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숭고미(崇高美)의 관점으로 본 브루크너(A. Bruckner) 《8번 교향곡》 연구 : A Study on Bruckner's Eighth Symphon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lim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은지

Advisor
오희숙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브루크너8번 교향곡숭고미숭고버크칸트롱기누스음악적 숭고교향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오희숙.
Abstract
Joseph Anton Bruckner(1824-1896)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of late German Romantic symphonies, who officially published nine symphonies. Among them, Symphony No.8 is the last symphony that Bruckner completed in four movements, and it is a monumental work that stands out for its magnificent length, orchestration and majesty. This Eighth Symphony evoked intense emotional reactions and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lime beyond traditional concept of beauty.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moment of the sublime in parts rather than looking at the whole Eighth Symphony, dealing with it in fragments, discussing the sublime abstractly or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revious studies, it wa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what kind of sublime was being discussed, and it was difficult to connect the style and aesthetics of specific musical works due to the absence of music exampl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internally and externally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sublime does Bruckner's Eighth Symphony show? Among the various concepts of the sublime, what is the sublime that penetrates the Eighth Symphony?
Firs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ntire movemen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first movement is a sonata form with three themes, characterized by uncertain and ambiguous tonality. At the moment of culmination, a strong dissonance appears, and a huge dynamic maximizes intensity. The second movement, Scherzo, is a traditional three-part form, and two characteristic motifs, including the German Michel motif, lead to the entire Scherzo. The third movement, Adagio, is in sonata form of vast dimensions, showing the harmonies constantly wandering. It is characterized by gradually increasing energy and moving towards the final culmination. The fourth movement is in sonata form with three themes, and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brass fanfare at the beginning. Also, like the first movement, strong dissonance appears at the moment of culmination. But in the long, slow-paced coda, the firm tonic chord resonates triumphantly and victoriously.
Based on this music analysis, three types of sublime were derived. The first is the tragic sublime exploding at the culmination. This type focuses on the physical attributes represented by Burke, and it is the sublime that focuses on greatness, grandeur, power, tragedy, pain, and intense pathos. The tragic feeling is especially maximized in the dissonance that explodes at the culmination. The second is the sublime of exaltation. This type shows the joy, exaltation, and jubilance that Longinus said well, and it is the sublime that Nietzsche refers to as a Dionysian ecstasy. In particular, it can be found most clearly in the long coda of the fourth movement. The third is the sublime of transcendence and contemplation. This type is the sublime that focuses on more spiritual attributes, not being overwhelmed by power and might, but the sublime of looking down and contemplating everything beyond physical nature and emotions. This sublime, represented by Kant and Schopenhauer, allows us to enter a stat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quiet coda of the third movement and religious chorale, and allows us to recognize our inner spirit again.
Thus, the aesthetic value of Bruckner's Eighth Symphony can be said to be in the sublime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beauty, overwhelms the soul through astonishment and surprise, elevates through enormous power and energy, and sometimes even leads to a contemplative sense of transcendence.
안톤 브루크너(Joseph Anton Bruckner, 1824-1896)는 독일 후기 낭만주의 교향곡으로 대표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공식적으로 총 9곡의 교향곡을 발표했다. 그 가운데 《8번 교향곡》은 브루크너가 4악장으로 완결시킨 마지막 교향곡으로, 장대한 길이와 편성, 장엄함이 돋보이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러한 《8번 교향곡》은 격렬한 감정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전통적인 미의 관념을 넘어서는 숭고미의 관점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8번 교향곡》 전체를 보기보다 부분적으로 숭고의 순간을 논하며 단편적으로 다루었고, 추상적으로 숭고미를 논하거나 개별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언급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어떠한 숭고미를 논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렵고, 음악 예제의 부재로 구체적인 음악 작품에 나타나는 양식과 미학을 연결 짓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루크너《8번 교향곡》은 어떤 숭고미를 보여주고 있는가? 다양한 숭고미의 개념 중에서 《8번 교향곡》을 관통하는 숭고미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작품을 내·외적으로 고찰하였다.
먼저는 작품 분석을 통해 1악장에서 4악장까지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제1악장은 3개의 주제가 있는 소나타 형식으로, 불확실하고 모호한 조성이 특징이다. 정점의 순간에 강한 불협화음이 등장하고, 거대한 다이내믹이 강렬함을 극대화시킨다. 제2악장 스케르초는 전통적인 3부 형식으로, 독일인 미헬 모티브를 비롯한 특징적인 두 개의 모티브가 스케르초 전체를 이끌어나간다. 제3악장 아다지오는 방대한 차원의 소나타 형식으로, 화성이 끊임없이 방랑하는 모습을 보인다. 점차 에너지가 상승하면서 최종적인 정점을 향해가는 특징이 있다. 제4악장은 3개의 주제가 있는 소나타 형식으로, 도입부의 강력한 금관 팡파르가 특징이다. 또한 제1악장과 마찬가지로 정점의 순간에 강한 불협화음이 등장하지만, 길고 느리게 진행되는 코다에서 확고한 으뜸화음이 의기양양하게 승리에 찬 소리로 울려 퍼지게 된다.
이러한 음악 분석을 토대로 세 가지 유형의 숭고미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는 정점에서 폭발하는 비장숭고미이다. 이 유형은 버크로 대표되는 물리적인 속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으로 거대함, 힘, 위력과 비극, 고통, 강렬한 파토스에 초점을 맞춘 숭고미이다. 비극적인 느낌은 특히 정점에서 폭발하는 불협화음에서 극대화된다. 두 번째는 고양의 숭고미이다. 이 유형은 롱기누스가 말하는 기쁨과 의기양양한 고양, 환희가 잘 드러나며, 니체가 말하는 디오니소스적 황홀경에 빠져들게 되는 숭고미이다. 특히 제4악장의 긴 코다에서 가장 극명하게 발견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초월과 관조의 숭고미이다. 이 유형은 보다 정신적인 속성에 초점을 맞춘 숭고미로, 힘과 위력에 압도당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자연과 감정마저 초월하여 모든 것을 내려다보고 관조한다는 숭고미이다. 칸트와 쇼펜하우어로 대표되는 이 숭고미는 고요하게 진행되는 제3악장 코다와 종교적인 코랄을 통해 초월의 상태에 들어가게 해주며, 내면의 정신을 다시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브루크너 《8번 교향곡》의 미적 가치는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넘어서서 경악과 놀라움을 통해 영혼을 압도하고, 거대한 힘과 에너지를 통해 고양감을 들게 하며, 때로는 관조적인 초월감마저 이르게 하는 숭고미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