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용자 중심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내 통합디자인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grated Design' in the 「Manual f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for User-Oriented Design: A Focus on Policy and Case Studies of Public Libraries in Jeonju City
전주시 공공도서관 정책과 사례를 바탕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혜조

Advisor
백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공도서관통합디자인이용자 중심 디자인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전주시 공공도서관매뉴얼 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3. 8. 백진.
Abstract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변화를 거치며 기존에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던 시설에서 벗어나, 지역주민과 도시의 이용자를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하는 시설로 변모하였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이용자들에게 일반적인 도서관 역할뿐만 아니라 전시와 공연 같은 문화 프로그램이나 강연과 교육 활동을 제공하기도 하고, 동아리나 취미 개발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도 하며 점차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도서관 패러다임은 자료만을 중요시하던 것에서 이용자의 다양한 사용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변화했다. 오늘날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신승수는 공공도서관이 개인과 커뮤니티 그리고 도시를 이어주는 기반 시설이자 도시의 거실이 된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대응해 국내 도서관 관련 최상위계획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도 2019년에 발간한 3차 계획부터는 정보에서 사람 중심으로 변화하는 도서관 역할 재고를 비전으로 삼으며, 이용자를 도서관의 중요 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공공도서관 현황을 살펴보면 양적 성장에만 관심을 두고 있어, 이러한 이용자를 중요시하는 방향과 비전이 실제 건립에 반영되어 공공도서관 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질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해 발간하여 현재 적용하고 있는 「202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내 건축 관련 지침에 해당하는 4장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을 분석하여 이용자 중심 디자인이 반영되고 있는지 검토한다. 이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응하는 전주시 공공도서관을 선례로 설정하여 해당 지자체의 정책적 사례와 이를 구현한 건축물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매뉴얼의 향후 개정 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한다.

전주시의 공공도서관은 전국 도서관들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꼽히며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곳으로 전국의 지자체나 공공도서관 관련 기관들의 전주시 공공도서관 연수가 지속되고 있다. 무엇보다 전주시는 일반적인 공공건축이 정해진 예산과 관리를 강조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수요를 적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아쉬움을 언급하며, 이와 다르게 전주시는 전문가와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최대한 반영한다고 명시한다. 따라서 이용자 관점으로 공공도서관을 바라봄에 있어, 전주시 내 도서관과 해당 지자체의 관련 지침을 고찰해 보는 것은 공공도서관 발전 도모를 위한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나, 전주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성과에 비해 학계에서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공공도서관 정책인 「책 중심 도시 조성 정책 수립 연구」와 전주시 내 6개 공공도서관을 사범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전반적인 공공도서관 제도의 역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흐름을 살펴보며 오늘날 국내 공공도서관 내 이용자 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후 이용자 중심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자의 해석을 고찰하고 이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이는 1) 이용자 중심 공간구성과 요소 적용, 2) 이용자의 직간접적인 참여 반영, 3) 지역 커뮤니티 및 도시와의 연계 고려이다.

3장에서는 「202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내 건축 지침에 해당하는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중심 디자인 방향성이 공공도서관의 비전뿐만 아니라 실제 건립과정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을 2장에서 도출한 3가지 이용자 중심 디자인 유형으로 분석하고 반영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통합디자인의 총 9가지 항목 중 3가지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5가지는 일부만 반영하고 있었으며, 1가지만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건축 전문가를 중심으로 지침이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비전과 실제 건립 지침이 다소 서로 상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완을 통해 차이를 줄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도출된 보완점들을 위한 선례로 전주시를 설정하여 해당 지자체가 정책적으로 어떻게 대응했는지 3가지 이용자 중심 디자인 유형을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주시는 1) 기능 중심 공간구성보다 이용자 중심 공간구성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공간구성 체계의 기준을 이용자 유형에 따르는 예시를 들고 있었다. 2) 전문가의 업무지침에만 치중하고 일률적인 특정 공간만을 지향해 강행하지 않고, 전문가 의견과 함께 실제 이용자 또는 비 이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3) 개별 도서관 활성화와 내부 공간에 집중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의 내외부를 같이 활용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개개인을 넘어 집단 또는 지역공동체를 위한 시설로 확장할 수 있도록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었다.

5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을 기반으로 실제 구현된 6개 관의 전주시 공공도서관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며 어떤 이용자가 주체가 되어, 어떻게 이용자 중심 디자인 요소들을 반영해 공간을 조성했는지 각각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건축 전문가를 포함한 일반 시민, 행정 및 운영관계자, 기타 전문가의 의견을 다양하게 반영하여 공간을 조성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정책과 사례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202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내 통합디자인이 보완해야 할 점들의 개선 가능성을 확인했다.

