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제에 의한 조선 도서 및 기록류 관리체계의 재편과 그 의미 : Reorganization of Joseon State-owned Book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Imperial Japan and Its Mean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영

Advisor
오수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서기록서목규장각제실도서참사관분실도서관장서각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3. 8. 오수창.
Abstract
한 국가의 국가기록물 관리체계는 그 국가의 정치문화, 이념, 구조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조선에서는 국가의 고유한 운영원리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도서 및 기록류를 관리해왔다. 지식인층에 의한 정치가 유지될 때는 국가의 지식·정보 역시 지식인 계층에 공개하는 정도로 유지될 수 있었다. 근대 이전 시기에는 이렇듯 대체로 지식·정보가 지배층에 의해 독점되는 경향이 있으나, 그 독점의 양상은 근대화와 함께 변화하여 유통이 비공개에서 공개로, 유통의 대상은 일반 시민층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일본은 조선에 대한 불법 강점을 부인하면서 조선의 근대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강변해오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조선이 남긴 지식·정보에 관한 일본의 정책이 어땠는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대한제국기에는 규장각을 비롯한 여러 관서의 서고들, 그리고 궐 밖에 위치한 행궁이나 각 지방의 사고들에서 개별적으로 도서와 기록류를 소장하고 있었다.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도서 및 기록류를, 서로 구분을 이루는 가운데 같이 소장하고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관리체계는 일제의 관여 이래 일련의 재편을 겪게 되었다. 1907년 11월 27일 궁내부 관제 개정에서는 궁내부 속사들이 통폐합되었고, 이 과정에서 종부사, 홍문관, 돈녕사의 기능이 규장각에 통합됨으로써 규장각의 기능이 형식상 강화되었다. 이러한 개편은 일제가 궁내부 예산의 절감을 위해 추진한 것이었다. 1908년 초에는 궁내부 훈령으로 궁내부 산하의 각 서고를 조사하도록 했다. 1908년 9월 23일, 「규장각 분과 규정」이 제정되어 규장각 아래에 전모과·도서과·기록과·문사과의 네 분과가 설치되었다. 이것은 일제가 일본의 궁내성 도서료와 유사한 기능과 구조를 가진 기구로 만들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규장각 산하의 각 분과에 의해 궁내부 산하의 도서 및 기록류가 규장각 아래 각 분과에 종류별로 집결되었다.
전모과에서는 어제·어필, 선첩·선보 등 황실과 관계되는 전모 자료를 관리했다. 도서과는 규장각, 홍문관, 집옥재, 시강원, 북한산행궁 내에 있던 도서들 약 10만 책을 모아 제실도서로 관리했다. 기록과는 궁내부의 기록 편찬의 사무를 담당하는 한편으로, 궁내부 산하에 있던 『승정원일기』, 『일성록』, 각종 등록류, 의궤류와 각종 공문서류 등의 보관을 담당하였다. 이 자료들은 궁내부기록으로서 규장각 기록과 소관이 되었다. 문사과는, 전통적인 문사(文事)와 관련한 다양한 업무, 그리고 타과 주관에 속하지 않는 사항을 담당하였다. 이렇듯 궁내부 소관의 도서 및 기록류가 규장각 산하 각 과로 집결되는 변화가 있었고, 분과마다 종류별로 분리 관리하는 방식으로의 변화가 동반되었다. 도서와 관련해서는 제실도서관의 개관이 기획되었다. 그러나 도서관은 개관하지 않았고,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함께 규장각이 폐지되고 자료만 남았다.
순종대 규장각 산하로 모여있던 조선 도서 및 기록류는 강점 이후 약 5개월간 궁내부 잔무취급직에 의해, 그리고 약 4개월간 이왕직에 의해 관리되다가 1911년 6월, 조선총독부 취조국에 강제접수되었다. 조선총독부 취조국과 취조국 폐지 후 그 사무를 이어받은 참사관실은 구관제도조사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구였다. 조선 도서 및 기록류와 관련해서는 공공도서관이나 문서관의 개관과 같이 그 지식·정보를 대중이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하지 않았다.
