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Digital Med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호창수

Advisor
윤대석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매체인쇄 매체소설 읽기 양상구성적 읽기성찰적 읽기협력적 읽기디지털 전유매체 미학구성주의문학교육국어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7. 2. 윤대석.
Abstract
이 연구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의 특성을 규명하고, 그 교육적 방안을 구안하여 소설 읽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디지털 세대의 학습자에게 디지털 매체 환경은 자연스러운 읽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고, 독서 현황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통한 읽기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 사고의 발달에 있어 인쇄 매체 환경에서의 읽기를 통해 신장한 읽기 능력은 여전히 유효하며, 특히 소설 읽기는 고등 인지 작용으로서 읽기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학습자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했을 때, 인쇄 매체를 이용하여 아무리 많은 시간의 소설 읽기를 경험해도, 이를 통해 습득한 읽기 능력이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읽기와 같은 것이라 할 수 없으며, 아무런 조치 없이 자연스럽게 후자의 읽기 효과로 전환될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매체의 속성을 활용하되, 인쇄 매체에서의 읽기 효과를 연합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실제 학습자들의 매체 변인에 따른 소설 읽기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실천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의 속성을 독자들이 읽기를 진행하는 텍스트 공간, 읽기라는 활동 자체, 읽기 주체로서 디지털 독자라는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는 현대 매체 이론과 매체 미학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이퍼텍스트성, 감성적 지각, 상호작용성·네트워크성으로 규정된다. 하이퍼텍스트성은 일련의 노드(node)를 통한 텍스트 간의 연결 가능성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읽기 공간으로서의 텍스트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감성적 지각은 예술의 수용에 있어 해석과 관조보다는 체험에서의 감각과 이미지의 스펙터클, 몰입이 중심에 놓여야 한다는 것이다. 상호작용성 및 네트워크성은 양방향적인 의사소통 체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경로에서의 교류가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이를 통해 독자는 수용과 생산의 역할을 동시에 맡는 생비자로서의 독자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매체의 속성을 고려한 소설의 읽기는, 하이퍼텍스트에 파편적으로 나열된 정보에 대해 상상적 추론과 구성적 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 구성의 장으로서의 텍스트 인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소설 읽기는 가상현실에 대한 체험이자, 그 안에 심화된 타자성에 대한 성찰적 판단으로서의 텍스트 조망이 이루어지는 것이기도 하다. 독자들은 독서 행위를 개개인의 사유보다는 텍스트 자체와 텍스트 외적인 무한한 정보망과의 대조를 통해 진행하게 되며, 이러한 소설 읽기는 대화의 장으로서의 텍스트의 구축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의 특성은 학습자들이 실제 매체 변인에 따라 소설을 읽고 생산한 서술형 프로토콜을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식으로 코딩하여 도출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의 소설 읽기 양상의 분석을 소설의 기본적인 속성인 서사성, 허구성, 플롯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주목하였다. 소설의 서사성 인식의 경우 인쇄 매체에서는 상상을 통한 추상화가, 디지털 매체에서는 정보 추출적인 읽기를 통한 객관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양상에서의 장점들을 구성적 읽기의 실현으로 연합할 수 있다. 소설의 허구성 인식에서는 인쇄 매체의 경우 맥락의 연합을 통한 확장적 의미화가, 디지털 매체의 경우 표상의 선별을 통한 사실적 대상화가 일어나며, 이를 성찰적 읽기의 방법으로 연합할 수 있다. 소설의 플롯 인식은 인쇄 매체의 경우 선조적 배열을 통한 텍스트 구조화가, 디지털 매체의 경우 관심 국면 중심의 모자이크적 배열이 주로 일어나며, 이는 협력적 읽기의 실현을 통해 연합할 수 있다.

이처럼 도출된 양상을 바탕으로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목표를 구성력, 성찰력, 파급력이라는 세 가지 능력의 신장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성취 기준 및 평가 준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교수·학습 절차를 설계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자들은 소설 텍스트에 존재하는 여러 표지와의 접점을 형성하며,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표상의 인지를 행한다. 동시에 텍스트 내외에 존재하는 노드와 링크를 통해 정보의 탐색을 진행하여 텍스트 속 표상들의 답을 찾는다. 이렇게 선별되고 초점화한 텍스트의 여러 국면을 의미화하는 과정에서 확장적 조망을 통한 맥락의 연합이 발생하며, 학습자들은 텍스트 내외의 맥락들을 검토하게 된다. 학습자들은 하이퍼텍스트상에 존재하는 여러 노드와 링크를 바탕으로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와중에 몰입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표상을 인지한다. 더 나아가 이에 대한 여러 맥락에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총체적인 이해를 이루어낸 결과 디지털 전유를 통한 자기화에 도달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자기화한 해석에 대해 실시간 교섭을 통한 의미 재생산 과정을 통해 동료와의 상호 교섭을 시도한다. 이러한 새로운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라는 확장된 읽기의 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은 현재의 디지털 매체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읽기 교육의 방법을 마련했다는 점,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읽기 양상을 현상으로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교실 환경을 벗어난 실생활에서의 능동적인 소설 읽기 가능성을 높이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실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ssence of the novel reading through digital media, and construct the novel reading education method that develops new possibilities of novel reading. Reading a novel through digital media has different strategies in comparison with the reading through printed media, so it brings changes in the aspects of literary recep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hanges of middle school learners in aspects of reading depending on the media environments. Digital generation learners are more familiar with the new reading methods consist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heir current state of reading is also increasingly done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difference of reading between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printed media environment requires different cognitive function and psychological activity.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model of novel-reading method, on a new perspective.

