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탄소 식생활방식 실천 과정에서 마주한 대인 관계에서의 소통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Experiences in the Practice of Low Carbon Lifestyle in the Food Categ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정환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저탄소 식생활방식먹거리 커뮤니케이션기후변화 커뮤니케이션대인커뮤니케이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8. 윤순진.
Abstract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품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기체 양이 1999년~2019년까지 7배 이상 증가하였다는 점은 식량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Tubiello et al., 2022).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개인의 식단만을 바꾸는 것이 아닌, 종합적인 시각에서 식생활방식 전체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먹거리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식생활방식 전체의 전환을 시도하고 실천하는 개인을 탐구한다. 그들은 먹거리가 야기하는 환경영향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자신과 다른 식생활방식을 실천하는 개인 혹은 집단들과 만남의 지점에서 소통한다. 이 영역은 서로가 갖고 있는 의미를 조정하고, 협상하고, 타협하는 지점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 지점을 중점적으로 탐색한다. 이 연구는 저탄소 식생활방식을 지향하고 실천하는 개인이 자신과 다른 식생활방식을 실천하는 타인과 먹거리 섭취 시, 그들은 소통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란 물음에 답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 발자국 감축에 대한 메시지를 다룰 때,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또 다른 개인 혹은 다수에게 그러한 메시지 전달 과정에서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의 시작이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인 동시에 다중 사례 연구다. 이 연구는 각 개인의 소통 경험을 하나의 사례로 간주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소통한 경험을 묘사하고 분석한다. 자료 수집 방식은 대면 심층 면접이며, 심층면접은 반구조화된 면접으로 대한민국 서울 경기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또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론 중 하나인 의미의 조정 관리 이론의 이론적 자원을 활용해 타인과 어떤 의미 구성의 계층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 어떤 규칙과 논리적 힘이 연구 참여자들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타인과 먹거리 환경 문제를 중심으로 소통했던 경험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통해 그들이 소통 과정에서 부딪히고 있는 다수의 인식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개인 간의 의미의 차이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소통 과정은 드러내기 단계, 상대로부터 불편을 겪는 단계,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단계로 이뤄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식생활방식을 드러내고, 상대로부터 불편한 경험을 겪고 난 이후에, 자신만의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만들고, 만들어진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다시 드러내기의 소통 과정에서 활용했다. 이후, 또다시 불편을 겪고, 자신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발전시키며, 소통의 과정들이 순환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식생활방식을 실천하고, 이유를 설명하고 드러내는 것에서의 불편함을 겪으면서도 다시 드러내기 단계로 가고 있었다. 선별적으로 자신의 식생활을 드러내면서 포기하는 부분도 있지만, 자신의 식생활방식 자체는 포기하지 않고 실천을 이어가며 타인과 소통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소통 방식을 바탕으로 저탄소 식생활방식을 드러내고 있었는데, 관계적 거리가 가까운 가족부터 가깝지 않은 관계까지 다양한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식생활방식과 환경 문제의식에 대해 드러냈을 때, 상대방의 공통적인 부정적 반응은 먹거리의 개념을 몸과 건강에 국한하거나 연구 참여자들의 실천이 갖는 중요성을 축소시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을 경험한 후, 연구 참여자들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식생활방식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자신들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활용하며, 서로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었다.
동시에, 연구 참여자들은 먹거리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실천하는 소통가(Communicator) 혹은 전달자(Messenger)로서의 역할을 주변에서 요구받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먹거리 환경 문제를 타인에게 전달하고, 타인을 변화시키는 영향력 있는 개인(Influencer)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참여자들의 소통 경험을 바탕으로 먹거리 환경 문제와 관련해 먹거리에 더 많은 개념적 자원을 담을 수 있어야함을 이야기하고, 20대, 30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완화에 미치는 개인의 주체적 역할 강조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먹거리, 환경, 기후변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을 논의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갖는 존재의 중요성과 역할을 드러내며, 사적 영역에서 미시적으로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The recent global increase in GHG emissions from food retail, which more than seven-fold from 1999 to 2019, show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entire food system(Tubiello et al., 2022). This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to change our lifestyle in the food sector. This paper explores individuals who are awar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of food and implement a holistic lifestyle change in the food category. They communicate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individuals or groups who have different lifestyles. This realm is where they adjust, negotiate, and compromise their meanings. What are they experiencing in the poi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who have different lifestyles in the food sector when they eat together? This study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about the way of communication needed regarding climate change action and carbon footprint reduction in the food sector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nd multiple case study. This paper considers each individual's communication experience as a unit of case and describes and analyzes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ion method is mainly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South Korea,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Coordinated Management of Meaning theory, I examined at what level of the meaning construction hierarchy differences with others occur, and what rules and logical forces affect the participants' behavior. I described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others about the impact of food on the environment.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between individuals and the major perceptions they face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common communication process of participants practicing low-carbon lifestyles is to reveal', experiencing discomfort and then to create their own strategic communication. They utilize their created communication strategy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revealing' again. Afterward, they would experience discomfort again, develop their own communication style,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 seems to be cycled. Although they experienced the discomfort of explaining and revealing their reasons for having their lifestyles, the participants moved back into the reveal phase. Even though they selectively revealed and gave up, they did not give up their diets and lifestyles, but continued to practic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ir low-carbon lifestyles through their own communication strategy, and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 variety of relationships, from close family members to more distant relationships. Subsequently, when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ir dietary habit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 common negative response from the other party was diminishing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nts' practices and was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food is limited to the body and health. After experiencing these reactions, the participants utilized their own communication style to convey positive messages of their dietary habits and lifestyles to the other party in a natural way, trying to achieve a mutually desired outcome.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ct as communicators or messengers with respect to practicing low-carbon lifestyles of the food sector and environmental issues of food and they also act as influencers to change others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Based on the uncomfortabl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thes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food. The social concept of food should include more conceptual resources ou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body. This study also argues that it is required to emphasize empowering the individual practice on climate change mitigation in the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targeted to 20s and 30s.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participants' presence and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icro-level changes that occur in the private sphe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8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