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영역 학습 목표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Appreciation' Area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은

Advisor
김형숙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2009 개정 교육과정미술교과서감상영역학습 목표미술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2014. 8. 김형숙.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영역에 제시된 학습 목표를 로린 앤더슨(Lorin Anderson) 등이 개정한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영역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 제시된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 설정 및 서술에 대한 기준을 고찰함과 더불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에 대한 현직 미술교사들의 인식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검토하여 이를 통해, 미술교과서의 학습 목표 설정 및 적용상의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선행연구의 고찰 및 이론적 배경 연구를 토대로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를 분류 및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주로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집필진을 대상으로 한 전화 및 서면 인터뷰,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법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앤더슨 등이 개정한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감상영역의 하위영역인 미술사와 미술비평 영역을 구분하여 학습 목표를 분석한 결과, 미술사 영역의 경우, 개념적 지식과 사실적 지식의 지식 차원에서, 이해하다와 기억하다의 인지과정 차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미술비평 영역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그 뒤를 이었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창안하다와 평가하다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감상영역의 성취기준에 따르면, 미술사의 경우 이해하기의 인지과정 차원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미술비평의 경우, 이해하기, 평가하기, 창안하기의 세 가지 측면의 인지과정 차원을 중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본 연구에서의 학습 목표 분석 결과 간의 관련성을 고찰해 볼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미술교과서에서 제시된 학습 목표 사이의 연계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술사에서뿐만 아니라 미술비평에서도 이해하기 인지과정 차원의 학습 목표가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지식 차원에서도 개념적 지식이나 사실적 지식의 학습 목표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교과서 집필 시, 집필진들이 학습 목표 설정 및 서술에 있어서 그 기준으로 삼는 내용 및 지침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와 영역별 성취기준, 인정도서 개발상의 유의점 및 심사기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기준들은 교과서 집필 시 활용하기에는 구체성과 명료성이 결여되어 있다. 한편, 교육과정에 제시된 영역별 성취기준의 경우, 각 성취기준별로 몇 가지 활동의 예시를 들고 있어, 거론한 예시에만 제한을 두어 집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미술교과 학습지도의 전문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학습 목표에 대한 분류 결과를 통해서 교사마다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하여 각기 다른 해석과 접근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육과정의 목표나 성취기준, 혹은 교과서 집필진의 학습 목표에 제시한 의도와 다르게 학교 수업현장에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미술교과의 영역 간 연계성을 중시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을 고려하여 감상영역의 학습 목표가 사실적 지식이나 개념적 지식에 대한 이해하기의 측면에 편중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목표의 설정 및 서술 상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원칙과 기준이 필요하며, 이는 교육관계자들 사이에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동일한 학습 목표에 대해서 교사마다 다르게 해석하는 이유는 서술상의 불명확성이며 이는 집필진과 교사의 학습 목표를 대하는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실제 수업 진행에 있어서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하나의 학습 목표에 여러 가지의 의미를 포함하는 함축적인 서술이 아닌,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명세화한 학습 목표의 서술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he 'appreciation' area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Anderson et al'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based on this, consid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he 'appreciation' area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appreciation' area of 2009 revised art and educational cours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in education administrators in relation to the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s.
To achieve this, the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extbook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onsidering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fore drawing a conclusion and in this process, frequently-use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view, telephone or written interview for the writing staff,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art teacher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by classifying the art history and art criticism, which are sub-areas in the 'appreciation' area by applying the Anderson et al'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found that art history occupies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knowledge dimension of conceptual knowledge and factual knowledge'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of understand and remember On the other hand, in the area of art criticism, conceptual knowledge occupies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 occupies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create and evaluate at similar level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of art and appreciation areas depending on 2009 revised educational course, it is found that art history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of understand and art criticism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of three aspects of understand, evaluate, and create. Consider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appreciation' area of educational course and learning objectives analysi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exists an associ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educational course and the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art textbooks. However, learning objectives occupy the extremely high percentage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of 'understand' in 'art criticism' as well as art history and learning objectives from conceptual knowledge or factual knowledge are too weighted in the knowledge dimension, which is problematic.
The contents and instructions on which the writing staff set learning objectives and tend to describe when writing textbooks can be classified in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area presented in educational course and the considerations and exam standards in compiling textbooks for test. Most of the standards lack of concreteness and clarity to be utilized for compiling textbooks. On the other hand, achievement standards by area presented in educational course take an example of some activities by each achievement standard, but there exist limitations that writing is limited to given exampl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art teachers who are a group of expert for guiding study for art subject, it is found that every teacher makes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approaches to the same learning objective. This suggests that classes are given at the field of school, unlike the intentions presented in learning objectives by the writing staff who are involved in writ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r textbooks in the educational course.
To improve the problems as pointed out in the abov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ourse which focus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rt subject areas are considered to avoid the situation that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appreciation' area are too weighted to the aspect of 'understand' in factual knowledge or conceptual knowledge. Second, the systematic principles and standards that can be used to set learning objectives and provide description instructions in 2009 revised educational course are required, which should be shared between educational administrators. Third, the reason why every teacher describes even the same learning objective differently lies in descriptive unclarity, which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that the writing staff and teachers see learning objectives differently. To be effective in classes, specific and itemized learning objectives are required if possible rather than the implicative description that includes various meanings to one learning objectiv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