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어 학습이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어휘 영역을 중심으로 : Einflüsse des Englischlernens auf das Lernen des Deutschen als Tertiärsprache - mit Schwerpunkt auf Wortschatzarbeit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소정

Advisor
이광숙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독어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3언어 학습다중언어성과 다중언어 학습독일어 어휘 학습영어 학습의 영향영어 학습 후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TertiärsprachenlernenMehrsprachigkeit und multiples SprachenlernenWortschatzarbeit im DeutschunterrichtEinflüsse des EnglischlernensDeutsch als Fremdsprache nach Englisch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 독어 전공, 2012. 8. 이광숙.
Abstract
제3언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모국어와 제1외국어를 배운 후에 학습하는 언어를 지칭하며, 많은 경우 모국어와 제1외국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영어 학습이 보편화되고, 다중언어 학습이 촉진되면서 독일어를 영어 학습 후에 제3언어로 배우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또한 지난 20년 간 외국어 교수-학습 분야의 많은 경험 연구를 통하여 제3언어 학습이 언어 간의 상호작용이나 학습자의 학습 경험, 인지 능력, 메타 언어적 의식, 정서, 학습 환경과 같은 측면에서 제2언어 학습과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그 결과 독일어 학습을 더 이상 제2언어 습득의 틀에서 다루지 않고, 제3언어 및 다중언어 학습 모형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2언어 학습과는 구분되는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 특수적 교수-방법 원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발된 Deutsch als Fremdsprache nach Englisch (DaFnE) 교수 개념은 독일어와 많은 유사성을 띠는 영어를 제2언어로 학습한 경험과 이를 통해 발달된 메타 언어적 의식을 독일어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안이다.

한국어, 영어, 독일어 간의 언어 유형학적 거리와 학교 교육과정, 학습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독일어 학습은 전형적인 제3언어 학습에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독일어 학습에서 DaFnE 교수 개념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 경험연구 결과에 비추어, 다양한 언어 영역 및 언어 학습 영역 가운데 가장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어휘 영역을 중심으로 초급 독일어 학습자가 낯선 독일어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는 데 있어 자신의 영어 학습 경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경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등학생 및 대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어휘 테스트, 읽기 텍스트 이해 과제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일어 학습은 선행 언어 학습 경험과 연령, 학습 맥락, 언어 구사 능력 등의 측면에서 제2언어 학습과는 구분되는 제3언어 학습의 특성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독일어 학습자는 고양된 메타 언어적 의식을 바탕으로 독일어와 영어 어휘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였고, 이미 습득한 영어 어휘 지식을 독일어 어휘 학습에 활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독일어 학습자는 자신의 영어 어휘 지식을 활용하여 영어 어휘와 음성적, 형태적 유사성을 띤 낯선 독일어 어휘의 의미를 성공적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추론 능력은 학습자의 영어 학습 기간이나 학습량보다는 메타 언어적 의식이나 언어 학습 의식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 초기에 이전의 언어 학습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언어적 지식과 언어 학습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독일어 수업과 교재에서는 비교와 대조를 통하여 독일어 및 독일어와 유사성을 띠는 영어에 대한 언어 의식을 강화하고 학습자가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독일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영어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추론할 수 있는 잠재적 어휘를 분류하여 독일어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의 어휘 목록 확장은 독일어 학습에서 보다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다룬 실제(authentisch) 텍스트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나아가 독일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동기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