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합의제 재판부 구성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 Diversity in the Composition of Collegiate Courts
- 00∼21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들과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결정들을 대상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호은

Advisor
금현섭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양성인적 구성대법원 전원합의체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2. 금현섭.
Abstract
Around the time of the transition of the justices at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many civic groups express their concerns about the uniformity of the bench and call for diversity in their composition. Judges today are no longer the appropriators of objective and impartial decision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traits of judges, as well as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ey encounter on legal decisions, has been established as theories through hermeneutic discussions. Empirical studies on how judges are political agents that make strategic decisions to attain their goals have also been compiled for a long time. Moreover, in the trend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one cannot be too vigilant against the possible bias of the highest courts.
However, the civic groups' argument is problematic in that it identifies the external uniformity of the collegiate court as the cause of the uniformity of the perspective toward facts and legal opinions. Conversely, this leads civic groups to focus solely on diversifying the judges' alma mater, gender, and age, which are typical symbols of external uniformity,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uniformity of judgment. While this opinion may originate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 Korean legislative system limits the Supreme Court judge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to the people who passed the bar, this method is somewhat lacking in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having pluralism realized in the highest courts.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his study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arguments concerning the "externality of the questionable judges who lead to uniformity," which has been conceptually conceived through conventional wisdom.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in which the discussion on diversity and the appointment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can be conducted on an empirical basis. In this light,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the concentration (uniformity) of each indicator in collegiate courts affects the concentration of the legal opinions of the court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found that most studies on diversity took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approach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y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hesiveness. Studies that analyzed judicial judgments of courts have mainl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ackgrounds and judgment tendencies with individual judges as the unit of analysis. This research, therefore, used the collegiate court as a group as the unit of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y of the bench members by factors and the court's diversity in opinions.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this study collect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preme Court justices in office from January 1, 2000, to June 30, 2022, and all the full bench decisions made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justices who were in office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21, and all the full bench decisions made during the same period were collected.
The full-bench courts at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in the analysis period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courts with the same personnel, and each was assigned a number. The Supreme Court was divided into 43 group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into 23 groups.
Excluding the overlapping personnel, a total of 63 Supreme Court justices and 44 Constitutional Court justices were subject to analysis. A total of 35 items, including the gender, year of birth, alma mater, major legal career, the appointing president, and political background, were collected. This study also collected the conclusions made by each judge on all the decisions made by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ree hundred and sixty-eight full-bench decisions were made at the Supreme Court, and 11,260 were made at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items collected from each member of the court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was used as an index for concentr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opinion agreement" and "decision agreement" of all individual judgments made by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in the analysis period were calculated. The definitions and the calculation methods regarding the opinion agreement and decisions can be found in the paper. The HHI index was used to calculate the agreement level. Afterward, the average level of the opinion agreement and decision agreement made by each group was calculated. Each group's opinion and decision agreement were calculated and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converted into dummy variables, was compared by the group.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on the full-bench courts at the Supreme Court were as follows.
First, no empirical evidence could be found to conclude that the average 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ge of the members of the full bench influenced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When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recent Court 4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the levels of opinion agreement between the group of Supreme Court justices above the average age and those below the average age were highly similar. There were no uniform Supreme Court justice groups with a relatively higher age nor a relatively younger Supreme Court justice group that actively presented diverse opinions. The diversity in the views within the court was not created by mixing similar or different age groups. Opinions varied as much as in the Supreme Court justice groups with relatively older justices than the other groups. The diversity of the views in the full-bench trials displayed the same patterns in both age group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Supreme Court justices' alma mater and their opinions was significant at a .05 significance level.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in Court 4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Third, when limited to the Court 4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between the Supreme Court justice group who previously worked as high-level justices and the justice group who did not was similar, and the result was similar to the overall level of opinion agreement. No empirical evidence that showed an internal uniformity in legal opinions could be found among the Supreme Court justice group who previously worked as high-level justices.
