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Attitude
한국전력공사 근무부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재환

Advisor
김병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직 커뮤니케이션직무태도조직몰입직무만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김병조.
Abstract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of public enterprises have primarily focused on external communication, such as policy promotion aimed at stakeholders, network management to build favorable relationships with the media,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utilizing social media, with the purpose of delivering information. However, due to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s and drastic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personnel within public enterprise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by focusing on factor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members'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we paid attention t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partment in which organizational members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attitudes. Particularly in public enterpris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ture, scope, and responsibility of work between headquarters and non-headquarters departments, which led us to be interested in how the department in which employees work moderate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attitud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par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attitudes among employees of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KEPCO), the largest market-oriented public enterprise in Korea. The study seeks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ture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public enterpris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251 employees of KEPCO.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s (job attitudes), and moderating variables (department) were established and utilized. Specifically,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as upward, downward, horizont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The dependent variable, job attitudes, was divided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variable, department, was divided into headquarters and non-headquarters departments. Additionally, demographic variables that could influence the analysis proces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attitudes. Therefore, public enterprises need to establish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members' job attitudes throug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increase futur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Second, we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ve vary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attitudes. As the influence on job attitudes varied depending on the specific typ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for public enterprises to differentiate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hen formulating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the future.
Third, we found evidenc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department. The department categorized as headquarters or non-headquarters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wnward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pward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downward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as discriminatory effects on job attitudes depending on whether organizational members work in the headquarters or non-headquart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was derived that when public enterprises formulate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o increase organizational members' job attitudes, they need to consider the department in which organizational members work as an important and discriminatory factor.
공기업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 홍보, 언론사와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관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통 활동 등 대외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빠르게 달라지는 대외 환경과 공기업 내 인적 구성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조직 구성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 직무태도(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이 근무하는 근무부서의 차이가 가져오는 조절효과에 주목하였다. 특히, 공기업은 본사와 비본사 조직 사이에 업무의 성격과 범위, 책임의 차이가 크고 이질적이기 때문에 직원들이 근무하는 부서가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번 연구는 국내 최대 시장형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근무부서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여 향후 공기업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수립 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전력공사 직원들 251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독립변수(조직 커뮤니케이션), 종속변수(직무태도), 조절변수(근무부서)를 설정하여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수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을 상향적, 하향적, 수평적,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인 직무태도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구분하였다. 조절변수인 근무부서는 본사 근무 및 비본사 근무로 구분하였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인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설정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었다. 따라서 공기업은 향후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를 높이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세부적인 유형에 따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공기업에서 조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할 시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을 구분하여 각기 적합한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근무부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본사근무와 비본사 근무로 구분한 근무부서는 하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의 관계, 상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 하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조절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조직 구성원이 본사 또는 비본사에 근무하는지에 따라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직무태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기업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할 때는 조직 구성원의 근무부서를 중요하고 차별적인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5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