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프랑스어의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위한 문화 어휘 목록 수립 연구 : Étude de l'établissement d'un lexique culturel pour l'enseignement et l'apprentissage efficace du français - À destination des apprenants sud-coréens de niveau B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봉섭-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7-07-13T17:09:54Z-
dc.date.available2017-07-13T17:09:54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42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59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불어전공), 2013. 2. 심봉섭.-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프랑스어의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위한 문화 어휘 목록 수립 연구
- B 수준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 접근법과 함께 등장한 의사소통 능력(compétence communicative)은 오늘날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를 대변하는 핵심 개념으로, 그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은 언어 능력에 문화 능력이 더해질 때 그 완성된 모습을 보이게 되며, 의사소통 능력은 이 능력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발현될 때 그 향상을 보이게 된다. 이 가운데 특히 문화 능력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데, 그것은 의사소통 접근법이 대두하면서 D. H. Hymes를 위시한 많은 교육학자들이 이 문화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의 습득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정의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언어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능력이 갖추어질 때에 비로소 실현되는 것이다. 우리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수ㆍ학습의 방안과 수단을 탐구하고 천착할 때, 언어와 문화의 연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문제의식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언어와 문화의 연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깊은 논의는 오히려 미미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에 필수적인 문화 능력과 언어 능력의 동시적 향상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도달하는 수단으로서 문화 어휘(lexique culturel)를 도입하여 논의하였다.
문화 어휘는 본래 언어와 문화는 공생 관계(commensalisme)에 있다고 본 R. Galisson이 유럽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시한 어휘문화(lexiculture)와 그것을 운반하는 공유문화 적재어(mots à Charge Culturelle Partagée, 이하 mots à C.C.P.) 개념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 개념 및 범위를 재정의 및 재설정하고, 그에 부합하는 문화 어휘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유럽공통참조기준』(2001:25)(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pour les langues, 이하 CECR)에 명시된 언어 능력 수준에 의거하여 대상 학습자의 수준을 B 수준으로 정하고, 그 수준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문화 어휘 목록을 수립하였다.
한편 프랑스어의 효율적인 교수ㆍ학습 구상을 위해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반드시 교수ㆍ학습되어야 할 주요 문화 어휘를 그 중요도에 따라 우선 순위화하여 목록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 어휘의 중요도를 판가름할 수 있는 기준으로 빈도수ㆍ문화 어휘 성격ㆍ문화요소라는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문화를 함의하고 있는 문화 어휘는 그 자체로 언어와 문화가 긴밀히 연계된 상태여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에 필수적인 언어 능력과 문화 능력을 동시에 자연스럽게 향상시키는 데 이상적인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재정립한 문화 어휘 개념 및 유형,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수립한 문화 어휘 목록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에 유익한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 및 방안 마련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의사소통 능력
문화 어휘
문화 어휘 목록
어휘문화
공유문화 적재어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1. 서론 1

2. 어휘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상관관계 16
2.1. 불완전한 의사소통을 일으키는 요인들 16
2.2. 의사소통에서 어휘의 역할 20
2.3. 어휘 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21
2.3.1. 언어 외적 측면 22
2.3.1.1. 동기 유발 및 지속 22
2.3.1.2. 창의력 향상 23
2.3.2. 언어 내적 측면 24
2.3.2.1. 효율성 24
2.3.2.2. 경제성 25
2.3.2.3. 신속성 26
2.3.2.4. 문법 능력 향상 27
2.4. 외국어 교육에서 어휘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28
2.4.1. 시대별 어휘의 위상 28
2.4.2. 교수법에서 어휘의 위상 30
2.5. 종합적 고찰 34

