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멜랑콜리의 표현과 그 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elancholy and its Expansion-A Focus on Personal Work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신영

Advisor
윤동천
Major
미술대학 서양화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멜랑콜리이상과 현실 및 자아의 간극상실양가감정자아로의 집중과 분열주관적 시간성관조와 성찰에 의한 자각은폐와 표출위장과 소진의 그리기리듬을 부여한 연작 구성즉흥 및 우연의 행위불안정한 매체협업을 통한 표현의 확장과 소통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3. 8. 윤동천.
Abstract
나는 늘 완벽하고 영원한 하나의 세계를 꿈꾼다. 그렇지만그것은 모호하고도 막연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상을 현실에서 구현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일 것이다.이러한 이유에서인지 나는 양립하기 어려운 것이 공존하는 상황이나 불완전함 속에 위치해 있는 대상들을 유심히 관찰하게 된다. 그리고 관찰한 바를 물질로 만들어 남기고 제시하고자 하는 충동과 욕구를 느낀다. 또한 나는 '발견된 현실'을 영원으로 박제하고자 하는 반면, 동시에 그것의 불능을 드러내려는 이율배반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와 같은 충동과 태도를 바탕으로 한 나의 작업은 궁극적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현실이 지닐 수 밖에 없는 본래적 불완전성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목적이 구체화되는 과정으로서의 그리기, 즉 끝내 충족되지 않는 모순된 충동과 욕구에 의해 유발되는 행위의 연속 속에서 창작의 의미를 찾는다.
오래도록 축적되어 온 경험은 이미지로 집약되어 발현되고, 그 이미지는 다시 내면의 모습을 증언하고 끊임없이 현재화한다. 내면의 모습을 반영하는 작업을 해석해 가는 과정에서 나는 나의 작업 전반과 그것에 임하는 태도가 멜랑콜리(melancholy) 특유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의 작업에서 발견되는 멜랑콜리는 크게 대상의 상실, 그리고 이상과 현실 및 자아 간의 갈등에서부터 비롯되는데, 상실은 나의 개인적인 경험 속 구체적인 대상과의 관계에서 시작되어 점차 이상과 같은 추상적인 관념으로 이어졌다. 나는 각 이미지에 상실한 대상에게서 느끼는 양가감정, 혹은 외부 세계로부터의 격리와 고독, 나르시시즘과 강한 자의식에 의한 내적 분열 등 멜랑콜리에 의해 심리적으로 야기되는 특징들을 시각화하였다. 또한 현재라는 물리적인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고 관념 속 주관적인 시점에 고착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멜랑콜리의 상태를 화면에 기록하면서 스스로를 관조하고 성찰하려는 노력과 의지 역시 담아내고자 하였다.
상실로 인해 발생하는 멜랑콜리의 경험을 수용하여 현실의 불완전성을 구현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나의 작업 속 표현들은 다중적인 형상과 구조를 이룬다. 우선 나는 은유와 상징, 알레고리와 같은 표현 방식을 주로 사용하여 상실의 경험, 그리고 이상과 현실, 자아 간 간극에서 발생한 갈등을 암시함으로써 스스로를 은폐하면서도 표출하려는 모순적인 성격의 이중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작업의 전체 구성은 주로 연작의 형태를 띠는데, 이는 나의 심리상태를 위장하면서 자아가 소진될 때까지 이어지는 그리기의 행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상실의 대체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반복과 변주에 의해 구성된 연작은 화면과 그 구조에 시각적 리듬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밖에도 나는 여러 감각을 자극하는 불안정한 성질의 재료 및 매체와 더불어 즉흥의 행위와 우연의 효과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나의 작업 전반의 구성 및 표현은 하나의 고정된 방식이나 완결된 표현에 대한 거부를 전제로 하고 있다.
