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각 경험의 내용은 개념적인가 아니면 비개념적인가? : Is the Content of the Perceptual Experience Conceptual or Nonconceptual?: Defending the Dual Process Theory as a Compatible Model
양립 모델로서의 이중 과정 이론에 대한 옹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대한

Advisor
이해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각비개념주의개념주의신경철학이중 과정 이론미분음심리철학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3. 8. 이해완.
Abstract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debate between conceptualism about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hereafter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about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hereafter nonconceptualism)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and to propose a compatible model of the two opposing theories, the dual process theory, as a new alternative i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To this end, this paper will provide a critical examination of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which are two philosophical theories that hold opposing views on the nature of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and will show that both theories face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perception as a mental state operated by a single mechanism. Instead, based on studies in cognitive science and neurophilosophy, this paper argues that perception is a mental state composed of a dual process involving two different types of mechanisms and proposes a dual process theory that integrates aspects of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Furthermore, this paper will prove the validity of the dual process theory by demonstrating its use in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based on the existing arguments of analytic aesthetics.
Chapter Ⅰ preliminarily explores and defines the meaning of the three key terms used in the central question of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Is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conceptual or nonconceptual? First, the author examines what the perceptual experience means as distinct from perceptual belief; second, the author specifies what the content refers to when discussing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and third, the author explains how the concept could be defined when used to argue whether content is conceptual or nonconceptual.
Chapter Ⅱ examines conceptualism through a critical lens. It begins with a consideration of the two motivations of conceptualism and then reviews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conceptualists such as John McDowell and Bill Brewer as well as the criticisms they face.
Chapter Ⅲ critically examines nonconceptualism. Giving an overview of the motivations that several nonconceptualists have in common, the author distinguishes the arguments of nonconceptualists into two types. In this paper, the author categorizes Tim Crane's argument, which focuses on raising objections to conceptualism, as negative nonconceptualism, and Christopher Peacocke's argument, which seeks to provide concrete candidates for the nonconceptual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as positive nonconceptualism. At the end of the chapter, the author critically examines both arguments and the objections raised to them.
Chapter Ⅳ suggests the dual process theory as a compatible model that integrates aspects of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and argues that the dual process theory offers a new alternative in the philosophical debate about the nature of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The key issue in both theories arises from the fact that conceptualism and nonconceptualism both presuppose perception as a mental state operated by a single mechanism. Here, the author instead advocates a dual process theory that understands perception as a mental state that is a composite of multiple processes, each of which produces content of a different nature according to two different types of mechanisms.
In Chapter V, the author demonstrates the validity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dual process theory based on an elucidation of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Prior to the demonstration, the author examines what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is and the typical conceptualist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 the scale-degree hypothesis - and the nonconceptualist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 Diana Raffman's N-pitch perception theory. Then, the author verifies that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microtones with the dual process theory has several advantages over the existing conceptualist and non-conceptualist understandings. In conclusion, through this demonstration,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philosophical explanatory power and aesthetic implications of the dual process theory.
본 논문은 지각 경험의 내용이 어떠한 성격의 대상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지각 경험의 내용에 관한 개념주의(이하 개념주의)와 지각 경험의 내용에 관한 비개념주의(이하 비개념주의) 사이의 철학적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각에 관한 철학적 탐구에서의 새로운 대안으로써 서로 대립하는 두 입장의 양립 모델인 이중 과정 이론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각 경험의 내용의 성격에 대해 대립적인 입장을 제기하고 있는 두 철학적 입장인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지각을 단일한 메커니즘으로 운용되는 심적 상태로만 이해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짐을 밝힐 것이다. 그 대신 본 논문은 인지과학과 신경철학의 논의를 토대로 지각을 서로 다른 두 메커니즘이 결합된 이중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심적 상태라고 주장하며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의 양립 모델인 이중 과정 이론을 옹호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기존의 미학적 논의만으로는 합리적으로 해명하기 어려웠던 미분음 지각의 사례를 이중 과정 이론을 통해 더 잘 설명해낼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이중 과정 이론의 설명력을 검증해 보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의 핵심 쟁점이 되는 물음인 지각 경험의 내용은 개념적인가? 혹은 비개념적인가?에서 사용된 세 용어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예비적 고찰을 시도한다. 첫째로 지각적 믿음과 구별되는 논의 대상인 지각 경험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며, 둘째로 지각 경험의 내용이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를 구체화하고, 셋째로 그 내용이 개념적 혹은 비개념적이라고 말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 대상인지를 설명한다.
Ⅱ장에서는 개념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개념주의를 지지하는 이들이 어떠한 동기를 갖고 있는지를 언급한 후, 맥도웰(John McDowell)과 브루어(Bill Brewer)로 대표되는 개념주의자가 제시하는 논변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그 논변이 마주하는 비판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비개념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우선 비개념주의자들이 공통적으로 어떠한 동기로부터 출발하는지를 살펴보고, 비개념주의의 논변을 두 유형으로 세분화한다. 개념주의에 관한 반론을 제기하는 데 초점을 맞춘 크레인(Tim Crane)의 논의를 소극적 비개념주의로, 지각 경험의 비개념적 내용의 구체적 후보를 제시하고자 하는 피콕(Christopher Peacocke)의 논의를 적극적 비개념주의로 구분하여 그 논변과 그에 제기되는 반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Ⅳ장에서는 이중 과정 이론을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의 양립 모델로서 제시하고, 이중 과정 이론이 지각 경험의 내용에 관한 철학적 논쟁에서 새로운 대안임을 주장한다.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가 공통적으로 지각을 단일한 메커니즘으로만 운용되는 심적 상태로 전제한다는 사실로부터 두 진영의 문제가 발생함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서 지각을 서로 다른 두 유형의 메커니즘에 따라 각기 다른 성격의 내용을 산출하는 복수의 과정의 연합체인 심적 상태로 이해하는 이중 과정 이론을 옹호한다.
Ⅴ장에서는 미분음 지각 사례를 근거로 이중 과정 이론의 타당성과 설명적 유용성을 입증한다. 입증에 앞서 미분음 지각 사례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미분음 지각 사례에 대한 개념주의적 이해인 음계도 가설과 비개념주의적 이해인 래프먼의 N-음고 지각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반면, 이중 과정 이론에 따른 미분음 지각 사례의 이해는 기존의 개념주의적 이해와 비개념주의적 이해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가짐을 증명함으로써, 본 논문은 이중 과정 이론의 철학적 설명력과 미학적 의의를 밝힐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0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