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년 여성의 취미교실 참여 체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아리따

Advisor
조용환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년 여성취미교실여성 평생교육존재론적 교육교육적 체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2. 8. 조용환.
Abstract
이 연구는 중년 여성의 취미교실 참여 체험을 교육의 눈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세 가지 관심이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첫째, 대개 40대 후반에서 늦게는 60대 초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전이기에 주목해 취미교실이 이 시기 여성들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둘째, 여러 취미교실 가운데 특히 동사무소 및 지자체 운영 취미교실을 교육의 눈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는 주부들의 취미교실 참여가 단지 취미로 해석되는 것, 특히 아줌마들의 소비적 취미로 쉽게 단정되는 아줌마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저렴한 가격, 전국적 분포 등의 특징으로 인해 접근성이 높은 공적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함이기도 하다. 셋째, 중년 여성들의 이야기를 살핌으로써 교육을 성찰하고자 했다. 나는 이 같은 연구 관심, 연구 목적을 위해 2011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하는 두 취미교실(기타, 요가)에 참여하며 연구를 진행했다. 기타교실에서 50대 여성 2명과 60대 여성 1명, 요가교실에서 50대 여성 1명이 주 연구참여자가 되었다.
나는 우선적으로 취미교실에서의 활동이 내가 만난 중년 여성 자신에게 어떠하였는가 하는 체험적 측면을 알고자 했다. 어떤 이유로 취미교실을 찾았는지, 취미교실에서 얻는 즐거움 혹은 어려움은 무엇인지, 취미교실에 참여하는 동안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히 취미교실 참여와 관련해 이들이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폈다. 그 결과, 네 명의 연구참여자들 각각이 삶의 맥락에서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취미교실을 찾게 되고 참여했으며, 이에 대한 의미부여나 계획 역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취미교실 체험에 관한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좀 더 깊이 살피기 위해 두 가지 분석틀을 활용해 이야기 구조를 분석하였다. 하나는 연구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삶의 주제를 발견키 위한 현상학적 실존체다. 또한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정체성, 교육, 취미교실에 대한 태도, 인식, 감정 등에 변화가 생긴다는 점에 주목하여, 차연(差延, différance)을 두 번째 분석틀로 참고했다. 우선, 현상학적 실존체로 이야기 주제를 살핀 결과 나는 신체와 관련해 나이 때문에를, 시간과 관련해서는 하는 거 없이 바빠를, 공간과 관련하여 집에만 있으면 우울해를, 끝으로 관계와 관련해 내가 중심이 되는 관계를 연구참여자들의 삶에 나타나는 공통 주제로 꼽았다. 두 번째 차연을 활용한 분석에서 우선, 연구참여자들은 엄마와 나라는 두 가지 정체성을 오간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둘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하나는 일정 정도 포기해야 하는 것으로 이야기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중년의 홀로서기는 나가 중심이 되는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이들이 나-여성-엄마의 조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한편, 교육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이해 또한 이들이 어떤 맥락을 전경에 두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선 나는 통상적, 상식적으로 이야기되는 교육을 그들의 교육에 대한 태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필요 없음, 두려움, 재미 없음이 교육을 대하는 세 가지 공통된 태도였고, 이는 나이 듦, 아줌마라는 자기 이해, 교육을 평가 중심, 결과 중심의 활동으로 이해하는 것과 관련이 깊었다. 하지만 이들은 취미교실에서의 체험에 기반해 선생님이 중요해, 결국은 나의 몫, 시간이 필요한 과정, 어려워도 재미있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끝으로, 취미교실 참여방식은 참여자들이 일과 취미 그리고 가정 가운데 어떤 것을 삶의 전경에 두고 있는가와 연관되어 있다. 이들이 일 혹은 가정을 전경에 둘 때는 비지속적, 수동적 참여방식이 나타나며, 취미가 전경에 올 때 지속적, 능동적 참여방식이 나타난다. 일에서 성취감을 찾기 어려운 고용 구조, 직장문화 그리고 가정에서 의미를 찾는 것을 방해하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가부장적 가정문화는 이들이 취미를 전경에 두게 되는 이유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이 도피처로서 취미교실을 찾는 것만은 아니다. 