An improvement of reading skills through reading in the printed media environment is still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thinking. Especially novel reading is recognized as the apex of cognitive functioning in reading comprehension.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stage of learners, even though they spend a huge time reading in printed media environment, the abilities acquired from that process should not be regarded as identical abilities acquir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Without any special treatment, these abilities can't be converted into the latter. Therefore, the way that combines the effects of reading in printed media environment and those of read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text space in which readers are reading, the reading activity itself, and digital readers who are the subject of reading activity. Based on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media theory and media aesthetics, thos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e defined as 'Hypertextuality', 'Aisthesis', 'Interactivity·Networkability'. Hypertextuality means connecting possibilities between the texts through a series of nodes. Thus, the text as a reading space can be expanded. Aisthesis(in other words emotional perception) means that a feeling of experience or a spectacle of image or an immersion in the text is more important than an interpretation or a contemplation in the reception of literature. An experience of aistehesis brings change to the reading mechanism of readers, and deepens the way of non-linear reading and multi-form reading. Interactivity and Networkability mean that exchange takes place in a variety of ways on the basis of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this characteristic, the reader can be a prosumer, a new role which combines producing and consuming.

The novel reading using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can be a text recognition as a construction of meaning, which makes the imaginary inference and constitutive combination of information arranged in the fragments of the hypertext possible . Also, the novel read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an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And thus it is a text viewing as a self-introspective judgement about huge alterity inside. The readers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conduct a reading comprehension as a kind of contrasting work between text itself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rather than a kind of personal speculation. This kind of novel reading can be referred to as an activity of building a text as a dialogic field.

All the essences of the novel read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defin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Hermeneutical Phenomenology'. According to that process, the practical responses of learners who conducted reading in different media environment and produced a narrative protocol, are coded openly. The central phenomenon is considered as meaningful phases. And then, these meaningful phases are categorized and established into core essence.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cognition about the fundamental components of the novel in the analysis of learners' novel reading aspects. These are 'Narrativity', 'Fictionality', and 'Plot'.

In a process of cognizing a narrativity, aspect of reading in printed media is like an abstract recognition, while aspect of reading in digital media is like a rapid decision-making that enables a text to be externalized. These aspects have a possibility for integration, so it raises a feasibility of constructive reading mechanism. In a process of cognizing a fictionality, aspect of reading in printed media makes expanded meaning of text by combining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aspect of reading in digital media is like a factual objectification through selecting a point among representations in text. If these aspects can be combined, the self-introspective reading is enabled. Finally, in a process of cognizing a plot of a novel, aspect of reading in printed media makes a structuralization of text by arranging linear sequence. Whereas aspect of reading in digital media is likely to make a mosaic arrangement by focusing own's interest in text. These differences can be solved by collaborative reading in dialogic field.

This study establish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digital media, based on derived aspects of the process in learners' reading. The specific plan is defined as improvements of three kinds of reading ability which are 'Story Construction Ability', 'Introspection Ability', and 'Influence Ability'. This study also provides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Besides, these abilities are applied on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his process is verified by learners' responses in class. Learners form a contact point between many signs in text and their own perception, and they proceed a process of recognition about representations through hypertext. At the same time, they look up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s in text by search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nodes and links inside the text or outside the text. In this process of creating new ideas which handle such a focused and selected phases of text, learners can combine many contexts through expanding viewpoint. Furthermore during their reading text process, they can recognize the symbols at the point where they are immersed by using many nodes and links in hypertext. As a result, they can obtain overall comprehension and can reach appropriation through a digital-appropriation process. Finally they attempt to interchange thoughts with fellow learners by their own appropriation or interpretation about text. And this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progressed in real-time conversation. By these new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learners can generate the same effects of reading in printed media at reading in digital media. They can experience a new expanded text reading field.

The model of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digital media is meaningful that it considers current circumstances of digital world where the learners live. This education model is totally brand new method in novel reading education. Above all, this study desires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aspects of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promote the chances of active novel reading in the real world beyo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makes the literature education of constructivism perspectives realized in the way that it is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Key Words : digital media, printed media, novel reading education, aspects of novel reading, constructive novel reading, self-introspective novel reading, collaborative novel reading, digital-appropriation, media aesthetics, constructivism perspectives, litera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