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택근무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telecommuting experience on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influencing factors of perception
인식에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화정

Advisor
고길곤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재택근무""직무성과""영향요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고길곤.
Abstract
Telecommuting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early 2000s for work-life balance, but it was not actively practiced due to the work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ith service management. However, with the outbreak of Corona in 2019, telecommuting, a non-face-to-face work style, has spread as an alternative to office work, and is becoming an opportunity for companies to test its potential as a new way of working.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ing and job performance is necessary to remove doubts about telecommuting and to establish telecommuting as a work styl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telecommuting experience on job performance, classifying four factors that affect perceptions of telecommuting: personal (work-life balance, personality traits, technical readiness), job characteristics (job autonomy, task ambiguit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managerial (supervisor support, unfairness of personnel evalu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telecommuting environment quality)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subjective and objective job performance.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employees who experienced telecommuting at KOSPO, and based on the data of 201 survey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9.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telecommuting on subjective job performance, telecommuting environment qualit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work-life balance, and technical read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job performance, and personality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job autonom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bjective job performance, while personality (conscientious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subjective job performance was more influenced by each factor than objective job performance, which may be due to the fact that objective job performance is difficult to evaluate quantitatively due to the nature of public sector work, and the tendency to be evaluated in the order of seniority or transfer in the department due to strong seniority influenced the results.
As a result, in order for telecommuting to be established as a form of work and to improve work performance, the telecommuting environment should be similar to the office, IT and systems should be supported to enabl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and work-life balance policies such as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activated. In addition, as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supervise employees due to non-face-to-face wor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work progress and performance to prevent free riders from occurring in work.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and continuity of work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in an uncertain environment such as COVID-19,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telecommuting system, and this will require active support from companies and society.
재택근무는 2000년대 초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하여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으나 업무특성, 복무관리 문제 등으로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2019년 코로나의 발생으로 사무실 근무의 대안으로 비대면 업무형태인 재택근무가 확산되었고 기업들에게 새로운 일하는 방식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시험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재택근무에 대한 의구심을 없애고 재택근무가 하나의 근무형태로 정착되기 위해서 재택근무와 직무성과 간 영향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택근무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일과 삶의 균형, 성격특성, 기술준비도), 직무특성(직무자율성, 업무모호성, 소통협업), 관리적(상사지원인식, 인사평가 불공정성), 환경적 요인(재택근무 환경품질)의 4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주관적, 객관적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작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남부발전(주)에 재직 중인 재택근무를 경험한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01명의 설문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SAS 9.4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근무의 인식에 영향요인이 주관적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재택근무 환경품질, 소통협업, 일과 삶의 균형, 기술준비도가 주관적 직무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외향성, 성실성)은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객관적 직무성과에는 직무자율성이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성실성)은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주관적 직무성과가 객관적 직무성과보다 요인별 영향관계가 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객관적 직무성과의 경우 공공기관은 공공성을 추구하는 업무 특성상 정량적 평가가 어렵고, 연공성이 강해 부서에서 연장자 이거나 전입 순으로 평가받는 경향이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결과적으로 재택근무가 하나의 업무형태로 자리잡고 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택근무 환경이 사무실과 유사하고, 구성원 간에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IT시스템 및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교육지원 등 워라밸 정책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비대면 근무로 인해 구성원의 관리·감독이 어려움에 따라 업무진행과 실적에 대한 관리시스템 및 제도를 구축하여 업무수행에 있어 무임승차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코로나19와 같이 불확실한 환경변화 속에서 업무의 안정성 및 연속성을 확보하고 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택근무제도의 활성화는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회사와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6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