3. 문화 어휘(lexique culturel)와 의사소통 능력 38
3.1. 외국어 학습과 문화 38
3.1.1. 언어 교육에서 강조되는 문화의 중요성 40
3.1.2.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요소로서의 문화 41
3.2.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위상 47
3.3.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범주 51
3.3.1. 문화의 범주 - 공유문화를 중심으로 52
3.3.2. 최소주의와 최대주의 54
3.4. 어휘문화(lexiculture) 57
3.4.1. 어휘문화 개념의 등장 57
3.4.2. 공유문화 적재어(mots à C.C.P.) 58
3.4.3. 공유문화 적재어와 문화적 어휘 62
3.4.4. R. Galisson의 어휘문화 발현 양상 65
3.4.4.1. 공유문화 적재어 65
3.4.4.2. 혼성어(mots-valises) 68
3.4.4.3. 상표명사(noms de marques) 70
3.4.4.4. 함의어(palimpsestes verbo-culturels, PVC) 72
3.4.4.5. 상황어(OC〔V〕et mots de situations) 74
3.5. 문화 어휘 개념의 정의 75
3.5.1. 개념 재정의의 필요성 75
3.5.2. 문화 어휘의 정의와 기준 75
3.5.3. 문화 어휘 형태 및 범위의 확대 82
3.6.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어휘 84
3.6.1. 문화 어휘에 포함되지 않는 어휘 85
3.6.2. 문화 어휘 유형 87
3.6.2.1. 고유명사 87
3.6.2.2. 축약어(sigle) 90
3.6.2.3. 줄임말(lexique de troncation) 92
3.6.2.4. 사회·문화 시사어 및 신어 93
3.6.2.5. 대중어 95
3.6.2.6. 외래어 96
3.7. 문화 어휘 학습으로 기대되는 효과 99
3.7.1. 언어적 측면 100
3.7.2. 문화적 측면 100
3.7.3. 교육적 측면 102
3.8. 정리 및 요약 103
4. 문화 어휘 목록화 및 문화 어휘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 모색을 위한 선행 작업 107
4.1. 학습자 언어 수준 고려의 필요성 107
4.1.1. 학습자 언어 수준, B 107
4.2. 문화 어휘 수집 110
4.2.1. 수집 기준 110
4.2.1.1. 빈도수 대 대기성 111
4.2.2. 수집 방법 112
4.2.2.1. 일상대화, 길거리 간판 및 대중매체 113
4.2.2.2. 교재(Méthode de Français) 114
4.3. 문화 어휘 목록화를 위한 문화 어휘 선정 및 분류 115
4.3.1. 빈도수 115
4.3.1.1. 문화 어휘 빈도수 설문 조사 117
4.3.2. 문화 어휘 성격 132
4.3.2.1. 안정적 문화 어휘 vs 유동적 문화 어휘 133
4.3.2.2. 암시적 문화 어휘 vs 명시적 문화 어휘 134
4.3.2.3. 의사소통 상황 의존 문화 어휘 vs
의사소통 상황 비 의존 문화 어휘 136
4.3.2.4. B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들이 알아야 하는 문화 어휘 성격 137
4.3.3. 문화요소 140
4.3.3.1. 기준 문화요소의 선정 141
4.3.3.2. 한국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주요 문화요소의 선정 150
4.4. 종합적 고찰 180

5. 문화 어휘 목록과 교수·학습 방안 186
5.1. 문화 어휘 목록화의 필요성 186
5.2. 문화 어휘 목록의 어휘 수 187
5.3. 문화 어휘 목록 188
5.3.1. 제시 방법 188
5.3.2. 목록화 요소 188
5.3.3. B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문화 어휘 목록 189
5.4. 문화 어휘의 교수·학습 방안 196
5.4.1. 이론적 접근 방법 : 상호문화 접근법(approche interculturelle) 196
5.4.1.1. 상호문화 접근법에 기반을 둔 문화 어휘 습득 모델 201
5.4.2. 실천적 접근 방법 202
5.4.2.1. 대화문 203
5.4.2.2. 대화문을 활용한 교수·학습 안의 예 204
5.5. 정리 및 요약 221

