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조직의 정보공개 수준과 청렴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Disclosure Level and Integrity in Public Organiz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기오

Advisor
이진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보공개청렴도투명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이진수.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plays a practical role in preventing corruption in line with the purpose of its introduction in 1998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national sovereignty, enhance trust in state affair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60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education offices, and public corporations, by collecting data on information disclosure acceptance rates and original disclosure rates, which correspond to the percentage of information disclosed by the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for the six-year period from 2016 to 2021, as well as data on integrity evaluation ratings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First, the acceptance rate of information disclosure showed a downward trend, with the highest rate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lowest among public corporations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rate of original text disclosure was on the rise, with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corporations being relatively high,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education offices being low. The comprehensive integrity rate showed a downward trend, with public enterprises being relatively high and education offices being relatively low by organization type.
External integrity also showed a downward trend, and by organization type, public corporations were relatively high and local governments were relatively low.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integrity did not change much, and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y organization type.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all public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ceptance ra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rehensive integrity and external integrity, but the original disclosure rat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size, which is a control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integr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integrity. Organizational ag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endent variables, and budget siz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rehensive integr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internal integr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tegrity, and the acceptance rate of information disclos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rehensive integrity and external integrity, but internal integrity was not significant. External integrity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ceptance rate, an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and it seems that institutions that actively disclose information disclosure claims could have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in the external integrity surve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accepta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internal integrity because it focuses on organizational culture, personnel, and budget work, which is less related to the general public's accepta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claims.
In addition, the rate of original disclo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prehensive integrity, external integrity, and internal integrity. This is becaus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te of original disclosure is large and the decision to disclose original information is made by each organization at its own discretion, which may not reflect the integrity of the organization.
The integrity of public organizations has a complex relationship with many socio-economic variables, so the level of disclosure alone cannot be used to determine integrity, but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disclosure positively affects external integrity and comprehensive integr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hich plays a major role in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y, which was discussed as the main cause of corruption in a study based on the existing principal-agent theory.
This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grity.
All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are constantly striving to eradicate corruption and increase the level of integrity, and as confirmed by this study,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we can increase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ctive and practical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본 연구는 국민의 알권리와 국민주권주의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국정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며 공공기관 정보들을 국민에게 균등하게 제공하고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를 예방하고 투명한 업무수행으로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고자 1998년부터 시행된 정보공개제도가 그 도입 취지에 맞게 부정부패 방지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보공개 수준이 청렴도 평가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중앙행정기관 ,광역자치단체, 교육청을 비롯한 공공기관 160개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개년도의 정보공개 청구에 대해 해당 기관이 정보를 공개한 비율에 해당하는 정보공개수용률과 원문공개율 데이터와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평가등급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정보공개수용률을 보면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조직유형별로는 광역자치단체가 가장 높고 공공기관과 중앙행정기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원문공개율은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조직유형별로는 광역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앙행정기관과 교육청은 낮게 나타났다. 종합청렴도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조직유형별로는 공공기관이 비교적 높고 교육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외부청렴도 역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고 조직유형별로는 공공기관이 비교적 높고 광역자치단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내부청렴도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유형별로도 뚜렷한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공조직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보공개수용률은 종합청렴도와 외부청렴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문공개율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인 조직규모는 외부청렴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내부청렴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직연령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예산규모는 종합청렴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내부청렴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개수준과 청렴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공개수용률은 종합청렴도와 외부청렴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부청렴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외부청렴도에는 업무처리의 투명성 및 적극성 정도를 측정하는 항목이 있는데 이는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정보공개수용률과 관련이 높아 정보공개 청구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개하는 기관일수록 외부청렴도 설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정보공개수용률이 내부청렴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내부청렴도가 조직문화 및 인사와 예산업무를 중점적으로 측정해 일반 국민의 정보공개 청구에 대한 수용률과 연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원문공개율은 종합청렴도와 외부청렴도, 내부청렴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원문공개율의 표준편차가 크고 원문정보 공개 여부가 각 기관에서 자의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기관의 청렴의식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공공조직의 청렴도는 여러 가지 사회 경제적 변수들과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정보공개 수준만으로 청렴도를 규명할 수는 없지만 본 연구를 통해 정보공개 수준이 외부청렴도와 종합청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인-대리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에서 부패의 주된 원인으로 논의되었던 정보비대칭의 해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정보공개제도가 청렴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곧 행정정보공개제도가 청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모든 공공조직은 부패를 척결하고 청렴수준을 높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정보공개수준을 높임으로써 청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말고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행정정보공개제도 운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3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7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