다른 곳에서 해소하지 못 한 갈증을 취미를 통해 얻은 체험은 계속하여 이곳을 내가 즐거운 장소로서 찾게 만든다. 참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알게 되는 즐거움을 느끼며 적극적, 지속적으로 취미교실을 삶의 한 부분으로 삼기도 한다. 이 경우 취미는 학습의 성격을 가지며, 취미교실은 교육의 장소가, 이곳에서의 관계는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가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 맥락에서 나는 중년 여성, 취미교실 그리고 교육이라는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 및 제언을 했다. 이는 여성 평생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차원 그리고 삶을 문화와 교육의 눈으로 이해하려는 교육인류학의 차원을 염두에 둔 것이다. 특히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교육학 연구들 다수가 이들을 문제 해결 대상자 혹은 프로그램 기능 검증을 위한 도구로 접근한 데 대한 문제의식이 해석의 중심에 놓였다. 선행연구들이 이야기했던 것처럼 여성의 생애 과정은 가족 발달 과정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막연하게 취미교실의 교육적 의미를 증명하고자 했던 나는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생애 과정에서 취미교실이 갖는 의미가 달라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취미교실에서 이들은 모르던 것에 도전하고 알게 되는 체험을 한다. 이를 통해 나이 든 사람, 여생을 사는 자, 평가 대상자가 아니라, 학습자, 도전자, 수행자로서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곤 한다. 중년의 홀로서기는 이러한 체험과 상호지지의 관계를 맺는다. 물론, 여성들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곳, 스스로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곳이 꼭 취미교실일 필요는 없다. 장기적으로, 사회적으로는 가정에서, 직장에서 엄마, 나, 여성인 그녀들이 자신의 다른 정체성 때문에 소외당하지 않는 문화를 구축해가는 것 역시 중요하다.
취미교실은 하고 싶었으나 못 했던 것들을 늦은 나이에 시작할 때, 참여자들이 보다 쉽게 도전할 수 있는 장소다. 그러나 취미교실의 장점은 이곳에 대한 불만, 한계와도 맞닿아 있다. 즉, 수업 내용 및 방식의 비체계적 관리와 운영은 장점이 될 때는 유연함, 부담 없음으로 해석되며 이곳을 찾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제대로 하지 않고 넘어감, 수준 차이가 고려되지 않아서 따라가기 어려움 등의 불만 역시 동사무소 스타일에서 비롯되는 것이었다. 평가를 위한 교육, 무언가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교육에 길들여져 있음은 중년 여성들이 자신의 취미교실 참여에 교육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 보다 능동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방해하고 있었다. 취미교실이 특정 장소, 특정 대상에 국한되지 않는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성장을 방해하는 문화를 반성함과 동시에,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변화와 성장을 발견하는 더 많은 작업들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나는 연구참여자들의 취미교실 참여를 통해 교육에 대한 나의 이해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정리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선생님이 중요해라며 교육의 교수-학습 관계를 강조했고, 결국은 나의 몫이라며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했다. 또한 시간이 필요한 과정이라며 당장의 결과로 나타나지 않는 교육의 시숙(ripening time)으로서의 면을 이야기했다. 끝으로, 교육을 통한 성장이 어려워도 재미있는 것임을 그들은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 배워가고 있었다. 관계적 성격, 과정적 성격 그리고 학습자의 이해 지평이 확장되는 존재론적 성장이라는 내용적 성격은 교육의 요건에 대한 나의 이해를 도왔다. 더불어 나는 연구참여자들의 교육에 대한 해석/실천 자체가 기존의 이해를 허물고, 새로 쌓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을 배웠다. 그리하여 교육학도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보통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과정이 그 자체로 교육적 체험이라는 점을 배웠다. 연구참여자들은 수동적 취미, 소비적 학습으로 만족하던 상태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 취미, 생산적 학습의 방식으로 취미교실 참여 태도가 변화되곤 했다. 교육을 특정 장소, 대상에 한정 짓는 문화는 이들을 주저하게 만들고, 타협하게 만들지만 좀 더 나에게 의미 있는 삶에 대한 갈망, 그러한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동료들의 지지와 자극은 취미교실에 대해 새로운 기대를 갖게 했다. 그것을 두고 이들이 교육이라는 말로 설명하기를 낯설어 한다면, 교육학도인 나의 몫은 그 낯섬의 이유를 살핌으로써 좀 더 많은 삶의 상황에서 삶과 교육이 함께 하는 길을 탐색하는 것일 테다.
