창업지원정책 확대개편 및 벤처투자시장의 재활성화를 통해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창업생태계를 구축해오고 있다. 이에 대학 창업지원정책은 캠퍼스 내에서의 창업기업 창출을 목적으로 창업인프라 구축, 창업 자금 및 인력 지원 등 물질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둘째, 서울대학교 창업생태계는 한국 창업생태계 구축과정과 궤를 함께하며 3세대에 걸쳐 구축되었고, 각 시기 별로 창업생태계에서 서울대의 역할과 핵심행위자가 변화하였다. 1세대 창업생태계는 1990년대 말 제1벤처붐과 산학연계 정책에 의해 태동하였고, 2010년 제2벤처붐의 시작과 함께 2세대로 진입하였으며, 2017년 정부 창업지원정책 개편 및 벤처시장 활성화를 토대로 3세대가 나타났다. 서울대는 각 시기별로 1세대에서는 학문의 상아탑 대학에서 지식 및 노동력 공급자적 대학으로의 변화, 2세대에서는 허브 기관 및 조직이 형성되는 과도기를 거쳐 3세대에 네트워크의 허브 대학으로 역할이 변화하였다. 대학 외부 요인에 의해 구축된 핵심 기관 및 조직은 자연발생적 학생 창업 조직들의 활동을 확장시켜 대학 내 기업가정신 문화가 확장될 수 있었다.
셋째, 현재 서울대 창업생태계에서 학생창업가의 기업가적 프로세스는 허브 기관 및 조직에 착근되어 있는 네트워크와 기업가정신 문화를 활용하여 각 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아이디어의 형성 단계에서는 다양한 인재가 결합하는 특정 공간에 착근된 기업가정신에 대한 지지적 문화와 학생들 간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확보하였다. 기업가적 기회 인식 단계에서는 공식적 창업지원시설에서 교수 또는 선배창업가와 학생창업가 간 수직적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사업 아이디어를 검증하였다. 마지막 기업가적 기회 활용 단계에서는 사업 기회를 확보하고, 활용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접근하고자 서울대 외부 기관으로 이동하였으며, 창업지원시설에 의한 지역 내 기업가적 재순환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학생 창업을 지원하는 서울대 창업생태계는 학생들로 하여금 물질적 속성에 착근된 수직, 수평적 네트워크를 통해 다음 창업 단계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 창업 네트워크는 대학 내 기업가정신 문화를 축적시켜 창업에 도전하는 학생의 수를 증가시키고, 지원 정책을 마련하며 선순환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 창업생태계에서 대학은 학생 창업에서 기회 인식 단계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창업생태계 외부로의 연결은 대학 외부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서울대 창업생태계는 창업지원제도와 벤처시장의 변화를 바탕으로 구축된 물리적 인프라를 토대로 허브대학으로 변화해왔으며, 학생 창업은 허브 기관과 조직에 착근된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대학에 축적된 기업가정신 문화는 서울대 창업생태계의 역동성을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생태계에서 핵심행위자와 구성요소를 규명하는 것에서 나아가 학생창업 프로세스에서의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을 포착하여 생태계의 역동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대학 창업 정책입안자들에게 물질적 차원에서의 지원보다 기업가정신 문화의 축적을 목표로 정책을 수립하는데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7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1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