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달영 가야금 산조 선율 변주 양상 연구 : A Study of Variation Patterns in Jung Dal-young's Gayageum Sanjo Melodies : Focusing on Jinyangjo
진양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민지

Advisor
이지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숙구계정달영가야금 산조즉흥성조구성변주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8. 이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숙구 계보로 이어지는 정달영의 가야금 산조 진양조 자료 6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정달영의 선율을 토대로 조구성과 변주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첫 번째는 조구성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선율 진행 및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고, 두 번째는 자료 간의 유사 선율 비교를 통해 변주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정달영 가야금 산조 진양조 선율에 내재하는 조구성의 원칙에 대해 살펴보았고, 유사 선율 비교를 통해 정달영의 즉흥적 연주 안에서 나타나는 변주 방법을 고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달영의 가야금산조 진양조는 여타 산조에서 나타나는 구전조명 우조-평조-계면조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구전우조와 구전평조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인 돌장의 성격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둘째, 정달영 가야금 산조 진양조 선율은 a청 평조 → e청 계면조 + a청 평조(혼합조) → g청 평조 → g청 계면조 → d청 계면조 → g청 계면조로 기호상 A-B-C-D-E-D 구성을 갖추고 있다. 또, d청, b♭청, c´청 계면조와 b♭청 평조 등의 일시적 변청변조 선율이 삽입되어 진행되는데 이러한 전개는 구전계면조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정달영 가야금 산조 진양조는 기호상 A-B-C-D-E-D의 조구성 원칙을 지니며, 일시적 변청변조가 D-E-D를 근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달영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유사 선율에서 도출한 변주 기법은 크게 선율, 음, 리듬, 시김새 및 연주법으로 4가지 변주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선율 변주는 선율을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진행되며, 완전4도 또는 완전8도 관계로 이조하여 진행되기도 한다. 종지구에 해당하는 선율은 청 변화 예시 또는 하행 도약 예시를 하여 진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음의 변주는 시작음과 사이음의 변형, 유사 선율 내 음높이의 변형이 나타나며, 농현하는 음을 연장하여 박을 채우기도 한다. 또, 사이음을 추가 하거나 생략하여 진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리듬 변주는 삼분박의 균등 분할과 음의 길이 변화로 시가의 차이를 보인다. 시김새 및 연주법 변주로는 시김새가 축소 또는 확장되어 진행되며, 동일음으로 구성된 시김새가 변형되어 진행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동일음을 한 줄 아래 또는 두 줄 아래에서 눌러내거나 개방현에서 내는 연주법을 사용하여 진행한다.

넷째, 위에서 도출한 변주 방법의 빈도 수를 파악한 결과, 정달영은 사이음을 추가 및 생략하여 변주하는 방법과 동일음을 구성하는 선율을 축소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변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six pieces of Gayageum sanjo Jinyangjo notation, which is a part of the Han Suk-gu lineage, and explores the Mode Composition and variation methods based on Jung Dal-young's melodies. The first part investigates the overall melodic progre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centered around the Jinyangjo structure. In the second part,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similar melodies in the pieces to uncover the variation techniques. Through this analysis, we examine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Jinyangjo in
Jung Dal-young's Gayageum sanjo melodies and delve into the improvisational variation techniques employed by Jung Dal-young during performan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Jung Dal-young's Gayageum sanjo melodies largely adhere to the traditional pattern of Ujo - Pyeongjo - Gemyeonjo , while the transitional Doljang plays a distinct role in connecting Ujo and Pyeongjo.

Secondly, the Gayageum sanjo melodies by Jung Dal-young follow the symbolic notation structure of A-B-C-D-E-D, progressing from "Key Center of A Pyeongjo to Key Center of E Gemyeonjo + Key Center of A Pyeongjo (hybrid) to Key Center of G-Pyeongjo to Key Center of G Gemyeonjo to Key Center of D Gemyeonjo to Key Center of G Gemyeonjo.
Additionally, temporary modulation melodies such as D, B♭, and C' Gemyeonjo, and B♭Pyeongjo are inserted,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traditional Gemyeonjo.

Thus, we can conclude that Jung Dal-young's Gayageum sanjo melodies are rooted in the A-B-C-D-E-D structural principle in symbolic notation, with temporary modulations revolving around the D-E-D foundation.

Thirdly, the variation techniques derived from similar melodies in Jung Dal-young's Gayageum sanjo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melodic, tonal, rhythmic, and phrasing and performance techniques. Melodic variation involves condensing or expanding the melody and sometimes utilizes whole-tone or octave relationships. The ending melody showcase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heong variation examples or downward interval leaps.
Tonal varia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starting and intermediary tones, as well as transformations of pitch within similar melodies. Additionally, the technique involves prolonging notes and filling in rests. Variations are also observed by adding or omitting intermediary tones.
Rhythmic vari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qual division of the triple beat and lengthening of notes, which creates differences in the rhythm of the poetic meter (siga).
Phrasing and performance technique variations involve compressing or extending the phrasing, transforming identical phrasing, and employing techniques like pressing or releasing the same pitch one or two lines below or above or using plucking at the open strings during performances.

fourthly,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derived variation techniques, we find that Jung Dal-young mainly employs methods such as adding or omitting intermediary tones for variation, as well as condensing melodies with identical pitch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