조선총독부에서 관리하기 시작한 이후로는 도서와 기록, 문서철, 첩 등 그 종류를 불문하고 일괄 도서로 취급하여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정리했고 목록과 해제를 작성했다. 총독부 각 부서에서는 식민 통치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에 있어 이 자료를 참고하고 활용했으며 조사기구에서 만든 목록과 해제는 그 활용을 원활하게 하는 창구의 역할을 했다. 취조국·참사관분실 자체로도 본연의 구관제도조사의 업무를 수행했다. 취조국·참사관분실 서고는 당시 속칭 규장각으로 칭해지고 있었는데,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이곳에 소장된 자료들이 소개되고 활용되었다.
총독부의 자료 활용의 목적은 점차 역사 편수에로 그 비중이 옮아가게 되었다. 1922년 11월을 기하여 학무국의 소관으로 옮겨져 학무과분실이 되었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학무국 산하 공공도서관으로서 조선총독부도서관 설치를 추진하여 1925년에 개관하였다. 학무과분실 도서 일부를 개관시 기초장서로 보관전환했다. 학무과분실의 대부분의 도서 및 기록류는 여전히 폐쇄적으로 보관되고 있으면서 지식·정보의 독점이라는 전근대성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선의 도서 및 기록류를 근대적으로 관리할 의사가 없었던 조선총독부는 조선 도서·기록류를 분리·해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조선시대 도서 및 기록류 중 일부는 1911년 6월 당시 이왕직 관할로 정해져 장서각 도서를 이루었다. 이왕직 소관이 된 자료로는 무주 적상산사고 도서 및 기록류와 봉모당에 보관되고 있던 전모 자료, 구 도서과에서 신규 구입한 도서 등이 있었다.
한편 통감부 및 조선총독부라고 하는 특수관권에 의해 이루어진 반출의 사례들은, 일제의 도서 관련 정책의 주목적이 조선 도서 및 기록류를 온전히 보전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루어졌던 해체의 측면을 보여준다. 통감부 시기 있었던 이토 히로부미 반출건과 조선총독부에서 오대산사고본 실록을 도쿄제국대학으로, 의궤를 궁내성 도서료로 기증을 명목으로 반출한 건은 상당 수준 사실관계의 규명이 이루어졌다. 오대산사고본 실록은 관동대지진 당시 화재로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며, 잔존본에 한해 환수되었다. 나머지 두 건에 관해서도 근년까지 환수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아직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반출건들이 존재한다.
먼저 규장각 소장의 도서출납부상에는 일부 도서가 고다마 히데오(兒玉秀雄) 정무총감에게 기증되어 그에 의해 데라우치문고로 보내졌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실지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해당 책들은 모두 야마구치 현지에서 보관되고 있었다. 또한 1920년대 일본이 벨기에 뢰번 가톨릭 대학교 도서관의 전후 복구 원조로 도서 1만 3천여 책을 기증할 때 그 안에 조선총독부 기증 도서를 함께 보냈는데 여기에 당시 학무과분실에서 소장하고 있던 조선 도서가 38종 포함되었다. 여기에 총독부에서 발간한 조선 통치의 성과를 홍보하는 책자 몇 가지가 첨가되어 보내졌다. 이 도서들은 현재도 벨기에 UCL 도서관에 일본도서 컬렉션으로서 소장되고 있다.
끝으로 반출이 의심되는 사례로서 도쿄대학 오구라문고 소장 학부도서를 살펴보았다. 도쿄대학 오구라문고는 오구라 신페이의 장서 기증을 토대로 형성된 것으로, 그 안에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중앙관청이었던 학부(學部)의 장서인이 날인된 도서가 있다. 현재까지 확인되기로는 12종이다. 학부도서는 강제병합 이후 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취조국-참사관분실로 인계되어 현 규장각 도서 중에서 대체로 확인이 되나, 위의 12종은 알 수 없는 경위로 오구라 신페이 장서에 포함되어 현재 도쿄대학에서 소장되고 있다. 오구라 신페이는 1911년 5월에 총독부 학무국에서의 근무를 시작한 이력이 있는 인물이며 국가 소유의 도서는 매매의 대상이 아니기에 합법적 취득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A countrys nati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appears in relation to its political culture,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books and records were managed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uniqu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tate. When politics by the intellectual class is maintained, the states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also generally disclosed to the intellectual class. In the pre-modern period, knowledge and information generally tended to be monopolized by the ruling class. The aspect of the monopoly changed with moderniz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expanded from private to open, with the target of distribution expanded to ordinary citizens. Japan has denied the illegal forced annexation of Joseon and has insisted that it was an inevitable choice for the modernization of Joseon.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policy as it pertains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managed by Jos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the offices of various governmental agencies in the palace and local National History Archives individually owned books and records. Depending on the purpose, various types of books and records, such as the kings words, Confucian Scriptures, and official documents, were kept together, with distinction and in order.