결론에서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개정 방향을 1) 기능 중심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용자 중심 공간구성 유형을 도입해 시대적 흐름에 맞는 공간을 방문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 2) 이용자의 다양한 참여와 의견을 전문가들이 수렴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집단 외의 여러 관계자가 참가하는 공공도서관이 되도록 하는 것, 3) 지역 상생과 도시의 연계를 고려한 공간 방향을 설정해 공공도서관이 일상 속 기반 시설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해 기존 안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의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의 특징을 이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이에 대응하고 있는 전주시 정책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고 나아가 이를 실제 건축으로 구현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앞으로의 공공도서관 통합디자인이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언하였다. 즉,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매뉴얼의 지침을 분석해 도출된 보완점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모범 사례를 토대로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추후 진행될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Public libraries have experienced substantial transformations over time, evolving from institutions primarily focused on provid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becoming versatile entities catering to the diverse needs of residents and urban users. This evolution has expande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beyond their traditional functions, incorporating various cultural programs, such as exhibitions, performances,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ctures, as well as support for local community programs, including clubs and hobby development. Consequently, public libraries have emerged as vital foundations and communal spaces for cities, facilitating connections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is paradigm shift underscores the prioritization of diverse user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transcending a singular emphasis on materials. Seung-Soo Shin emphasizes that contemporary public libraries serve as essential infrastructure, bridging individuals, communities, and cities.

To address changing trends and demands, South Korea's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has shifted its focus from an information-centric approach to a user-centric vision since its third iteration in 2019. This shift highlights the centrality of users in shaping the library experience. However, it remains imperative to assess whether this user-centric approach is adequately manifested in the actual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y architecture in South Korea.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presented in the '202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user-centric design principles are incorporated in these guideline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the public library in Jeonju City as a case example, elucidating aspects that require improvement and exploring policy cases and architectural implementations in the region.

Jeonju City's public library serves as a benchmark for other libraries nationwide, boasting high satisfaction among its citizens. The city stands apart by engaging in diverse surveys involving experts and residents, actively incorporating their input. This approach contrasts with conventional public architecture, which often adheres to predetermined budgets and management guidelines. Consequently, understanding Jeonju City's libraries and related guidelin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is pivotal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Despite its achievements, Jeonju City's public libraries have not been subjected to sufficient academic research compared to their accomplishments. He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olicy Study on Establishing a Book-Centered City' by Jeonju City and the six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ity.

Chapter 2 of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gression of public library development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user-centric design in present-day domestic public libraries. It reviews various interpretations of user-centric design by researchers and classifies them into three types for the analytical framework: 1) user-centric spatial configuration and element application, 2) direct and indirect user participation, and 3) consider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urban connections.

In Chapter 3, the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aligned with architectural guidelines in the '202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The analysis aim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user-centric design direction is being implemented in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The analysis employs the three user-centric design types identified in Chapter 2 to examine their respective reflec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out of the nine design items proposed by researchers, three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five are partially incorporated, and only one is fully integrated. Furthermore, the overall guidelines tend to prioritize expert input, suggesting an incomplete alignment between the vision of public libraries and the actual construction guidelines. Hence,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to address and reduce this discrepancy through improvements.

Chapter 4 draws on Jeonju City as a precedent to examine how the city has responded to the three user-centric design types in its policies. The results reveal that Jeonju City 1) prioritizes user-centric spatial configuration over function-centric spatial arrangements, establishing space configuration criteria based on user types, 2) emphasizes collaboration with experts while considering the opinions of actual users or non-users to shape spaces, and 3) strives to utilize both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public libraries, aiming to expand their role beyond individual users to engage the community and foster regional collective spaces.

Chapter 5 delves into the six public libraries in Jeonju City, exploring how they implemented user-centric design elements based on various users' perspectives, including architectural experts, ordinary citizens, administrative and operational staff, and other professiona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libraries effectively incorporated diverse opinions from various stakeholders into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is thorough analysis of policies and cases, the study identifies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from a user-centric design perspective.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ree directions for revising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1) adopting new user-centric spatial configurations that transcend function-centric approaches to provide visitors with spaces aligned with contemporary trends, 2) enabling experts to consider various stakeholders' input and opinions, thereby facilitating active participation of non-experts in public library spaces, and 3) setting spatial directions that consider regional cooperation and urban connections, thus transforming public libraries into essential everyday facilities.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s concret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address the discrepancies between public libraries' current visio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In summary,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in the '202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from a user-centric design perspective and identifies areas for improvement. Furthermore, it compares these findings with specific policy cases and architectural implementations in Jeonju City. Ultimately, it proposes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Public Library Integrated Design,' serving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refining the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8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4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