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무술을 활용한 넌버벌 퍼포먼스 <점프>의 의사전달 매커니즘 : 자크 라캉의 L도식을 중심으로 : The communication mechanism of Non-verbal performance using martial arts : Focusing on Jacques Lacan 's L-schema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준

Advisor
나영일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넌버벌 퍼포먼스신체적 언어무술라캉의 L도식점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7. 2. 나영일.
Abstract
21세기 공연예술의 주요 흐름은 능동적 관객 참여와 새로운 무대 공간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도들이다. 그 대표적인 장르 중에 하나인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는 그 새로운 흐름에 발맞춰 비언어적 공연 진행과 신체적 언어를 중심소재로 활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대 공연예술의 양상은 한국 공연예술에도 영향을 주면서 대표적으로 , 등과 같은 공연이 제작되었다. 이 중 는 넌버벌 퍼포먼스의 특징인 비언어적 진행과 신체적 언어 구성을 충실히 해내고 있으며 창작 무술공연으로서 공연예술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넌버벌 퍼포먼스, , 기타 창작 무술공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작가와 관객의 관계(관객 참여), 작가와 공연의 관계(신체적 언어)라는 공연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대 공연예술의 변화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가 미비하였으며, 공연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이해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넌버벌 퍼포먼스 공연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공연의 소통 구조(작가-관객) 및 구성(작가-공연) 변화에 대해 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공연 를 대상으로 첫째, 공연의 전체적인 구조 분석을 통한 작가와 관객과의 소통 변화, 둘째, 공연을 구성하고 있는 신체적 언어 분석을 통한 작가와 공연의 관계 변화, 그리고 본 공연의 중심 소재인 무술이 기존 무술공연에서와 어떠한 차이점을 지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자크 라캉(Jaque Lacan)의 주체 개념을 적용하여 본 공연의 텍스트 구조를 작가의 무의식을 이루는 언어로 된 구조물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그 개념의 핵심인 L도식에서의 주체 상호 간의 관계에서의 작가(말하는 주체)와 주체 내적 구조 속에서의 작가(욕망하는 주체)의 내용을 통하여 공연분석의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로 에서 작가와 관객의 주체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라캉이 말한 의미소통 원리인 사후작용 개념을 통해 공연의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였다. 즉 작가가 전달하는 말(공연)이 어떠한 위상으로 관객과 관계 맺고 있는지 파악한 것이다. 두 번째로 에서의 작가의 주체 내적 구조에 대해서는 라캉이 말한 인간 무의식을 운용하는 원리인 은유 개념을 통해 공연 속 은유적 신체언어를 도출하였다. 이는 공연의 내적 구조가 작가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인 것이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본 공연은 고정점의 불명확성, 코드의 부재로 인해 불완전한 문장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것은 관객의 상상적 관계에 지배되는 텅 빈 말에 가까운 구조로서 언술행위 주체로서의 작가가 소외되고 있는 것이었다. 두 번째로 은유적 신체언어로서 드러난 무술은 본 공연에서 감정표현행위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즉 욕망 발산의 도구인 무술이 공연의 중심적 역할을 하지 못하여 언술 주체로서의 작가도 소외되는 것이었다.
종합해보면, 공연 에서의 작가는 주체 내·외적으로 모두 소외되는 주체라고 할 수 있었다. 여기서 언술행위 주체의 소외는 관객의 위상을 작가보다 우선하게 하여 관객 참여의 개념을 공연의 주체적 해석의 범위로까지 확장하여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욕망의 언어인 무술이 공연의 중심요소로 작용하지 못하였지만 그것이 작가의 욕망을 내재하는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시범·재현공연에서의 성질과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