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강코칭프로그램이 빈곤계층 여성노인 고혈압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실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health coaching programs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elderly women living in pover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숙-
dc.contributor.author엄선옥-
dc.date.accessioned2017-07-13T06:44:25Z-
dc.date.available2017-07-13T06:44:25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63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879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8. 이인숙.-
dc.description.abstract고혈압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질병부담 또한 큰 질병이다. 전 세계적으로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심혈관질환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취약계층에서 심혈관질환의 질병 부담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도 고혈압 유병율은 증가추세로 취약계층인 저소득층 고혈압 환자에게 방문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방문간호서비스 제공시 지역주민의 요구에 부응하고 질적인 서비스 제공이 확보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나아가 대상자의 자가간호를 증진시키고 건강행위를 지속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및 중재방안을 마련할 것을 여러 연구에서 요구하고 있다.
건강코칭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동기부여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건강상태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상자 중심의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인 저소득층 여성노인 고혈압 대상자에게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전략으로서 건강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중재 효과 평가 즉 결과평가를 하였다. 또한 유사한 개념과 전략을 가지고 있는 건강코칭과 방문간호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에 대해 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 관리시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수립하고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군은 건강코칭서비스를 받은 16명이고 대조군은 방문간호서비스를 받은 2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12월 30일~2014년 3월 24일 까지였으며, 두 군은 주 1회씩 총 8주간의 중재를 받았다. 결과 평가는 혈압조절율, 자기효능감, 체질량지수 및 건강행위실천(의료이용도, 투약순응도, 혈압자가관리 영양관리수준, 건강행위실천율, 신체활동량)과 주관적 건강감, 삶의 질에 대한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평가에서는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변수 중 정규분포를 하지 않은 의료이용도, 투약순응도, 혈압자가관리와 주관적 건강감은 비모수 검정인 Mann-Whiney U test, Friedman 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평가시 영양관리수준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실천, 삶의 질 등 모든 결과변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과정 평가에서 중재소요시간 측정시 코칭간호사는 대상자 1인당 평균 33분, 방문간호사는 15분을 대상자 방문시간으로 소요하였다. 중재내용 분석시 코칭간호사는 코칭대화를 통해 대상자 중심의 요구도 사정을 하고 대상자 스스로 건강문제를 진단하고 우선순위 및 목표설정을 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코칭간호사와 대상자는 4가지 효능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방문간호사는 제공자가 중심이 되어 요구도 사정 및 건강문제를 진단하였고 대상자의 건강문제가 관리목표가 되었으며 우선순위 설정이나 관리목표합의 과정 등은 없었다. 질적내용분석시 실험군은 건강코칭을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며 코칭간호사와의 심도 있는 대화와 구체적인 건강실천계획을 수립하게 된 것이 가장 큰 건강서비스의 이득이라고 하였다.
이에 건강코칭은 대상자 스스로 건강행위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전략으로 본 연구결과는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 관리 방안 수립 시 유용한 정보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건강코칭은 만성질환관리 및 방문간호에서 유용한 중재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용어의 정의 6
1) 빈곤계층 6
2) 자기 효능감 6
3) 건강코칭(Health coaching)프로그램 7
4) 건강행위 7
5) 주관적 건강감 8
6) 삶의 질 9

Ⅱ. 문헌고찰 10
1. 고혈압 관리에서 효과적인 교육 및 중재방안 10
2. 건강코칭 15
1) 코칭의 배경 및 이론적 의의 15
2) 만성질환관리에서 건강코칭의 배경과 의의 19
3) 코칭을 이용한 국외 자기관리 프로그램 21
3. 건강코칭과 고혈압집중건강관리 24

Ⅲ. 이론적 기틀 및 가설 27
1. 이론적 개념 틀 27
2. 가설적 모형 29
3. 연구가설 31

Ⅳ. 연구방법 32
1. 연구설계 32
2. 연구대상 33
3. 건강코칭프로그램의 적용 35
1) 건강코칭프로그램 중재전략 35
4. 연구도구 44
1) 혈 압 44
2) 체질량지수 44
3) 자기효능감 45
4) 건강행위실천 45
5) 주관적 건강감 48
6) 삶의 질 48
5. 자료수집절차 49
1) 연구자의 준비 49
2) 연구 대상자 보호 심사 위원회 승인 49
3) 자료수집기간 50
4) 자료수집방법 50
6. 자료분석 방법 52
1) 결과평가 52
2) 과정평가 53

Ⅴ. 연구결과 55
1. 결과평가 55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55
(1)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55
(2) 대상자의 의료이용 및 질병관련 특성 56
(3) 실험군과 대조군간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 59
2) 가설검정 60
2. 과정평가 69
1) 중재제공과정 분석 69
(1) 중재소요시간 69
(2) 중재수행내용 70
2) 질적내용분석 75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특성 75
(2) 질적내용분석 결과 77

Ⅵ. 논의 91
1. 건강코칭프로그램 효과 91
2. 건강코칭프로그램 및 고혈압집중관리서비스의 과정 99
3.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 106
4. 연구의 제한점 107

Ⅵ. 결론 및 제언 109
1. 결론 109
2. 제언 113

References 114

부록 125

Abstract 15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697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혈압-
dc.subject건강코칭-
dc.subject자기효능감-
dc.subject방문건강서비스-
dc.subject건강행위실천-
dc.subject여성노인-
dc.subject.ddc610-
dc.title건강코칭프로그램이 빈곤계층 여성노인 고혈압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실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health coaching programs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elderly women living in poverty-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53-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