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일개 구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주민조직화 사례연구 : Community Organization through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in Seoul to Build Healthy Communities : A Qualitative Case Stud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채림

Advisor
유승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민조직화건강한 지역사회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주민참여 보건사업사례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8. 유승현.
Abstract
Policy effort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urban residents nowadays are shifting towards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The approach aims to promote community-level health by creating and developing the prerequisites for health in the community, such as healthy living conditions, education, and access to healthy food. This approach requires collaboration among multiple stakeholders as intervention in just one area is insuffici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who are the key stakeholders, is especially crucial. In South Korea, efforts to create healthy communities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have mainly be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munity-based health projects, and the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is a community based organization that actively participates in such policy efforts. Whi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there is still a lack of comprehensive efforts to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explore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public health.
Therefore,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organization through the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that has been engaged in community organization activities to address unique health issues in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examine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community leaders (community health leaders, community care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the outcomes of these activities, and the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mmunity health. It also explores the meaning of community organization for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The case under study is specific Welfare Social Cooperatives in Seoul, which has been engaged in community organizing activities since 2016 with the aim of promoting a healthy autonomous region, focusing on unique health issu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is initiative has continued beyond the period of the COVID-19 pandemic, up until the present year of 2023, utilizing the distinctive contextual factors of the community.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1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2 members of the project management team, and a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ase description and thematic analys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in community organization activities revealed diverse motivations for engagement, including previous experiences in community involvement, expectations regarding leisure and relationships, and tangible benefits. However, it was evident that their participation was driven by a sustained willingness to become proactive agents and develop the capacity to realize activ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capacity-building education and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With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they faced a decline in opportun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and a weakening of support for such activities. During their efforts to maintain activities without external support, they encountered difficulties in securing the necessary practical resources and experienced conflicting emotions regarding the state of "independe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utcomes of the activities and the implications for community health between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compared to general residents. Community leaders experienced a desire for change in a healthy lifestyle, provided assistance to other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formed social networks, and expanded their empathy and understanding towards elderly and neighboring communities. On the other hand, general residents benefited mainly in terms of assistance related to vulnerable health conditions, such as changes in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and the formation of caregiving networks with resident leaders. Finally,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the activities of community organization tended to revolve around the cooperatives, indicating intervention in blind spots and unmet health needs that public entities and professionals cannot address. However,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re are aspects that cannot be fully handled by the efforts of the local community alon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activities of the A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aimed at promoting a healthy autonomous region, were found to elicit motives for continued participation from community leaders and cooperative members through capacity-building education and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Simultaneously, the need to focus on developing the capacity to search for and secure necessary resources was identified to susta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activities. While community leaders secured the determination for proactive efforts towards health promotion through autonomous activities, general resi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initiative and autonomy, making it challenging to achieve a sense of ownership over their health.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lead the autonomous participation of general residents. Lastly,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as a grassroots membership-based organization, demonstrated strengths in establishing a stable foundation for participation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closely addressing the health needs of residents. However, the study also revealed a high level of reliance on the organization among the developed resident leaders. To achieve the goal of creating a healthy local community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 it is essential to utilize the strengths of the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s as the driving force while considering how its efforts and effects can extend beyond the cooperative and into the dimensions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to enable proactive engag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s an active agent in the process of community mobilization for a healthy local community. Firstly,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interest and activation of the community participation in community health projects that involve capacity development and utilize community mobilization strategies that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sustained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Secondly, it may be necessary to establish stro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o facilitate sustainable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environment, not limited to the cooperative dimension, by focusing on the process and outcomes of community organization activities and efforts to maintain activities.
