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교체육에서 비판적 체육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How Critical Physical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Exploring social justice and democratic pedagogy practices i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중등체육 현장에서의 사회정의적, 민주적 교육 실천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윤섭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판적 페다고지사회정의중등체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3. 8. 최의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inequality and undemocratic situations in school settings in relation to the power structure of society, an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abilities and pedagogical measures necessary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practice critical pedagogy, one of the educational theories that seeks to address these issues through critical perspect. This study is organized aroun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es undemocratic education look like in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of undemocratic education, and how are these problematic situations being addressed? Third, What competencies are needed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practice critical education, and how should these qualities b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tilizing the stories and voices of participant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improving social issues through education.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were utilized to select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a commitment to teaching social justice and addressing inequality and conflict, and a total of 1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local document analysis, and the Nvivo program was used to categori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undemocratic situ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was identified as a phenomenon of subject marginalization due to the image of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function-oriented meritocracy, and inequality based on gender. In order to prevent and improve these undemocratic situation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imed to democratize the classroom space and strove to foster democracy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at goes beyond past conventions. Through these respon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ought to improve the undemocratic situation in the classroom and utilized social issues to foster democracy in students. Second, the factors that hindered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and critical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student factors, teacher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 factors included differences in prior experiences due to socio-economic differences among students, and inequalities due to power relations among students, and this undemocratic situation is not easily improved due to students' passivity and sensitivity. Teacher factors included teachers' inabil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practices due to their traditional ideas and lack of expertise in critical physical education practices. The low sensitiv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e undemocratic nature of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which led them to stick to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the lack of expertise in implementing critical physical education prevented them from implementing critical physical educ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due to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conservative culture, conflict, and hateful social atmosphere in Korean society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racticed critical pedagogy were able to implement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and had the expertise to practice critical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practice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they were found to be practicing equity-oriented physical education and to have the six core competencies identified in the curriculum as necessary to develop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ing critical physical education needed to have social sensitivity, critical thinking skills, openness to approach various topics without rejection, and reflective skills to learn the value of critical physical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access to such topics. In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critical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hysical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o be proactive in applying it to physical education lessons. In addition, neutralit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quality of teachers, who should consider the social climate, avoid choosing overly radical topics, and not impose their own opinions on students.
Suggestions for practice in the field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existing practice in order to develop a democratic PE classroom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and apply it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identify specific critical pedagogical topics that are currently required b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need to be addressed. In terms of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refine and confirm the perceptions of critical pedagog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lay a pivotal role in the manageme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rough further research. Second, in addition to interview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should be utilized to specifically confirm the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critical pedagogy in school setting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at apply critical pedagog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불평등, 비민주적 상황의 원인을 사회의 권력 구조와 연관지어 파악해보며,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교육 이론 중 하나인 비판적 페다고지를 실천하기 위해 체육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교육 방안은 무엇인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중등학교 체육에서 비민주적 교육은 어떤 모습인가? 둘째, 비민주적 교육 현상의 원인은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 상황은 어떻게 해결되고 있는가? 셋째, 비판적 교육 실천을 위해 중등 체육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한 사회 개선 의식을 파악하고 이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참여자들의 이야기와 목소리를 활용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 준거를 설정하여 의도적 표본 추출과 눈덩이 표본 추출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면담과 현지문서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Nviv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체육에서 나타나는 비민주적인 상황은 체육교과가 가진 이미지로 인한 교과 소외 현상과 기능 중심의 능력주의, 그리고 성별에 의한 불평등이 주된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체육교사들은 이러한 비민주적인 상황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업 공간의 민주화를 지향하였으며, 과거의 관습을 넘어서는 체육교육의 실천을 통해 체육교육 분야의 민주성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들은 이러한 대응을 통해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비민주적인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이슈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민주성을 함양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체육에서 민주적인 체육수업과 비판적 체육교육의 실천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은 학생요인, 교사요인,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었다. 학생 요인에는 학생들 간의 사회-경제적 차이로 인한 선행 경험의 차이, 그리고 학생들 간의 권력 관계로 인해 불평등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비민주적 상황은 학생들의 소극적인 자세와 예민함으로 인해 쉽게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요인에는 교사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 인해 민주적 체육수업의 실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 그리고 비판적 체육교육의 실천 전문성의 부족이 있었다. 체육교사들의 낮은 민감성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 체육수업이 가지고 있는 비민주성을 인지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기존의 체육수업에 고착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비판적 체육교육을 실천하는 전문성의 부족으로 인해 비판적 체육수업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요인으로는 체육교과에 대한 전통적 인식으로 인한 체육교과의 지위, 그리고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보수적인 문화와 갈등, 혐오 사회 분위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체육교육을 실천하는 체육교사는 민주적 체육수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비판적 체육교육을 실천하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었다. 민주적인 체육수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평등을 지향하는 체육수업을 운영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필요한 것으로 명시되어 있는 6가지 핵심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체육교육을 실천하는 체육교사의 전문성은 사회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 능력, 그리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거부감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개방성이 필요하였으며, 그러한 주제들에 대해 끊임없이 접근하면서 비판적 체육교육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학습할 수 있는 성찰 능력이 필요했다. 비판적 체육교육의 실천과 적용 과정에서는 체육교과가 사회의 정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체육수업에 적용하는 적극성이 필요했으며,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과도하게 급진적인 주제 선정을 지양하며 교사 개인의 의견을 학생들에게 주입하지 않는 중립성이 교사의 중요한 자질로 나타났다.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체육교사가 향후 민주적인 체육수업의 운영을 위해 기존에 행해진 체육수업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고 돌아볼 필요가 있다. 둘째, 체육교사들에게 비판적 페다고지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학교체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문화적 환경에 의해 현재 우리사회에서 요구되며,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비판적 페다고지의 주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후속 연구를 통하여 학교체육의 운영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체육교사가 가지고 있는 비판적 페다고지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시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체육교사 면담 이외에 참여 관찰과 비참여 관찰 등의 자료 수집 방식을 활용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비판적 체육교육의 실천 방식과 교육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비판적 페다고지를 적용한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8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2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