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판소리 협주곡 연구 : A Study on Pansori Concerto :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ng and Orchestra
창과 관현악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현

Advisor
김승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판소리 협주곡창과 관현악상호관계수성가락음화기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김승근.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stylistic development of pansori concerto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diachronic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 the pansori singer, and the supporting orchestra, hoping to evaluate the further establishment of the genre. To do so, I have analyzed the structural development and the stylistic language of pansori concertos created between 1971 and 2021, arriving at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overall density of the supportive instrumental parts has undergone a textural transformation to emphasize dramatic effects. Instrumentation has expanded to accompany both chang, a song, and aniri, a narrative recitation, in contrast to the past trend of the latter being solo. Also, concluding drumming patterns are now accompanied by combinations of orchestral parts, allowing artistic freedom lacked when mostly played as orchestra tutti. Moreover, the usage of suseonggarak, an instrumental melody played with a pansori vocal part, has broadened, no longer following the vocal melody. Instead, it interdependently acts as a counterpoint to the vocal melody, giving more artistic freedom to the orchestral part. Also, the rhythm-oriented orchestration is more actualized and emphasized. For example, when a rhythmic section occurs to guide its singer, it tunes to the singers breath and acts as the second percussion. Along with other western-classical ideas, harmony has been accepted gradually and utilized functionally, but today its functional significance is less-prominent. The texture and density of counterpoint parts have become intricate and elaborate: an indicator that each part is characteristically appreciated and independently regarded.

Second, introducing a short instrumental prelude, especially to prepare the pansori vocal, has been widely practiced throughout different eras. These methods include playing the first note for the singer and using the first phrase of the vocal melody as the introduction. There are, however, subtle attempts to emphasize the tonic note, to approach chromatically, to allude to the new scale, and to deviate from the expected pitch. I further confirmed new attempts to align tonic notes vertically with vocal tones.

Third, a study of word painting methods, such as creating contextual mood, reveals that the horizontal sustention of instrumental parts is first constructed and then followed by the vertical expansion of orchestral parts and techniques, experimenting with its programmatic nature. Originally, expressing the singers emotional state mostly involved a reiteration of the vocal melody and ornamentation, whereas today, composers incorporate various techniques, such as introducing thematic motifs or deliberate dissonances to denote the protagonist's inner conflicts. Sudden descending melodies for accompanying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progress chromatically and are faster and longer for more dramatic effects. These different techniques are first fused tightly before expanding.

These stylistic changes in pansori concertos prove that the form is constantly evolving. Accordingly, we must delve into a deeper discussion about various aspects concerning the future of pansori concerto: diversifying subject materials, annotating Chinese characters, organizing the cadential structure with doseop (a pansori technique of dramatic slowing down), examining the musical potential of aniri, exploring the aspects of program music, establishing the standard key structure, standardizing the notation system for gayageum byeongchang, etc. My only wish is that further vigorous and passionate endeavours from composers and scholars will continue to thrive and contribute to the musical evolution of pansori concerto.
본 논문은 판소리 협주곡의 양식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특히 협연 주체인 창과 이를 보조하는 관현악 사이의 상호관계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논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971년부터 2021년 사이에 창작된 판소리 협주곡의 전개 및 관현악 어법의 분석을 통해 시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을 보조하기 위한 관현악의 밀도는 반주 질감의 총체적 변화에 따라 극적인 효과가 강화되었다. 창에 대한 보조적 역할은 아니리도 수용하게 되었으며, 소리북의 맺는 가락을 총주(Tutti)로 구현하던 양상은 성부의 수직적 확대로 인하여 여러 악기에 걸쳐 분포 및 변화되었다. 창 선율에 의존적이던 수성가락은 표현 범위가 확장되어 가사나 성부 사이에서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며 관현악의 어법을 다채롭게 하였다. 관현악의 리듬 보조 역할은 구체화 및 강화되었는데, 예를 들어 창자의 박자인지를 돕는 역할에서 나아가 함께 호흡하고, 타악기처럼 리듬 보조에 집중하기도 하였다. 화성은 서양음악 어법과 함께 점진적으로 수용된 이후 기능적으로 쓰였고, 점차 그 용법을 탈피하게 되었다. 대위의 텍스쳐는 매우 촘촘하고 정교해졌는데, 이는 관현악 각 성부의 개성과 독립성이 존중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관현악은 창 음정을 예비하기 위하여 창의 첫 음을 직접 제시하거나 창의 첫 소절을 전주에 활용하는 직접적 방식을 모든 시대에 걸쳐 통상적으로 활용하였다. 간접적으로는 본청 강조, 반음계적인 도입, 새로운 조의 정체성 제시 및 창 음정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하는 방식도 보였다. 또한 창의 음정과 본청을 수직적으로 결합하는 직·간접적 방식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음화기법 중 배경 및 분위기를 표현하는 방식은 악기의 결을 활용한 수평적 지속에서 시작하여 수직적 확대를 거쳐, 관현악의 여러 요소를 결합하며 표현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 화자의 어조 및 내적 정서를 표현함에 있어서는 특정 가사의 선율과 시김새를 모방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화자 내면의 정서를 대변하는 관현악 주제를 등장시키거나 창 음정과의 의도된 불협화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의성어·의태어 표현을 위하여 활용되던 방식 중 급격한 하행은 반음계적으로 더욱 빠르고 길게 변화하며 강한 자극을 주었고, 여러 요소가 촘촘한 붙임새로 결합한 뒤에 확장되었다.

위와 같이 판소리 협주곡의 양식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한편 판소리 협주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있어 소재의 다양화, 한자어 사설의 풀이, 도섭을 활용한 카덴차 형식의 확립, 아니리의 가능성 탐구, 극(劇) 기능의 강화, 표준 청(Key)의 합의, 가야금병창 기보 방식의 합리적 기준 마련 등의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 이 분야의 창작과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서 판소리 협주곡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9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