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세기 초 선전관청 발의 《정묘조왕세자책례계병(正廟朝王世子冊禮稧屛)》의 정치적 성격 : A Study of The Commemorative Folding Screen of the Crown Prince's 1800 Investiture Ceremon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유정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묘조왕세자책례계병(正廟朝王世子冊禮稧屛)》선전관청(宣傳官廳)요지연도(瑤池宴圖)계병(稧屛)가례(嘉禮)왕실 여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3. 8. 장진성.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function of The Commemorative Folding Screen of the Crown Prince's 1800 Investiture Ceremony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a folding screen created in the early 19th-century Joseon court and commissioned by the Office of Heralds (Seonjeongwan-cheong). This painting is highly unusual in its subject, because it depicts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a mythic banquet of immortals, which shows no relation to the investiture ceremony.
By reexamining the creation date of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work was actually completed after 1802. This newly discovered fact strongly suggests that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on the screen was painted after 1802 as well. Furtherm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was completed to celebrate the royal wedding ceremony of 1802, which was the marriage between King Sunjo (r. 1800-1834) and Queen Sunwon (1789-1857), as it marked the reclaiming of power for the Office of Heralds. The Office of Heralds could restore their power owing to the political alliance with Kim Josun (1765-1832), Queen Sunwon's father, who had control over the military.
In addi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on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symbolically represented the royal wedding of 1802.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olding screens depicting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ere commonly used to celebrate wedding ceremonies, suggesting that the theme of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was also chosen to commemorate the royal wedding of 1802.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indeed, is laden with iconographic elements that signal its relation to a wedding ceremony. Additionally,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a Daoist female deity, served as a visual and literary symbol representing royal women as female hosts of royal banquets. Notably, the folding screen of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installed in Queen Sunwons living quarters, implying that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also highlighted her as a female protagonist of the wedding. In all likelihood, The Screen of the Investiture Ceremony served as a visualized political symbol for the Office of Heralds to commemorate the royal wedding ceremony, which w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reclaiming their power and authority.
본 논문은 《정묘조왕세자책례계병(正廟朝王世子冊禮稧屛)》(이하 《정묘조계병》)의 화제인 요지연도(瑤池宴圖)가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 1857)의 가례(嘉禮) 성사를 기념하여 그려졌음을 밝힌 글이다. 1800년의 왕세자 책례(冊禮)를 기념하여 선전관청(宣傳官廳)에서 발의한 《정묘조계병》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 대(代)의 계병(稧屛)들 중에서 매우 이례적인 작품이다. 정조 대의 계병들에는 모두 정조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행사도가 그려졌으나 이 작품에는 서왕모(西王母)의 잔치를 주제로 한 요지연도가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전까지 선전관청에서 궁중 계병을 발의한 사례는 없었다.
필자가 좌목(座目)을 검토한 결과 《정묘조계병》은 실제로 정조 사후 순조(純祖, 재위 1800-1834) 대 초인 1802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정묘조계병》의 요지연도가 1802년 이후에 선택된 화제였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정묘조계병》은 국왕의 측근 무관인 선전관에게 세자의 보호를 맡기고자 한 정조의 의도에 따라 발의되었다. 그런데 이 계병이 실제로 완성된 시점은 1802년에 치러진 순조와 순원왕후의 가례 이후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순조와 순원왕후의 가례는 본래 책례와 함께 거행되기로 기획되었을 뿐만 아니라 선전관들이 위축된 세력을 회복하게 된 행사였기 때문이다. 정조 사후 집권한 벽파(僻派) 세력이 정조 대의 핵심 관료들을 제거하자 선전관들의 세력 또한 약화되었다. 그러나 선전관들은 결국 가례를 기점으로 권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당시 무관들과 긴밀한 정치적 유대를 맺고 있던 김조순(金祖淳, 1765-1832)이 가례를 통해 국구(國舅)가 되고 군사권을 장악하며 선전관들도 정치적 이익을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묘조계병》의 요지연도는 1802년의 가례와 관련이 깊은 그림이었다. 조선 후기에 요지연도는 혼례를 축하하기 위해 사용된 화제였다. 《정묘조계병》에도 서왕모와 동왕공(東王公)의 만남, 악기 연주와 무용 장면 등 실제 왕실 가례와 연관된 도상들이 재현되어 있다. 1802년의 가례가 준비되는 과정에서도 창덕궁(昌德宮)의 대조전(大造殿)에 요지연도 병풍이 설치된 바가 있었다. 이는 요지연도가 1802년의 가례를 축하하기에 적합한 그림이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대조전이 새로 왕비가 될 순원왕후가 기거할 공간이었다는 점으로 볼 때 대조전의 요지연도 병풍은 순원왕후를 위해 설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조 대 이후 19세기 초까지는 왕실 여성을 행사의 주인공으로 강조하기 위해 서왕모가 상징적인 존재로 활용되는 분위기가 확산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화제로 선택된 《정묘조계병》의 요지연도는 순원왕후를 가례의 주인공으로 부각하는 의미가 담긴 그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정묘조계병》은 선전관들이 1802년의 가례를 기념하기 위해 요지연도를 화제로 선택하였으며 이들의 정치적 결속이 가시화된 그림이었다고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7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