다양한 멜랑콜리 표현의 구사는 더 나아가 즉흥과 우연에 입각한 상호작용과 멜랑콜리의 비언어적인 측면의 결합을 시도한 작곡가와의 협업을 통해 그 표현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협업의 참여자들은 기존의 배경지식과 상상력을 기반으로, 음악과 미술이라는 서로 다른 예술 분야의 작업을 이해하고 그것을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생성된 소리, 이미지, 문자로 이루어진 혼성 구조의 텍스트는 관객들로 하여금 언어•시각•청각적 능력을 총체적으로 동원하여 해석하도록 만든다. 이로써 나는 멜랑콜리의 정서를 공유하고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작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주요어: 멜랑콜리, 이상과 현실 및 자아의 간극, 상실, 양가감정, 자아로의 집중과 분열, 주관적 시간성, 관조와 성찰에 의한 자각, 은폐와 표출, 위장과 소진의 그리기, 리듬을 부여한 연작 구성, 즉흥 및 우연의 행위, 불안정한 매체, 협업을 통한 표현의 확장과 소통
I have always been dreaming of a perfect and eternal world. However, this would be almost impossible to be realized in reality since a perfect and eternal world only exists as a vague and obscure state. For this reason, I tend to carefully observe the situations where two seemingly incompatible phenomena co-exist and the objects that exist amid incompleteness. Furthermore, I feel the urge and the desire to transform them into substances to preserve and record, at the same time, I show the attitude of antinomy to keep the found reality as eternity and to show its incapableness at the same time. The goal of my works based on such urge and desire is to ultimately make the viewer realize the innate incompleteness of reality through images that reflect my attitude. Then I strive to explore the meaning of creation in the act of drawing to give a shape to this goal, which is created through my contradictory desire that never seems to be satisfied.
The experience that I hav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based on such perception is represented through intensive images. These images serve as a device that demonstrates my inner self and continuously makes it relevant to the present. In the process of the interpretations of my works reflecting my inner side, I realized that the concept of melancholy is involved. Melancholy in my works has originated with the loss of object and the conflicts between ideality, reality, and ego. The loss which started from a relationship with concrete objects in my personal experience has gradually led to abstract concepts such as ideality. In my images, melancholy h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 ambivalent feeling from lost objects, isolation and solitude felt after leaving the reality by loss, and inner split due to narcissism and strong self-consciousness. Moreover, I was able to find an aspect fixed to the subjective point of time inside notions, which does not follow the physical flow of time in real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I have strived to materialize the conditions of melancholy and put my efforts and will to contemplate and introspect myself into my works.
The expressions of my works based on the trial to realize incompleteness of reality by accepting the experience of melancholy due to loss have multidimensional forms and structures. First of all, I make dual images to conceal and reveal myself by mostly using methods such as metaphor, symbol, and allegory, which imply the experiences of loss and the gaps between ideality, reality, and ego. In addition, the whole composition of my works take mostly a form of series, which are a substitute of the loss built on the act of drawing that camouflages my mental state and lasts until self-exhaustion. Also, the series create a visual rhythm with repetition and variation in the picture plane and the structure of them. Moreover, I utilize unstable materials and media that stimulate various senses using improvisation and accidental effects. Through this,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my whole work relies on the premise that any rigid approach or complete representation will be refused.
Furthermore, the use of the various expressions of melancholy maximized them through a collaborative work with composers trying to combine the nonverbal aspect of melancholy and the interaction by improvisation and accidental acts. The participants of collaboration understood and reinterpreted the work of different artistic fields through their knowledge and imagination. As a result, products of the mixed structure consisting of sounds, images and texts led audienc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art by holistically utilizing their linguistic, visual, and auditory capabilities. As mentioned above, I have strived to develop my works to share the emotion of melancholy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Key Phrases: melancholy, gaps between ideality, reality and ego, loss, ambivalent feeling, concentration and division toward ego, subjective sense of time, consciousness by self-reflection and contemplation, concealment and revelation, drawing of camouflage and exhaustion, creating series with a sense of rhythm, improvisation and accidental acts, unstable mediums, expans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collabor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