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주민 공간을 둘러싼 지방정부와 이주민의 차이의 정치 : Constructing differences of an ethnic enclave: exploring the local politics of making Daerim-dong Chinatown
대림동 차이나타운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혜현

Advisor
정현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차이이주민 공간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다문화 정책이주민의 행위성로컬 스케일 정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8. 정현주.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ruction of differences of an ethnic enclave; the process by which knowledge about how an ethnic enclave is different from mainstream society is created, and in turn, manifests in practice.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social conflict surrounding differences originates not only from the differences themselves, but more fundamentally, from the disagreements and contestations that arise i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s targeting the differences that may exist. In short, difference is a product before becoming a producer of politics.
In academia,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ritique discrimination concealed and perpetuated in the management of differences of racial minorities. In particular, the discourse on neoliberal multiculturalism accuses neoliberalism of being the driving force of inequality and exposes the workings of inequality hidden beneath the progressive surface. Furthermore, poststructuralist epistemologies on neoliberal multiculturalism call for a shift away from an approach where the agents and their perceptions, intentions, and practices are assumed to be monolithic, and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multilayered, hybrid, and fluid nature of the agents and their agency within and beyond the state, as well as ever-present complexities and contestations between them. What then emerges from this conversation is a theme of the multidimensional and multi-scalar nature of the production of knowledge-and-practices about differen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orkings of neoliberal multiculturalism surrounding an ethnic enclave, by zooming into the political processes in which the local actors in Daerim-dong, a (Korean) Chinese enclave in Seoul, engage, cooperate with, and contest each other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practices targeting the differences of the neighborhood. Thereby, this cas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neoliberal multiculturalism in three ways. First, by demonstrating the complicated duality of inclusion and exclusion. Second, by filling a relative gap in the literature on local governments agency in multicultural governance despite their evolving interests and roles in recent years. Lastly, by examining the encounter of forces from above and below as well as its implications.
To this end, I conducted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migrant organizations, and merchants in Daerim-dong. I also analyzed official meeting minutes and material from migrant news outlets from 2010 to 2022, as well as policy documents, news articles, and fieldwork data.
In Chapter 2, I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eories and case studies on neoliberal multiculturalism in the West and in Korea. I argue that existing theories are not sufficiently concrete to capture the ambivalence of inclusion and exclusion found in transitory moments, within a group, and across diverse and co-present contexts. Next, I examine the frameworks used for multicultural policy research, and discus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 also suggest an alternative framework developed by extracting eight concepts from the literature, which are used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differences. This is an intermediate framework intended to bridge the national multicultural policy models and the discursive patterns of homogenization/differentiation, by making the former more flexible and fleshing out the latter.
Chapter 3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the local government captures and embeds meaning into the differences of Daerim-dong, translates them into policies, and maintains or transforms the very differences by executing on those policies. In brief, the local government featured the cultural and social capital derived from the Chineseness of the neighborhood, attempted to control and assimilate the deviant culture of the migrants in the neighborhood, and legitimized differential treatment and exclusion against them in terms of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Underlying these perceptions and interventions was a set of neoliberal logics with which they sought to gain an advantage over other local governments in attracting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resources.
Furthermore, this productive inclusion of Daerim-dong took multi-layered, hybrid, and fluid forms. First, the process of subdivision took place iteratively while proceeding down the layers, continually excluding some properties from the inclusive sphere. Second, inclusion was essentially unstable and incomplete and hence always accompanied by exclusionary potential. Lastly, as different contexts overlapped, the perceptions and interventions were adjusted and oscillated between inclusion and exclusion, temporarily and at a superficial level.
In Chapter 4, I analyze how Korean Chinese migrants in Daerim-dong react to local governments attempts to celebrate, assimilate, and exclude the differences of their people and their neighborhood. On the one hand, migrants were generally supportive of staging Daerim-dong as a Chinatown. However, some were skeptical of the plan, arguing it to be a form of identity reduction and othering. On the other hand, migrants showed three types of reactions and strategies regarding the assimilationist and exclusive perceptions and interventions, all of which, albeit for different reasons, were aimed at empowering the migrants themselves. They partially accepted the assimilationist discourse and proactively engaged in internal othering and collective efforts for improvement. They also refused both the assimilationist and exclusivist logics by emphasizing the change and contribution of both the migrants and the neighborhood. Moreover, they initiated collective movements for discursive resistance and physical prevention to disprove the assimilationist set of logics that were escalated and expanded into a territorial stigma on the neighborhood.
Amidst this mixed agency that accepts/uses as well as refuses the perceptions and interventions from above, why and how Korean Chinese migrants came to bring their difference to the fore, despite their aspiration for getting the legitimate recognition as co-ethnics, reflects the unique histories and contexts of Korea that have shaped their position. For the migrants, the staging of Daerim-dong Chinatown was one of few opportunities left following the frustration of earlier attempts to get their co-ethnicity recognized, and then to establish an interculturalist communication with mainstream society. Moreover, it was a better option, in that the migrants could move up to an exclusive protagonist from an excluded other between the dichotomy of national and multiculture groups. This led them to come up with a rather eccentric strategy for identity management, where they intended to separate their internal self-identity and the outward spatial identity that c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ainstream societys ideal for consumption. Considering the prevalence of antagonistic sentiment toward China in Korean society, however, a critical reflection is required on whether the making of Daerim-dong Chinatown will aggravate othering against the migrants, or indeed lead to a meaningful empowerment for them.
