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구)장항제련소 주변 이주마을의 치유환경 설계 : Designing of Healing Environment In case of Emigration Village Neighboring Old Janghang Smelting Facto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종상-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7-07-19T07:02:17Z-
dc.date.available2017-07-19T07:02:17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8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69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3. 2. 성종상.-
dc.description.abstract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은 1936에서 1989년까지 한국의 근대사에서 경제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 제련소가 자리한 곳이다. 최근 들어 그 지역에서 물을 마시고 농작물을 수확해먹어온 주민들의 건강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그동안 누적된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2년 3월부터 제련소를 중심으로 반경 1.5km이내 농가구와 전답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 맞물려 현재 대상지 주변 지역에는 반환경적 개발에서 벗어난 여러 정부대안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대상지 동북 측에 바로 면해있으며 인근에 국립생태원, 연안정비사업, 생태산업단지 조성이 진행되고 있는 곳으로서 서천군에서도 이 곳 장항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올해는 지역재생의 일환으로, 종착지였던 구 장항역사, 낡은 창고, 부두 등의 근대 건축물과 천혜의 자연자원인 송림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가 융합된 선셋장항페스티벌(sunset janghang festival) 첫 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대상지는 매입 후 정부는 마을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토양정화단지, 토양지하수오염방지기술(Gaia Project)단지, 풍력발전단지 및 바이오매스(Biomass)단지 등 친환경산업단지로 활용하여 오염부지의 정화 및 재이용을 계획하고 있다. 오염부지 매입기간 및 토지이용사업의 착수 전에는 해바라기 등 오염정화식물을 식재하고 바이오배스로 활용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토지이용사업 착수 시에는 절토 후 복토를 통해 오염된 토양을 외부로 반출하며 새로운 흙으로 절토된 땅을 덮을 계획을 하고 있다.
반면 주민들은 고향을 잃은 상실감을 느끼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로부터 받는 보상으로 시내에서 집을 얻기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평균 연령이 60세 이상인 주민들은 경제활동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빚을 져 이사를 한다고 하더라도 갚을 길이 막막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매입 중인 (구)장항제련소 주변 마을을 대상으로 강제로 고향에서 내몰리는 주민의 삶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매립되는 마을 중 가장 제련소와 인접해 있는 당그매마을, 윗마을, 아랫마을을 대상으로 환경 계획·설계 및 구체화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토지이용사업 착수 전까지 해바라기 및 오염정화식물을 식재하고 바이오매스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착안하였으며 이에 더해 오염된 토양을 외부에 반출하지 않고 생태적인 정화를 통해 오염토가 대상지 내에서 정화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였다. 남겨진 빈 집은 철거하지 않고 보존하여 이를 활용한 지역재생 뿐만 아니라 이주민의 소득창출을 할 수 있는 지역의 예술·문화와 결합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원주민이 안내 및 관리를 통해 소득을 얻도록 한다. 또한 대상지 주변의 정부사업으로 인한 방문객을 유도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오염토양을 생태적인 방법으로 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조명하여 다른 대안적인 구상안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가 사람의 삶을 무시한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하는 패러다임으로 확산되고 향후 유사 사례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국문초록ⅰ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1
1. 연구의 배경1
2. 연구의 목적3
제 2절 연구의 범위4
1. 공간적 범위 4
2. 내용적 범위5
제 3절 연구의 진행과정6

제 2장 대상지의 이해7
제 1절 상실의 공간, (주)장항제련소 주변 마을7
제 2절 대상지 현황분석10
1. 대상지 일반 현황분석10
2. 인문·사회 환경 분석13
3. 관련 계획: 토양오염 개선 종합대책(안)23
4. 토양 오염 현황 분석30
제 3절 대상지의 광역적 여건 분석34
제 4절 분석 종합40

제 3장 기본 구상41
제 1절 설계의 접근41
1. 과제의 도출 및 대안41
2. 설계의 방향42
제 2절 설계개념45
1. 치유45
2. 회복65
제 3절 공간 구상69
1. 기본 구상69
2. 동선 구상71

제 4장 기본 계획과 설계72
제 1절 절토 및 적치계획72
1. 절토 및 적치량 산정72
2. 절토 및 적치공간 계획73
제 2절 식재 계획75
1. 원주민 메모리얼 묘목식재75
2. 중금속 종류에 따른 식재 수종 선정76
3. 정화식물 처리 계획 84
4. 경관 식재 계획85
제 3절 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91
1. 빈 집 활용 계획91
2. 식재 행사 프로그램 92
3. 문화·예술제 프로그램93
4. 경관 시퀀스 계획94

제 4절 광역 관광 자원과 연계98
제 5절 기본 설계안101
1. 종합계획도101
2. 조감도102
제 6절 주요 공간 계획103
1. 토양 정화 전시관103
2. 예술인 공방·전시관106
3. 농가민박 및 상업시설108
4. 마을 역사박물관111
5. 적치장114

제 5장 결론 117

■영문초록119
※ 참고문헌121
※ 부록12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9812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치유환경-
dc.subject식물 정화-
dc.subject생태적 정화-
dc.subject경관식재-
dc.subject문화·예술-
dc.subject장항-
dc.subject.ddc712-
dc.title구)장항제련소 주변 이주마을의 치유환경 설계-
dc.title.alternativeDesigning of Healing Environment In case of Emigration Village Neighboring Old Janghang Smelting Factor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Yu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ⅸ, 129-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