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체면과 남성규범이 남성의 상담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낙인의 매개효과 : Influence of face and Masculine Norms on South Korean mens help-seek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민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움추구자기낙인체면남성규면상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3. 8. 김동일.
Abstract
남성은 여성에 비해 높은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과 두배에 이르는 자살율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적 문제에 대한 도움을 청하고자 하는 비율이 현저하게 낮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같은 남성의 저조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에 체면이나 남성규범, 자기 낙인과 같은 심리사회문화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세-59세 성인 남성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322건의 자료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손상은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 낙인을 완전 매개하여 전문적 도움추구 수준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체면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자기 낙인의 수준을 높여 결과적으로 도움추구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체면이 도움추구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높일 수도 있다는 선행 연구의 발견이 재확인된 것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남성규범에 대한 순응은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즉, 남성규범에 동의하는 남성일수록 전문적인 도움추구를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셋째, 남성규범에 대한 순응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 낙인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남성규범에 대한 순응은 자기 낙인을 높였고, 자기 낙인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수준을 낮췄다.
본 연구는 도움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체면의 양면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한국 남성의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대한 사회문화심리적 접근의 지평을 넓혔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남성의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 낙인 개선을 위한 캠페인과 전통적 남성성으로부터 기인하는 호소문제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상담적 개입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e disparity between individuals in need of psychological assistance and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continues to widen. In particular, men's mental health needs are consistently overlooked. Compared to women, men are less likely to seek help and possess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professional help. This unique phenomenon in men can be attributed to their adherence to masculine norms and their self-stigmatiza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oss of face, a concept prevalent in Asian culture, and men's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and self-stigma. It was hypothesized that this relationship would subsequently increase men's negative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help. Data was collected from 341 men ranging from 19 to 59 years old, with 322 cases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loss of face indirectly influences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help through its mediating effect on self-stigma. Additionally,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was found to negatively predict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help, with self-stigma serv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Interestingly, the study found that the loss of face does not directly impact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help. This result aligns with previous findings regarding the ambivalent nature of the loss of face, where it acts as a barrier to seeking help while also motivating individuals to seek assistance in order to preserve their reputa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otential future ap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2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