This management system began to be reorganized after Japanese involvement. On November 27, 1907, the Japanese led the revision of Gungnaebu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of the Korean Empire. The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Gungnaebu were merged. The functions of Hongmungwan, Jongbusa and Donnyeongsa were integrated into Gyujanggak. This reorganization was led by the Japanese to reduce the budget.
On September 23, 1908, the Regulations for the Subdivision of Gyujanggak were enacted and four divisions were established under Gyujanggak. These were Jeonmo-gwa, Doseo-gwa, Girok-gwa, and Munsa-gwa. The Japanese imperialists attempted to make Gyujanggak of Gungnaebu an organization with functions and structures similar to those of Japans Zushoryo (Bureau of Drawings and Books) of Kunaisho (Department of the Imperial Household). In addition, by each division under Gyujanggak, books and records under Gungnaebu were gathered by type.
Jeonmo-gwa managed the royal genealogy, the kings words, the kings portraits, and other such publications. Doseo-gwa, the Division of Books collected approximately 100,000 books from the old Gyujanggak, Hongmungwan, Jibokjae (King Gojongs library), Sigangwon, and Bukhansan Haenggung and managed them as Jesil (Imperial Household) Books. Girok-gwa, the Division of Records managed the Records of Gungnaebu, which included Seungjeongweon Ilgi (Daily Record of the Grand Secretariat), Ilseongrok (The Record of Daily Reflections), various Deungrok (transcribed records), Uigwe (illustrated records of rituals), and various official documents under Gungnaebu. Munsa-gwas work involved a variety of tasks, including the writing of Ilseongrok and the recording of history.
Regarding Jesil Books, the opening of the Imperial Household Library was planned. However, the library was not opened, and along with Japans forced merger with the Korean Empire, Gyujanggak, a management organization scheme for books and records, was abolished.
Books and records that were being managed by Gyujanggak were forcibly receiv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rds of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of the Korean Empire were also received by the Governor-General. The Investigation Bureau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ook over and managed books and records owned by the Joseon state; a year later, it was managed by the Counselors Office.
With being managed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se books and records began to be considered books regardless of their type. The Investigation Bureau, and later the Sub-office of the Counselors Office, compiled a list and documentation of this book and its records. These books and records were used to investigate ancient customs and systems in Joseon. Japanese scholars also studied and referred to these books.
The purpose of the use of data by the Governor-General gradually shifted to historical compilation. In November of 1922, books and records owned by the Joseon state were transferred to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Bureau.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pened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ibrary in 1925. For the opening of this library, some books that were kept in the Sub-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Section were distributed. However, the distribution was limited to a few books. The Joseon State-owned books and records were still kept closed, an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were monopolized.
Meanwhile, when the Bureau of Investigation began to manage these books and records in 1911, some of them were separated and managed by Yiwangjik (Yi Household Agency). Yiwangjik mainly managed the records kept in Bongmodang by Gyujanggak Jeonmo-gwa, and the books and records of the Jeoksangsan History Archives. The royal records and general records were separately managed by Yiwangjik,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nage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 that books and records were leaked several tim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Regarding this issue, there are several well-known cases, and some have been returned to Korea. This study followed several unknown cases: books sent to Terauchi Bunko in Japan and books to the University Library in Leuven, Belgium. It is also necessary to track Hakbu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Empire) books currently in the Ogura Bunko at the University of Tokyo.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9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