In this study, I aimed to understand middle-aged women's lived-experience at the hobby class. In detail,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were based on three interests . At first, I wanted to understand what middle-aged women's physical, mental and social transitions mean to themselves. Second, I wanted to understand the hobby class which are especially managed by a local self-governing body in terms of its educational meaning. This aim came from a need for critical reflection on the explanation that housewives' participation in the hobby class meant just 'hobby' for an individual, especially like "A-Jum-Ma discourse". Also, it came from looking for a possibility of the hobby class as a public life-long learning place which had good accessibility because of its inexpensive cost and wid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country. Third, I wanted to reflect 'education' through middle-aged women's narratives. I had participated in two hobby classes(Guitar and Yoga) from June 2011 to June 2012 with the aim of studying these interests. One 50-aged woman from yoga class and two 50-aged women, one 60-aged women from guitar class were main study participants.
I tried to know about the meaning of their participation for themselves. I considered their narrative while focusing on the reason why they started their hobby classes, the good points and bad points of the joining and in specially, the way they expressed themselves about hobby class. As a result, I knew that four women came to hobby classes for different reasons, joining differently and having different plans about them. It was related to their own life contexts and situations.
In considering their narratives more deeply, I used two frames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narratives. One wa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everyday-life, body, time, space and relation. I used this for looking for the common theme of their life. And my second frame was 'différance' for considering the dynamics of differences, because I knew that identity, education and the feeling about hobby classes including behavior, recognition could be different and also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and contex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followed. First, according to the four elements of phenomenological existence, I found as the first theme "because of getting old" in the body experience and as the second theme "too busy no reason" in the time experience. As the third theme, "depressed in home" in the place experience and as the last theme "the relation which makes me happy" i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Second, according to 'différance', I could know that they had two identities. One was "mom" and the other was "myself". Especially, I was surprised to find that they felt they should choose only one of them. As they became middle-aged, however, they tried to look for harmony between "myself and mom". In addition, their understanding for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nd context. What I found out was the concept of education as common sense through their attitude. "not necessary", "afraid", "not interesting" were common. And those were related to their identity as "old woman", "house wife" and the culture of education giving undue value to the evaluation and the result. But I also found out that they also told that "teacher is important", "after all, learning depends on myself", "needs time", "learning is difficult but interesting". It was from their lived-experience at the hobby classes.
In the last, the way of joining the hobby class was related to their situations which they prefer to between work, home and hobby. If they have preferred work or home, they would join the hobby classes passively and not regularly. In contrast, if they have preferred hobby, they would join more actively and continuously. In this case, the hobby could have educational meaning. And the hobby class could be an educational place and the relations in there could be educational.
In this context, I did interpret and suggest focusing on the three issues
'middle-aged women', 'hobby class' and 'education'. I studied it in terms of critical woman life-long learning and education anthropology which helped m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life, culture and education. Especially, my alertness to the preceding studies which were focusing on the middle-aged women as the object for solving problems or judging functions of 'education program' w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my work. In contrast from these, I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ontologically approach middle-aged women and their education. As in the many preceding studies, the life of women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familes. Unclearly, I had tried to prove the hobby class's educational role. But after hearing detail narratives from the participants, I recognized that its educational meaning had been changed continually through all their life. At the hobby class, they had a lived-experience, that is, "challenging to a new world". And through this, they could find themselves as a "learner", "challenger" and "performer" not just as "old women" and "those assessed". The 'standing alone' of middle-aged women is encouraged by this lived-experience and vice versa. Of course, the hobby class is not the only place where these women can find the meaning of their own life or they can grow without being neglected. It should not be. In the long term and socially, it is also important that all women must not be neglected no matter which they focus on their home, work or something.
The good points of the hobby class were not different from its bad points. In other words, unsystematic management and curriculum were "flexible", "not burdened" as good points. But such complaints as just trying" and "difficult to follow the class because of the unsuitable levels" also came from the so-called "dong-office style". Getting familiar with the education for evaluation prevented them from looking for an educational meaning and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hobby class. So, it is needed to reflect these cultures and try to find more tangible changes and growth in a hobby class as a lifelong learning place.
Next, I put my idea about education into shap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as they told that "teacher is important". They emphasized learner's subjectivity as they told "after all, it depends on myself". Also they talked about the ripening time for education as telling "(it) needs time". Lastly, they had been learning that the participation in education is "difficult but interesting". Such findings helped me to understand what the education is. Also, I learned that their interpretation/practice for education was a learning experience itself that pulled down their old concepts of education and built a new one. Some women who I met through this research had changed to join the hobby class as an active one with productive learning not as passive one with wasteful learning. The encouragement and stimulation from classmates with whom they shared their desires and concerns for more meaningful life made them have a new hope for hobby classes. If they didn't express the experience above as 'education', my role as a pedagogical student would be to find out a way that our life goes along with education more integrall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9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