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자인창업 교육모형 개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eejung Kang

Advisor
이순종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자인창업창업교육교육모형디자인사고전문디자인업체디자인비즈니스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2017. 2. 이순종.
Abstract
본 연구는 디자인창업교육에 있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디자인창업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도출하여 디자인전공자들에게 적합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를 기반으로 한 창업교육의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디자인창업 교육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디자인창업의 개념과 현황은 어떠한가.
2) 디자인분야에서 창업교육은 왜 필요한 것인가.
3) 디자인창업교육의 필요 지식 및 기술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먼저 디자인창업의 정의, 과정, 유형 및 창업교육 필요성, 창업교육 현황 등을 정리함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디자인 분야에서 필요한 창업 지식 및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 설문 조사 및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디자인전공자들에게 적합한 창업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통합적 사고방식 및 문제해결프로세스로서의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를 기반으로 하여 디자인창업 교육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모형은 크게 'Step 1. 창업 전 → Step 2. 창업 후'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순환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Step 1. 창업 전 과정은 Section 1 : 창업가 부문, Section 2 : 사업 기회 부문, Section 3 : 필요 자원 부문으로 구성된다. Section 1 : 창업가 부문은 학생들이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의 훈련을 받음으로써 통합적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창업 프로세스를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와 문제해결능력, 창조성과 혁신적 사고, 기업가정신을 습득하는 단계이다. Section 2 : 사업기회 부문은 사업 아이디어를 상품화시키는 디자인 단계와 비즈니스 영역에서 사업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모델 설계, 사업타당성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으로 진행되는 검증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를 기반으로 한 창업 프로세스로 재구성하여 1단계 이해 → 2단계 상상 및 융합 → 3단계 시각화 → 4단계 테스트'로 제안하였다. Section 3 : 필요 자원 부문은 자금, 인맥을 주요 요소로 설정하고, 자금과 관련하여서는 자금 조달과 운영을, 인맥과 관련하여서는 네트워킹 구축 및 활용을 습득하는 단계로 Step 1. 창업 전 과정의 마지막 단계이다. 이후 Step 2. 창업 후 과정은 단계 구분 없이 마케팅, 창업 관련 법규(지식재산권 포함), 회계 및 세무와 관련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내 실정에 맞는 디자인창업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함에 따라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 국내 창업교육의 경우 학교별로 유사한 교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아직까지는 학교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구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디자인 등 분야별로 특화된 창업교육도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 대학 및 각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연구와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디자인 분야에서 필요한 창업 지식 및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디자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국내 디자인창업 현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현실적으로 필요하고 중요한 디자인창업 교육 내용들을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분야에 특화된 창업 교육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개념을 국내 실정에 맞는 창업교육 프로세스로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이노베이션 랩(Innovation-Lab)이나 스탠포드 대학교의 디스쿨(d.school) 등 해외의 많은 학교에서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를 활용한 창업교육을 제공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러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단편적이고 일시적으로 운영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