오늘날 도시민의 건강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건강한 지역사회(Healthy Communities)는 주거, 교육, 음식 등 지역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건강의 전제조건을 조성 및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사회 차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접근이다. 이는 한 분야의 접근만으로는 개입이 어려워 여러 주체들의 협력이 필요하며,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위해 당사자인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한국에서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주민조직화의 노력은 주로 주민참여 보건사업의 형태로 이행되고 있는데, 지역사회의 건강요구에 대응하고자 활동하고 있는 주민조직인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주민리더 양성, 건강활동가 교육, 건강소모임 운영 등의 노력으로 이와 같은 정책적 노력에 빈번히 참여하고 있다.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조직의 그 고유한 특성과 활동에 대해 집중하는 시도가 연구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보건학의 분야에서 이를 주민조직화 이론의 시각으로 조명하고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의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종합적인 시도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고유한 건강 의제에 대해 주민조직화 활동을 지속해온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통해 주민리더(주민건강리더, 주민돌봄리더) 및 조합원의 참여 경험, 활동의 성과와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함의, 조직 운영진·주민리더·조합원에 주민조직화 활동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일 사례연구이다. 사례 대상은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목적을 가지고 건강한 자치구를 조성하기 위해, 2016년부터 코로나 19 팬데믹을 지나 현재 2023년까지 고유의 건강 사안에 대해 지역사회의 특징적 맥락을 활용하여 주민조직화 활동을 지속해온 서울시 A구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민리더(주민건강리더, 주민돌봄리더) 및 조합원 11명, 사업 운영진 2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조사, 문헌조사를 활용한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사례의 이해를 위한 사례서술 및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은 주민의 존엄성과 삶의 질 확보, 특히 취약집단의 건강권 보장에 중점을 두었으며 서로 돌봄이 가능한 관계망의 조성, 건강교육 및 집단적 활동을 통한 건강 지식 및 행태의 개선을 통해 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주민리더와 조합원의 참여 계기는 이전 주민활동의 경험, 여가 및 관계에 대한 기대, 실리적 이익 등 다양했지만, 이후 역량 강화 교육과 지역사회 돌봄 활동을 경험하며 활동 지속 의지와 실현 역량을 육성하는 등 점차 자주적인 활동가로의 모습을 갖추어 간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코로나 19 팬데믹의 도래로 지역사회 활동의 기회 및 활동에 대한 지원의 위축을 겪게 되었는데, 줄어든 지원 속에서 활동을 지키고자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활동에 필요한 자금, 공간 등 실질적 자원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독립 상황에 대한 갈등적인 마음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의 성과와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함의에 대해서는 주민리더와 조합원, 일반 주민 사이 그 양상의 차이가 있었다. 주민리더와 조합원의 경우 건강 변화의 욕구, 타인에 도움을 제공함에서 오는 긍정적 감정, 사회적 관계망 형성 및 노인/이웃 집단에 대한 공감과 이해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반면 일반 주민들의 경우 건강지식과 행태의 변화, 주민리더와의 돌봄관계망 형성 등 주로 취약한 건강상태에 대해 일방향으로 도움을 제공받는 측면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조직 운영진·주민리더·조합원에게 주민조직화는 그 활동과 영향의 범위가 조직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공공과 전문가가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 및 건강 욕구에 대한 개입이라는 의미가 있음과 동시에 주민조직의 노력만으로는 온전히 감당하기 힘든 성격의 전략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건강한 자치구 조성을 위한 A구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활동은 역량 강화 교육과 지역사회 돌봄 활동을 통해 주민리더 및 조합원의 활동 지속 의지로 이어지는 참여 동기를 이끌어냈다는 의미가 있었다. 동시에 활동의 실질적 유지를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을 모색하고 확보하는 역량의 육성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체적인 활동을 통해 건강증진을 위한 주도적 변화의 의지를 확보했던 주민리더와 달리 일반 주민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동에의 주도성과 자율성이 낮아 건강 주5
체성 확보까지는 도달하기 어려운 측면을 보여,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회원제 풀뿌리 조직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참여의 기반을 마련하고 주민의 건강 욕구에 긴밀하게 대응하는 강점이 있음과 동시에, 활동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어려운 현 상황에도 주민리더들의 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주민조직화의 실행 주체로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강점을 활용함과 동시에 그 노력과 그 효과가 조합 중심이 아닌 지역사회의 차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주민조직화 과정에 지역사회 주체가 능동적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고민이 필요한 부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활동 전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역량의 육성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주민조직화전략을 활용한 주민참여 보건사업 그 자체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주민조직화 활동 과정과 그 영향,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주민조직 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 환경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주민을 포함하여 다주체 간 협력의 공고화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