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다X류 종결어미의 교육 연구 - -다고, -다니, -다니까, -다면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daX Final Ending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dago, -dani, -danika, -damyeonse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학혜

Advisor
민현식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교육‘-다X’종결어미‘-다고’‘-다니’‘-다니까’‘-다면서’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2016. 8. 민현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다X'류 종결어미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의미 기능이 서로 유사한 두 어미에 대한 변별력을 향상시켜 상황 맥락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X'류 종결어미들은 단순히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용된 정보의 출처, 발화자의 심리적 태도, 억양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담화·화용적 의미도 달라진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다고', '-다니', '-다니까', '-다면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각각의 형태・통사적 특징과 담화・화용적 의미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와 사전의 기술 내용을 통하여 '-다X'류 종결어미의 개념, 유형과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네 가지 어미 각각의 형태·통사적 특징을 높임 보조사'요', 선어말어미, 주어 인칭, 서법의 네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또한 담화·화용적 의미 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에 제시된 의미 분류를 바탕으로 준구어 말뭉치인 드라마 대본을 분석한 결과를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관점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 현지 대학교 3, 4학년 한국어 전공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 각각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결과, 고급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네 가지 어미를 사용할 때 여전히 형태·통사적 오류를 많이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담화·화용적 사용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담화 완성 테스트를 활용하였다. 고유 의미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여 조사한 결과, 중국인 학습자는 '-다고'의 와 의 기능에 대하여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유사 의미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여 조사한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는 유사한 두 어미에 대한 사용 분포에 큰 차이를 보였다. 모어 화자의 경우는 성별, 지역, 억양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유사한 어미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는 두 유사 어미의 화용적 특징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두 어미가 모두 가능한 경우에도 한 어미만 사용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외에 학습자에게 네 가지 종결어미에 대한 난이도, 사용빈도, 숙달도와 교재나 교사의 설명에 대한 만족도라는 네 가지 인식 양상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학습자가 '-다X'류 종결어미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재 개선과 문법에 대한 교사의 설명 및 학습 유도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Ⅲ장에서 학습자의 사용 양상과 오류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과, 학습자가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원인은 모국어의 간섭, 목표어의 복잡성, 교육 과정의 영향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목표어의 복잡성, 즉, 어미가 가진 의미 기능의 다양성과 유사성으로 인하여 학습자가 네 가지 어미를 사용할 때 많은 혼동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그 중에서도 대치 오류를 많이 범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다X'류 종결어미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 방법과 교육 실제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주로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학습자가 네 가지 어미를 사용하는 양상을 실제 구어 자료가 아닌 설문조사를 통해서 자료 수집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의미 기능별로 각 어미가 수반하는 억양에 관하여 주로 선행연구와 드라마의 음성 효과를 참고하여 정리하였기 때문에 객관성이 한층 더 높은 음성학적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Chinese learners' language skills in Korean -daX final endings by emphasizing the various meanings of -dago, -dani, -danika and -damyeonseo. This may be achieved through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 as to enhance learners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similar endings in semantic functions of the language.
Besides the function of ending a sentence, the -daX final endings have different pragmatic meanings in discourse. This i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ource of spoken information and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intonation and speech intention, which make -daX final endings more difficult for Chinese learners to acquire. Therefore, in this paper, I, as a researcher, intend to analyze the most frequently used endings (-dago, -dani, -danika and -damyeonseo) in daily conversation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ir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pragmatic meanings in discour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oposed a set of proper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s for the endings, which will ultimately be helpful in improving targeted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In Chapter Ⅱ,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daX final endings were addressed, including a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ry on their formation process. Furthermore, I classified the morpho-syntactic features of each of the endings into four categories: the honorific word-ending yo, prefix words, person of subject, and mood restrictions. To clarify their discoursive-pragmatic functions, they were reclassified to help Chinese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m in an easier way by referring to the semi-spoken corpora, drama scripts based on the dictionary definitions.
In Chapter Ⅲ, I presented a survey of 60 junior and seni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t two universities in China, and 60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even advanced learners made many morpho-syntactic errors when using these four final endings. To check their discoursive-pragmatic usage, I conduct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rt 1, I found that most Chinese Korean learners had difficulties using -dago (meaning dissolution of doubt or worry and boasting or emphasizing). Moreo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rt 2, I have observed differences in the use of two similar final ending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their usage. Given the two interchangeable final endings under the same context, Native Korean speakers tended to use a specific final ending. This choice is brought about by several factors such as gender, dialect, the speaker's intentions in emphasis, etc. However, many Chinese Korean learners either misunderstood this as they were able to use only one of the two endings or they tended to stick with a particular final ending even with the knowledge that both are applicable and correct.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practical features of two interchangeable final endings seems to be the major cause of this issue.
In addition, I also studied the survey-takers recognition of the four final endings, including the difficulty, frequency, and proficiency in using endings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textbooks and teachers explan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using the final endings in the -daX series, especially with -dani and -danika.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xtbooks and teachers grammatical explan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learners usage aspects and errors in Chapter Ⅲ, the causes of learners misuse of these four e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types: the interference of the mother tongue, the complexity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complexity of the target language, which contains diversity and similarity of meaning functions with regard to these final endings was the main cause for misuse.
Chapter Ⅳ includ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about the final endings in the -daX serie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Ⅱ and Ⅲ. For instructors to teach the -daX final endings more effectively, I proposed two teaching approaches and educational plans for each approach.
In Chapter Ⅴ, I discussed and summariz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were condensed into two parts. First, research on the use of the four endings was not based on real spoken data, but on surveys. Second, this study reviewed the intonations of the endings in terms of their meanings and func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rama scripts. Thus, this study should be supplemented with higher-level phonetic analysis, to upgrade its objectivity and valu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7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