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르 중심 한국어 설명문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genre-based Korean expository text writing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주영

Advisor
윤희원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교육쓰기 교육설명문장르 중심 쓰기장르 특성정보의 선정정보의 구성정보의 표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2. 8. 윤희원.
Abstract
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한국어 설명문을 효과적으로 생성하지 못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한국어 설명문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쓰기 교육은 이전에 학습한 문법 항목에 대한 평가 도구로서의 소극적인 쓰기 교육에 치우친 상태로 진행되어 왔으나, 진정한 쓰기는 텍스트를 매개로 한 필자와 독자의 의사소통 행위이므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한국어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전 인터뷰 결과 한국어 학습자는 모국어 설명문 쓰기에 비하여 한국어 설명문 쓰기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어려움을 토로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생성한 한국어 설명문과 모국어 설명문, 이에 대한 사후 인터뷰 자료를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르 중심 한국어 설명문 쓰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장르에 대한 관점과 장르 지식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필자가 효과적인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쓰기 능력의 구인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텍스트 상에서 필자의 장르 지식이 구현되는 층위를 내용․조직․표현으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다른 유형의 텍스트와 구분되는 설명문의 개념을 살피고,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설명문 쓰기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설명문에서 필자가 정보를 구현하는 방식을 정보의 선정, 정보의 구성, 정보의 표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방식에서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야 하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 분석 틀을 가지고 학습자가 생성한 한국어 설명문과 모국어 설명문의 특성을 비교하고 사후 인터뷰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한국어 설명문에서 정보를 구현하는 방식에 드러나는 문제 양상을 밝혔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는 정보의 선정 측면에서 전달하고자 한 사실 정보와 그에 대한 필자의 판단 누락과 불충분한 정보 확장, 정보의 구성 측면에서 불완전한 형식적 구성 방식 사용과 주제를 약화시키는 의미적 구성 방식 사용, 정보의 표현 측면에서 설명문의 상황 맥락에 맞지 않는 표현 사용과 설명문의 특징인 객관성을 약화시키는 표현 사용의 문제 양상을 보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장르 중심 한국어 설명문 쓰기 교육의 방법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존의 장르 중심 교수 모형을 재구성하여 전체적인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과정을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 이해하기, 실제 설명문 쓰기, 설명문의 효과 확인하기 단계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목표인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설명문 생성하기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번째 단계인 실제 설명문 쓰기 단계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장르 중심 한국어 설명문 쓰기 교육의 실제에서 마인드맵 작성을 통한 핵심 정보의 선정, 상호 질문을 통한 정보의 확장, 개요 쓰기를 통한 형식적 구성 활용, 관계도 작성을 통한 정보 간 의미 강화, 점검표를 통한 부적절한 표현 확인, 고쳐 쓰기 목록 작성을 통한 표현 수정을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명문에서 필자가 정보를 구현하는 방식을 정보의 선정, 정보의 구성, 정보의 표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방식에서 고려해야 할 한국어 설명문의 장르 특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설명문에서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명확히 밝힌 점, 기존의 장르 중심 교수법을 재구성하여 실제로 확인된 문제 양상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구안함으로써 한국어 설명문 쓰기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 점, 학습자의 한국어 설명문과 모국어 설명문에 드러나는 정보 구현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어 쓰기에 초점을 둔 교육 방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 effective method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alyzing expository text and interview data performed by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previous interview, foreign learners expressed that they could not represent their ideas effectively in Korean(L2) expository text than in their L1 expository text and needed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present issues, this study delivers the method of genre-based Korean expository text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write effective text.
In chapter 2, this study firstly reviews three approaches to genre and discussions of genre knowledge. In second, it synthesizes the constructs of writing ability to specify the way of representing writers genre knowledge in the text. Then it suggests that the genre-based writing needs to be conducted as effective method of Korean writing education. It also identifies the definition of expository text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xpository text writing in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s in previous chapter, in chapter 3, the choice of informatio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information are designed as an analytical frame. By the frame, learners text and interview data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omit essential information(factual information and writer's opinion of the information) and provide insufficient information when choosing the information, use incomplete super-structure and irrelevant text structure to the inform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learners use inappropriate grammar and vocabulary to the context of expository text in the expression of information.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identified in chapter 3, this study designs three stages of the genre-based Korean expository text writing education: generating essential and sufficient information, organizing information with logical structure and expressing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to the context of expository text. At the conclusion, each of these stages is constructed as a practical writing education with specific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aspect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xpository text genre, it specifies contents and method of Korean expository writing education
suggesting specific method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authentic issues, it enhances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
comparing learners' Korean texts with L1 texts, it designs the method that focuses on the writing in Korean languag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7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