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hina's Foreign Policies toward Developing Countri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ses of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비교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원준희

Advisor
조영남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Keywords
China's developing country diplomacygrand strategyregional diplomacyprinciple-centered diplomacyODA diplomacyinternational status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대전략지역외교원칙중심외교ODA 외교국제지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14. 8. 조영남.
Abstract
국제 지위가 상승하고 있는 중국은 개발도상국들을 자신의 부상을 위한 중요한 존재로 인식하며 이들과 매우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개개의 국가가 중국의 전략적 구상에서 차지하는 가치가 지역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중국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개발도상국 외교정책을 수립한 것 같지는 않다. 이러한 사실은 몇 가지 중요한 질문들을 남긴다. 첫째, 탈냉전기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지역별로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다른가? 또한 지역 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지역을 관통하는 일관된 요소가 있는가?
따라서, 이 논문은 중국이 자신의 세력과 영향력을 각 지역에 얼마나 그리고 어떠한 형태로 확대해 나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정치적, 안보적, 경제적 이익에 따른 중국의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외교를 관찰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연구질문에 타당한 답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2차 대전 이후 세계 강대국들(미국, 소련, 일본)의 냉전기 및 탈냉전기 제3세계외교(즉, 개발도상국외교) 중, 중국의 개도국외교의 형태가 어느 국가의 제3세계외교와 가장 유사한지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비교분석은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시사한다. 첫째, 지역 개도국 외교를 전개하는 중국이 양자외교와 다자외교 중 어느 형태의 외교에 강조점을 두는지는 중국에 대한 역내 국가들의 인식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둘째, 이미 타(他)강대국의 세력이 확립된 지역 및 중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들에서는 양자외교를 중심으로 개발도상국 외교를 전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외교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가 지닌 지역을 관통하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탈냉전기 개발도상국에서의 중국의 존재(presence)는 '국제지위의 변화'에 의해 결정되었다. 여기에 더해,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자신감을 얻어 '소극적 자발성(passively voluntary)'에서 '적극적 자발성(actively voluntary)'을 보여주는 외교로 전환하였다. 또한 중국은 역내 타 강대국의 존재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로부터 행동의 자유를 얻을 수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개발도상국외교는 '원칙중심외교(principle-centered diplomacy)'이다.
어떤 유형의 개발도상국외교가 중국에 가장 부합하는가에 대한 질문과 관련해서는, 공교롭게도 중국은 위에서 언급한 그 어느 개도국 외교의 유형에도 뚜렷하게 들어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정치 체제의 전환을 동반하는 미국과 소련의 이념과는 달리, '평화공존5원칙'과 '신안보관'과 같은 중국의 '원칙'은 정치 체제가 아닌 외교의 운용방식(modus operandi)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기존의 체제를 유지하는 부분에서 상이성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중국의 접근이 일본의 경우와 같이 거대한 경제력에 기반하여 이루지고 있지만, 그리고 중국과 일본 모두 일종의 ODA외교를 전개하는 것은 비슷하지만,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대전략의 보다 광범위한 정책기조하에 추진되고 있다. 게다가, 일본과 다르게 중국은 국제 정치, 경제, 안보 영역에서 자율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이 더욱 많다.
결과적으로, 탈냉전기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미국, 소련, 일본의 그것 중 어느 것으로도 분류될 수 없다. 오히려 중국의 개발도상국 외교는 국제지위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에서 나온 (1) 다른 국가들과의 '전략의 성격 및 의도의 차이'와 (2) 자신의 '국가역량에 대한 고려'에 기초를 둔 전혀 다른 유형의 개발도상국 외교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With its elevating global status, China sees developing countries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its rise and is involved in very active diplomacies with them.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China builds a single diplomacy toward developing countries that is universally applicable. The fact that values of each region in Beijing's strategic thinking all var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China's foreign policies toward developing countries must be different by region. This leaves several important questions to be answered: how and to what extent China's post-Cold War developing country diplomacies vary by region? Also, desp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regions, is there a coherent set of elements in foreign policies that penetrate developing region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form and the degree to which China extends its power and influence on each developing region, and provide legitimate answers to above questions based on well-grounded observation on Chinese foreign policies toward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depending on political, security, economic interests Beijing finds in respective region. Based on above analysis, this study will see which form of Third World(i.e. developing county) diplomacies of the 3 post-Second-World-War major powers, the United States(ideology-driven diplomacy), Soviet Union(ideology-driven diplomacy), and Japan(ODA diplomacy), China's case best fits into.
Aforementioned comparative analysis reveals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First, regional states' perception toward China largely affects on which form between bilateral and multilateral diplomacy China places stronger emphasis. Second, China's relative emphasis on bilateral diplomacy is observed in regions where there is(or are) other established power(s) and that are geographically close to China.
In spite of very differences in regional diplomacy, there are some penetrating elements found in China's developing country diplomacy during the post-Cold War era. First, China's presence in developing world is determined by its 'change in international status.' In addition, the nature of its overtures toward developing countries has gradually changed from 'passively voluntary' to 'actively voluntary' one after gaining confidence after late-1990s. Also, China is very sensitive to 'presence of major power(s) in the regional scene,' and thus often looks for places where it can find more freedom of actions. Last, Chinese developing country diplomacy reveals 'emphasis on principles.'
As to the question of which category Chinese case fits into, Beijing's diplomacy does not fall into any single category of major power developing country diplomacies in a clear-cut manner. In contrast to the 'ideologies' that U.S. and Soviet Union promoted and that often accompanied changing domestic political system, Chinese 'principles' such as Five Principles of Peaceful Coexistence and New Security Concept leave the existing system intact because they are designed to apply to the modus operandi of diplomacy, not domestic political system. Also, though China's access to the developing countries is facilitated by huge economic gifts just like Japanese experience, and both Beijing and Tokyo's intention behind ODA diplomacy holds similar by and large, China's developing country diplomacy is carried out under a broader framework of grand strategy. Moreover, China, unlike Japan, is on the relatively unfettered position in international 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domains and, thus, can mobilize more resources to unfold its strategy.
Consequently, China's developing country diplomacy in the post-Cold War era cannot be treated as any of developing country diplomacies by the 3 major powers of the United States, Soviet Union, and Japan. Rather, I argue that it has to be categorized as a distinct form of foreign policies due to (1) the differences in nature and intention of strategy between China and other major countries and (2) consideration of state capacity, both of which originate from Beijing's own assessment over its international statu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3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