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무의식에 내재된 에너지의 추상적 표현연구 : A Study on Abstractive Expression of Energy Inhere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동천-
dc.contributor.author오태원-
dc.date.accessioned2017-07-19T03:52:37Z-
dc.date.available2017-07-19T03:52:37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75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88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3. 8. 윤동천.-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누구나 일상적인 불안을 갖고 있고 경험하게 마련이다. 본 연구는 본인의 지극히 개인사적인 자전적 기억에서 야기되는 불안 심리를 작업의 동기로 제시한다. 그 불안 심리의 여러 원인과 면모를 파악하여 구체적인 작업과의 연계성을 추적하고 있다.
본인에게 있어 작업행위는 나 스스로 의식하지 못한 채 억압되어있는 감정을 불러일으켜 기억의 회복과 발산을 경험하는 해방감 같은 것이다. 즉, 무의식에 내재한 갈등을 드러내서 불안 심리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은 열망을 표출하고, 종극에는 심리적 정화와 해소를 얻는 것이 내 작업의 주된 목적이다.
본인의 작업에 있어 무의식은 잠재되고 억압되었던 체험을 외부로 이끌어주는 직접적 통로이며, 반수면의 증후와 환영의 경험과 같은 본인의 시각적 체험은 작품의 주된 소재이다. 이를 처음부터 설정하거나 의도한 것은 아니었고 작업을 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파악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업에서 무의식은 이처럼 소재의 선정은 물론, 작업과정을 통해 작업의 형식(조형요소 및 매체의 선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작업의 내용 또한 이루는 것이다.
본인 작업의 근간되는 무의식의 역동성은 에너지의 시각화된 형태에서 속도감(움직임)과 일정한 흐름(방향성), 유사한 이미지의 반복과 지속성(생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무의식적으로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표출되므로 비정형적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인의 무의식에 내재한 잠재적 에너지를 시각화하기에 적합한 형태로는 움직임(생명력)을 내포한 유기체적 이미지임을 그러한 내용과 함께 서술하였다.
본인 작업에서 이러한 유기체적 형태는 작업의 대상이 구체적인 형태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자연스럽게 추상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그러한 추상적 성향은 바이오모픽 아트(Biomorphic Art)의 양상과 오토마티즘(Automatism)의 특징을 포함하고, 작업에서 흘러내리기와 떨어뜨리기 등으로 우연의 효과를 획득한다. 또한 색채의 중첩과 이미지의 중첩에서도 우연의 효과는 발생한다. 색채의 주된 특징으로는 서로 번지게 하여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활용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한 대비효과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우연의 효과, 혼재된 중첩 그리고 강조된 색채는 서로 긴밀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우연적이면서 필연적 조화를 이루는 양가(Ambivalence)의 효과를 발휘한다. 판화는 이들을 부합시키기에 용이하며 적절한 매체이다. 특히 딥에칭(Deep Etching), 헤이터기법(Hayter Technique), 목판-평판화법(Woodcut–Planography)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본인의 무의식에 내재되고 억압된 자전적 기억과 그에 따른 불안 심리가 작업의 행위와 과정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이루고 카타르시스로 승화됨을 서술하고 있다. 또한 무의식에서 표출되는 작업의 소재들이 유기체적 형태와 원초적 에너지로 시각화됨에 있어 표현의 과정과 결과가 추상적일 수밖에 없는 타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본인작품의 설명과 함께 참고 그림도 분석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Anyone experiences anxiety in daily life. This study presents the anxiety as the motivation of the work arising from my extremely private autobiographical memory by tracking the connectivity of a specific task and identifying the various causes and aspects of anxiety.
For me, doing work means experiencing the recovery and divergence of memory by arousing a feeling of freedom suppressed unconsciously. In other words, the main objective of my work is to express the desire to be free from anxiety by revealing the inherent conflicts in the unconsciousness, so that I get the psychological purification and relief.
In my work, the unconsciousness is the direct pathway that leads potential experience repressed to the outside. My visual experience such as Symptoms of half sleep and Experience of phantom is the main material of my work. I could identify the intention of this work though the process not from the beginning. In my work, therefore, the unconsciousness consists of such a course of action with a profound impact on the type of work (formative elements and the choice of media) through the process, as well as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The dynamics of the unconsciousness which is the backbone of my 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pace (movement), a constant flow (directivity), the repetition and persistence of similar images (creation) in the visualization in the form of energy which is expressed as atypical forms led by the unknown power unconsciously. Therefore, the suitable form that visualizes the potential energy inherented in my uncounciousness is presented in the organic image that includes the movement (life force).
In my work, this organic form is naturally expressed in the form of abstract expression because the subject of the work is not reaveled as subjective form. The abstract tendency is expressed as Automatism and obtains the effect of chance by activities of making flow and dropping. In addition, the coincidence effect occurs even in the superposition of colors and images. The main features of color is the use of a contrast effect to strengthen the movement and dynamic gradient(Gradation). This forms a clos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chance effects, mixed reiteration, and color that leads to the effect of ambivalence consisting of incidental and consequential harmony. The engraving is the appropriate media in accordance to them. In particular, I tried to implement it through Deep-Etching, Hayter Technique, and Woodcut-Planography.
This study describes the catharsis of unconscious 'autobiographical memory' and 'anxiety' consequent sublimated from the act and process of work that oppressed in my un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feasibility of the abstract representation of process and result in the expression as the unconscious materials that used in the work is visualized as the form of 'organic form' and 'primal energy' is described. I analyzed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ork with the reference to pictures to help understandi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 론

Ⅱ. 불안으로부터의 탈출 추구
1. 자전적 기억과 불안 심리
2. 심리적 정화와 해소

Ⅲ. 무의식의 반영
1. 환영의 경험과 인상
2. 무의식의 표출

Ⅳ. 에너지의 시각화
1. 유기체적 형태
2. 추상성의 구현

Ⅴ. 표현상의 특징
1. 우연의 효과
2. 혼재된 중첩
3. 색채의 강조
4. 판화의 활용

Ⅵ. 결론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5646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전적 기억-
dc.subject카타르시스-
dc.subject무의식의 역동성-
dc.subject무의식의 에너지-
dc.subject기억의 흐름-
dc.subject혼재된 중첩-
dc.subject.ddc759-
dc.title무의식에 내재된 에너지의 추상적 표현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bstractive Expression of Energy Inheren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OH TAEW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ii, 80-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서양화과-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