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식행동 : Food security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지현-
dc.contributor.author김정미-
dc.date.accessioned2023-11-20T04:39:57Z-
dc.date.available2023-11-20T04:39:57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846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700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46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2023. 8. 윤지현.-
dc.description.abstract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식품불안정군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시기의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식행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2,196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일주일 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팬데믹 이전과 팬데믹 시기의 식품안정성 실태를 파악한 결과, 팬데믹 시기의 식품불안정군 비율은 11.8%로 팬데믹 이전보다 2.4%p 더 증가하였다(p=0.009).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성(OR=1.4)이 여성에 비해, 고졸인 사람(OR=1.9)이 대졸인 사람에 비해,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사람(OR=1.7)이 500만원 이상인 사람에 비해, 1인가구 성인(OR=1.6)이 다인가구 성인에 비해 식품불안정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식품안정군과 식품불안정군의 팬데믹 시기에 따른 식행동 변화를 비교한 결과, 특히 식품불안정군의 경우 팬데믹 시기에 편의점에서의 식사(p=0.002)와 오프라인에서의 식품구매(p=0.016)가 식품안정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시기에 새로이 식품불안정군이 된 식품불안정 진입군은 5.5%로 전체 식품불안정군의 46.6%를 차지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장년(OR=2.4)이 중년에 비해 식품불안정 진입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식품불안정 진입군의 경우 팬데믹 시기에 신선편의식품(p=0.002), 즉석섭취식품(p=0.026), 간편조리세트로 조리한 음식(p=0.001)의 섭취가 식품불안정 지속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식품불안정군은 증가하였으며, 식품안정군과 식품불안정군의 팬데믹 시기에 따른 식행동 변화는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식품불안정 진입군은 전체 식품불안정군의 반 가까이를 차지하였으며, 식품불안정 지속군과 식품불안정 진입군의 팬데믹 시기에 따른 식행동 변화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동반하는 감염병 상황에서는 식품불안정군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해서는 식품불안정군에 속할 확률이 높은 사람을 주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식품불안정군의 식행동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식품불안정 진입군의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OVID-19 pandemic has exacerbated food insecurity globally, includ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ood security and eating behaviors of Korean adults during the pandemic.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week in July 2022, involving 2,196 adults aged 19 to 65 across the country. Comparing pre-pandemic and pandemic food security statuses, the proportion of the food insecure group during the pandemic increased by 2.4 percentage points, reaching 11.8% (p=0.00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everal 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s of being food insecure. Men (OR=1.4), individuals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1.9),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OR=1.7), and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OR=1.6) were more susceptible to food insecurity. Comparing changes in eating behaviors during the pandemic between the food secure and food insecure groups, the latter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eating at convenience stores (p=0.002) and offline food purchases (p=0.016). Interestingly, 5.5% of the respondents became newly food insecure during the pandemic, accounting for 46.6% of the total food insecure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iddle-aged adults (OR=2.4) were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newly food insecure group compared to older adults. Moreover, the newly food insecure group exhibited mo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intake of fresh-cut products (p=0.002), ready-to-eat foods (p=0.026), and meal-kits (p=0.001)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consistently food insecure group. In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led to an increase in the food insecure population in South Korea. Differential changes in dietary behaviors were observed between the food secure and food insecure groups, with the newly food insecure group compris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food insecure population.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to address the growing food insecurity issu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vulnerable demographics and considering changes in dietary behaviors when designing effective support interventions. These findings serve as a basis for formulating targeted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alleviate food insecurity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ccompanied by social distancing meas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ⅰ
목 차 ⅲ
표 목 차 ⅵ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Ⅱ. 문헌고찰 4
1. 식품안정성 4
1) 식품안정성의 개념 4
2)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식품안정성 5
2. 식행동 9
1) 식행동의 개념 9
2)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식행동 9
Ⅲ. 연구 방법 16
1. 조사대상 및 방법 16
2. 조사내용 16
1) 식품안정성 18
2) 식행동 18
3. 분석방법 20
Ⅳ. 결과 및 고찰 24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4
2.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 26
1) 식품안정성 실태 26
2) 식품안정성과 관련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29
3.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행동 40
1) 식사 장소 40
2) 식품구매 방법 44
3) 가정간편식 및 배달음식 섭취 48
4) 건강기능식품 섭취 51
4.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한국 성인의 식행동 변화 56
1)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행동 변화 56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식행동 변화의 관계 62
Ⅴ. 결론 및 제언 69
1. 요약 및 결론 69
2. 제언 72
Ⅵ. 참고문헌 75
부록. 설문 문항 83
Abstract 90
-
dc.format.extentvii, 9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식습관-
dc.subject감염병-
dc.subject온라인 설문조사-
dc.subject로지스틱 회귀분석-
dc.subject.ddc641-
dc.title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식행동-
dc.title.alternativeFood security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ung mi-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846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846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