Fourth, in terms of the overall analysis perio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ender and opinion agreement. However, when limiting the analysis to the recent Court 4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in the male Supreme Court Justice group was lower than the female Supreme Justice group, and the diversity of opinions within the male Supreme Court Justice group reflected the diversity of the overall full bench courts. This indicated that the female Supreme justice group was more homogenous than their male counterpart.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diversity of opinion found in the full bench is realized to the same degree in the male Supreme Justice Group suggests that the opinion spectrum of the female Supreme Justice group was incorporated into the opinion spectrum of the male Supreme Justice group. For the female Supreme Court justices to influence the overall diversity of opinions, the general level of opinion agreement should have been lower than that of the male Supreme Court Justice group.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full-bench cour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he average and standard variation of the ag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justices and the changes in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Secon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ncentration rate of the alma mater and the levels of opinion and decision agreement. There was no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existing conventions concerning the concentration rate of certain schools and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The result suggested that it would be prudent not to assume any internal uniformity based on the judges' alma mater.
Third, the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rate of the Constitutional judges, who were former high-ranking judges, on the level of opinion agreement was not confirmed.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concentration and the opinion agreement of the court was not identified. However, an analysis limited to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s by Court 6 of the Chief Justi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wed that the levels of opinion agreement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were both higher than that of the overall court. This showed how the male and female groups were different but internally homogenous, lowering the general opinion agreement level. Although it was a limited analysis, this study also found empirical examples of female judges joining the homogenous group of male judges, thereby enhancing diversity.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whether there is a systemic difference in legal judgment between men and wome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id not draw results using all the collected data due to limited time. More discussions would have been possible if the opinion and decision levels of each topic had been calcula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his will be continued in a follow-up study.
Moreo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re because the full-bench courts are not randomly extracted samples but are intentional samples that are products of a high degree of political action. For example, it may have been impossible to capture the natural changes in characteristics as people age using the full-bench court decisions. Someone who is relatively older but can create a fissure in the existing opinions of the court may have been sitting on the full bench, and the act of the trial itself is a product of artificial and continuous corrections.
It may be foolish to consider that external criteria can determine the judges' legal opinions. Many decis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have, in fact, defied the expectations and anticipations of the person who appointed the judges, as well as the concerns raised by the public. The perceptions or consciousness of the judges inevitably change and constantly respond to changes. Nevertheless, there is a real need that cannot be left entirely to the judge's will, and while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discussion, this researcher concludes this study with the hope that this discussion continues on a firmer foundation.


Keywords : Diversity, Composition of Collegiate Courts, full bench courts, Supreme Court, Constitutional Court
대법관이나 헌법재판관 교체기를 전후한 때가 되면 그 인적 구성의 획일성을 우려하고 다양성을 요구하는 시민단체의 주장들을 접할 수 있다. 오늘날 법관은 더 이상 객관적이고 불편부당한 판단의 전유자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법관 개인의 인적 특성과 정치·사회적 맥락성이 그의 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과학과 해석학(hermeneutics)적 논변을 통해 이론으로 정립되었고, 법관이 정치적 행위자로서 전략적 태도를 취할 수 있다 점에 대한 실증적 근거 역시 적잖이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치·행정의 사법화 추세와 입헌적 통제를 법관들이 전담하는 구조에서 사법작용의 편향(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각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러한 현실 조건에서 법관의 인지 편향이라는 개체적 한계에 대한 제도적 대응 중 하나가 합의제 재판부 구성이므로, 그 구성 과정 역시 탈편향적으로 단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민단체의 다양성요구와 이를 증폭하는 대중매체의 역할은 큰 틀에서 수긍할 만하다.