본 연구는 이주민 공간의 차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 생산 과정을 분석한다. 이는 차이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차이로 인한 충돌뿐만 아니라, 더 근본적으로, 차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 생산 과정에서 일어나는 엇갈림에서 출발한다는 이해에 기반한다. 즉, 차이는 정치의 원인이기 이전에 생산물이다.
그간 학계는 인종적 소수자의 차이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존속되고 은폐되는 차별을 비판하고자 시도했다. 대표적으로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담론은 신자유주의의 작동을 문제의 원인으로 꼽으며 진보적인 표면에 의해 호도되는 불평등의 작동을 폭로한다. 나아가, 포스트구조주의적 인식론은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행위자와 그의 인식, 의도, 실천을 단일하고 경직된 것으로 가정하는 경향을 비판하며, 국가의 내외부에 존재하는 다층적이고, 혼종적이고, 유동적인 행위자와 그 행위성을 관심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고, 다문화 관련 개입을 늘 복잡하고 경쟁 상태에 있는 모습으로 이해할 것을 주문한다. 이는 차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 생산 역시 표면과 내면, 그리고 국가 내외부의 행위자와 같이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지며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 위에서, 본 연구는 재한 조선족 및 중국계 이주민 집적지인 대림동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 생산에 로컬 스케일의 행위자들이 관여하고, 협력하고, 반목하는 정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주민 공간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작용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사례연구는 보편적인 동시에 특수한 포섭과 배제의 복잡한 공존 양상을 보여주고, 최근 이주 의제에 적극적인 행위성을 보이는 지방정부에 대한 문헌의 공백을 해소하고, 위와 아래에서 기원하는 힘들의 만남과 그 함의를 살펴보는 세가지 방식을 통해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문헌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림동의 지방정부 관계자, 이주민 단체 관계자, 상인에 대한 인터뷰 자료, 2010년-2022년의 회의록과 이주민 뉴스 매체 자료, 각종 정책 문서와 기사 자료, 그리고 답사와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2장에서는 서구와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기존 이론이 과도기, 집단 내, 스케일의 중첩에서 나타나는 포섭과 배제의 양가성을 적절하게 포괄하고 있지 못함을 주장했다. 이어서 선행 연구에서 활용된 다문화 정책의 분석틀을 고찰하고, 여덟 개의 차이 구성의 논리를 추출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정책 모델을 유연화하는 동시에 동질화/차별화의 담론적 양상을 구체화하고 둘을 연결하는 중간적인 분석틀의 구축을 시도했다.
3장에서는 지방정부가 대림동의 차이를 포착해 의미화하며, 정책을 도출하고, 정책에 의해 차이가 영향을 받는 일련의 차이 관리의 과정을 분석했다. 지방정부는 외국인 관광객과 내국인 인구 유치에서 다른 지방정부보다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신자유주의적 논리를 바탕으로, 크게 대림동의 중국성과 관련된 문화 자본과 사회 자본을 포섭하고, 대림동의 일탈적 문화를 동화하고, 대림동의 이주민을 경제적 분배 측면에서 차등화하고 배제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나아가, 대림동에 대한 포섭과 배제는 생산성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다층적, 혼종적, 유동적으로 공존했다. 포섭과 배제의 대상을 나누는 작업은 포섭의 영역 속 더 작은 층위들에서 반복되었고, 포섭은 불안정하고 불완전한 상태로서 배제성을 수반했으며, 맥락에 따라 포섭과 배제 사이의 임시적이고 표면적인 진동이 나타났다.
4장에서는 재한 조선족 이주민이 이러한 지방정부의 포섭, 동화, 배제의 시도에 반응하고, 그것을 실천으로 연결시키며, 그 실천을 통해 대림동과 자신들의 차이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포섭과 관련하여, 이주민은 대림동 차이나타운 만들기에 대해 대체로 적극적으로 동조했으나, 정체성의 환원과 타자화를 문제 삼으며 반대하는 이견도 존재했다. 동화와 배제에 대하여, 이주민은 동화론을 부분적이고 주체적으로 수용해 내부적 타자화와 시정 노력을 벌이는 모습, 동화론과 배제론을 반박하기 위한 변화와 공헌 담론, 동화론이 주류 사회의 차별화 혐오로 비화되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담론적 대항과 물리적 예방 실천을 벌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수용과 거부의 혼종 속에서, 재한 조선족 이주민이 동포성을 염원하면서도 자신들의 차이를 전면에 내세우는 모습, 그리고 그 배경과 방식은, 한국적 맥락의 독특성을 드러낸다. 이들에게 차이나타운 만들기는 동포성의 인정과 상호문화주의적 소통의 좌절 끝에 남은 사실상 마지막 선택지이자, 내국인과 다문화 사이의 사각지대의 배제된 타자에서 배타적인 주인공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였다. 이를 위해 이들은 내면적 정체성과 외면적인 공간적 정체성을 분리하고, 주류 사회를 준거로 모종의 인정과 자원을 끌어올 수 있는 차이 중심의 외면적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애썼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반중 정서와 그로 인해 대림동을 중국과 동일시하며 차별하는 현상이 다른 한 편에 자리한 가운데, 차이나타운 만들기가 이주민에 대한 타자화를 심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인지 혹은 실제로 이주민의 임파워먼트로 연결될 수 있는지에 관한 비판적인 성찰이 요구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9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4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