6. 결론 224

Bibliographie 233
Annexe 249
Résumé 338


표 목 차

〔 표 1 〕의사소통 능력 상관성에 따른 어휘 위상 37
〔 표 2 〕외국어 교수법 상에서 문화 위상 51
〔 표 3 〕Sé와 C.C.P. 형성 특징 비교 61
〔 표 4 〕비 문화 어휘의 공통 자질 및 특징 85
〔 표 5 〕어휘 범위와 문화 어휘의 개연적 상관도 109
〔 표 6 〕빈도수가 높은 문화 어휘 126
〔 표 7 〕빈도수가 높은 문화 어휘의 유형 131
〔 표 8 〕안정적ㆍ유동적 문화 어휘의 특징과 소속 문화 어휘 134
〔 표 9 〕암시적ㆍ명시적 문화 어휘의 특징과 소속 문화 어휘 135
〔 표 10 〕의사소통 상황 의존ㆍ비 의존 문화 어휘의 특징과
소속 문화 어휘 137
〔 표 11 〕언어 수준에 따른 문화 어휘 성격 139
〔 표 12 〕CREDIF(1959-1996)가 제시한 문화요소 142
〔 표 13 〕J.-P. Fichou(1979)의 문화요소 144
〔 표 14 〕L. Porcher(1982)의 문화요소 145
〔 표 15 〕유럽평의회(2001)에서 선정한 문화요소 147
〔 표 16 〕문화요소 포함 관계 150
〔 표 17 〕한국인 학습자가 처한 특수한 교수·학습 상황 154
〔 표 18 〕설문지 구성 156
〔 표 19 〕문화요소 설문 결과 159
〔 표 20 〕1번(잘 알고 있는 문화요소)과
4번(수업에서 다루어진 문화요소)의 오차 범위 164
〔 표 21 〕상위 문화요소 순위 167
〔 표 22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주요 문화요소 168
〔 표 23 〕전체 하위 문화요소 170
〔 표 24 〕주요 문화요소 등장 횟수 175
〔 표 25 〕한국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상위 문화요소 176
〔 표 26 〕한국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하위 문화요소 179
〔 표 27 〕B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들이 알아야 할 주요 문화 어휘 181
〔 표 28 〕B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들이 알아야 할
주요 문화 어휘 순위화 도식 182
〔 표 29 〕B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어휘 목록 195
〔 표 30 〕문화 어휘를 활용한 대화문의 주제 206
〔 표 31 〕문화요소 별 B 수준의 문화 어휘 목록 210



그 림 목 차

〔 그림 1 〕C. Puren(1988)의 19세기 라틴어 교육 목표들 48
〔 그림 2 〕최대주의와 최소주의 56
〔 그림 3 〕signfié와 C.C.P. 형성 도식 59
〔 그림 4 〕공유문화 적재어와 문화적 어휘와의 관계 64
〔 그림 5 〕대중문화와 공유문화 77
〔 그림 6 〕전체에 대한 문화 어휘 유형 121
〔 그림 7 〕빈도수가 높은 문화 어휘의 유형 131
〔 그림 8 〕1. 잘 알고 있는 문화요소 160
〔 그림 9 〕2. 프랑스어 학습에 도움이 될 문화요소 161
〔 그림 10 〕3. 배우고 싶은 문화요소(통합적 동기) 162
〔 그림 11 〕4. 수업에서 다루어진 문화요소 163
〔 그림 12 〕5. 배워야 할 문화요소(수단적 동기) 165
〔 그림 13 〕5번의 답을 선택하게 된 이유 166
〔 그림 14 〕주요 문화요소(상위 요소) 167
〔 그림 15 〕한국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주요 문화요소 176
〔 그림 16 〕Defays(2003)의 상호문화 접근법 199
〔 그림 17 〕Defays의 상호문화 접근법에 기반을 둔
문화 어휘 습득 모델 20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830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의사소통 능력-
dc.subject문화 어휘-
dc.subject문화 어휘 목록-
dc.subject.ddc440-
dc.title프랑스어의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위한 문화 어휘 목록 수립 연구-
dc.title.alternativeÉtude de l'établissement d'un lexique culturel pour l'enseignement et l'apprentissage efficace du français - À destination des apprenants sud-coréens de niveau B --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En-Ju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ⅷ,344-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불어전공)-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