그러나 이들의 논변은 합의제 재판부의 외적 획일성으로부터 재판부의 사실관계를 대하는 관점과 법적 견해의 획일성이 직접 초래된다고 보기 때문에, 역으로 판결의 획일성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방법은 그들이 주목하는 외적 획일성의 징표인 출신대·연령대·성별 등의 다양화로만 귀결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우리 법제상 대법관과 헌법재판관의 자격 요건이 법조인으로 한정되는 제도적 한계에서 상황적으로(임시방편적으로) 도출되는 의견임을 이해하지만, 다원성이 구현된 최고 재판부의 중요성에 비해 이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통념적으로 설정된 획일성을 초래하는 문제 법관의 외관이라는 전제조건을 실증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었고, 다양성 관점에 입각한 대법관·헌법재판관 인선 정책이 실증적 토대 위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그 단초를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 설계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는데 다양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조직 관리 차원에서 조직 구성원의 다양성과 조직의 성과 또는 조직의 응집성 간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법원의 사법적 판단을 분석한 연구들은 법관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개인적 배경과 판결 성향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합의제 재판부라는 집단을 분석단위로 하여 재판부 내 구성원들의 지표별 집중도(역으로 생각하면 다양성)와 그 재판부의 법적 견해의 집중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법원의 경우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에 재임한 대법관들의 인적 특성과 같은 기간에 선고된 모든 전원합의체 판결·결정을 수집하였다. 헌법재판소의 경우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에 재임한 헌법재판관들의 인적 특성과 같은 기간에 선고된 전원재판부의 모든 결정들을 수집하였다.
분석 기간 내의 대법원 전원합의체와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를 동일한 인적 구성을 갖는 재판부들로 구분하고 각각에 기수를 부여하였다. 대법원은 총 43개의 기로 구분되었고, 헌법재판소는 총 23개의 기로 구분되었다.
분석 대상 대법관들은 중복인원을 제외하고 총 63명이며, 헌법재판관들은 총 44명이다. 수집항목은 성별, 출생년도, 출신대학, 주 법조경력, 임명권자와 그 정치적 배경 등 총 35개 항목이다. 분석 대상인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결정은 총 368건이고,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결정은 총 11,260건이다. 모든 분석 대상 판결·결정들에 대해서 개별 대법관별, 개별 헌법재판관별 결론을 수집하였다.

독립변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개별 재판부마다 수집 항목별 집중도 또는 수집 항목별 평균·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변수로 하였다. 집중도의 지표는 허핀달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 HHI)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우선 분석기간 내에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선고한 모든 개별 판결·결정들에 대해서 의견일치도와 결론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의견일치도와 결론일치도의 정의와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설명하였다. 일치도의 지표는 독립변수와 마찬가지로 HHI지수이다. 이후 기수가 부여된 개별 재판부가 선고한 모든 판결·결정들의 의견일치도와 결론일치도의 평균을 구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재판부별 의견일치도와 결론일치도를 산출하고 이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별 재판부를 특정 기준에 따라 더미변환 시킨 후 각각의 종속변수들을 산출하여 집단 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대한 간추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원합의체의 평균연령과 연령표준편차가 전원합의체의 의견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단정할만한 실증적 근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최근인 대법원장4시기에 한정할 경우 평균연령 이상의 대법관 그룹과 평균 연령 미만의 대법관 그룹의 의견일치도는 매우 유사했다. 상대적으로 고령인 획일적 대법관 그룹과 다양한 의견을 활발하게 개진하는 상대적으로 젊은 대법관 그룹의 존재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재판부 내 의견 다양성은 각기 동질적이고 서로 이질적인 연령집단이 섞여서 만들어내는 다양성이 아니었다. 상대적으로 고령인 대법관 그룹에서도 상대적으로 젊은 대법관 그룹만큼이나 다양한 의견 분화가 이루어졌다. 전체 합의체의 의견 다양성 양상이 두 연령그룹 내에서 동일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는 의미이다.
둘째 대법관들의 출신대학 집중도와 의견일치도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5%미만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인정되었다. 다만 최근인 대법원장4시기에 한정했을 때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었다.
셋째 대법원장4시기에 한정할 경우 고위법관 출신 대법관 그룹의 의견일치도와 비법관 출신 대법관 그룹의 의견일치도는 유사했으며, 이들의 일치도는 전체 전원합의체의 의견일치도와도 유사했다. 고위법관 출신 대법관 그룹이 법적 견해의 측면에서 내적 획일성을 갖는지에 대한 실증적 근거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분석기간 전체에서 성별 집중도와 의견일치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다만 최근인 대법원장4시기로 한정할 경우 남성 대법관 그룹의 의견일치도가 여성 대법관 그룹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었고, 남성 대법관 그룹 내의 의견 다양성이 전체 전원합의체의 의견 다양성을 그대로 징표하고 있었다. 여성 대법관 그룹이 남성 그룹보다 동질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전원합의체가 갖는 의견 다양성이 남성 대법관 집단에서 같은 정도로 구현된다는 것은 여성 대법관 그룹이 갖는 의견 스펙트럼이 남성 대법관 그룹의 의견 스펙트럼에 포함된다는 의미라고 하겠다. 여성 대법관 그룹이 전체의 의견 다양성에 영향을 미쳤다면 전체의 의견 일치도가 남성 대법관 그룹의 의견 일치도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에 대한 간추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원재판부의 평균연령과 연령표준편차의 증감은 전원재판부의 의견일치도의 증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전원재판부의 출신대 집중도와 전원재판부의 결론·의견일치도 간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출신대 집중도와 의견일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통념을 입증할 만한 실증적 근거는 발견되지 않은 셈이다. 출신대학을 기반으로 어떤 내적 획일성을 추정하는 범주화에 대해서 신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전원재판부의 고위법관 출신 헌법재판관 집중도가 전원재판부의 의견일치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전원재판부의 성별 집중도와 전원재판부의 의견일치도 간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최근인 헌법재판소장6시기의 위헌법률심판청구 사건에 한정된 분석에서는 남성과 여성 그룹의 의견일치도 모두가 전체 재판부의 의견일치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성과 여성 그룹이 서로 이질적이면서 그룹 내부적으로는 동질적이어서 전체 전원재판부의 의견일치도를 낮추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한된 분석이기는 하지만 동질적인 남성 재판관 그룹에 여성 재판관들이 유입되면서 다양성을 증진 시킨 실증적 사례를 포착할 수 있었다. 법적 판단에 있어 남성과 여성 간의 체계적인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한 지점이다.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상의 제약으로 수집한 자료 전체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개별 분석 주제마다 의견일치도와 결론일치도를 모두 산출해서 분석에 활용했다면 훨씬 풍부하고 정교한 논의가 가능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도록 하겠다.
전원합의체나 전원재판부가 무작위 추출된 표본이 아니라 고도의 정치 작용을 거친 작위적 표본집단이라는 점에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예를 들어 전원합의체 재판 결과를 가지고 사람의 나이 듦에 따른 의식 변화를 포착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상대적으로 고령이지만 법원의 기존 견해에 균열을 낼 수 있는 인사가 전원합의체에 포함되었을 수도 있고, 재판에서의 의식 작용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은 지속적인 교정의 산물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통념에 입각한 가설들에 대한 반증이 된다는 점에서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외관으로 드러나는 판별 기준이 법관의 법적 견해를 온전하게 담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탐탁지 않아서 시작된 연구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임명자의 예상과 기대를 비껴가거나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킨 적지 않은 판결례들이 있었다. 법관의 인식이나 의식은 고정적일 수 없고 지속적으로 반응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전적으로 법관의 의사에 맡길 수 없는 현실적 필요가 있는 것이고, 한계가 노정된 논의일 수밖에 없지만, 보다 건실한 토대 위해서 최고 법원의 구성이 논의되길 희망하는 마음으로 연구를 맺는다.

주요어 : 대법원 전원합의체,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합의제, 인적 구성, 다양성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