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90년대 중반 이후 연극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 조광화, 박근형의 작품을 중심으로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승국-
dc.contributor.author이준수-
dc.date.accessioned2017-07-19T09:37:52Z-
dc.date.available2017-07-19T09:37:52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5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179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15. 8. 양승국.-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조광화, 박근형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를 분석한다. 신진 창작자였던 두 사람은 기성 작가들의 작품과는 다른 경향을 발견 할 수 있으며 이는 1990년대 후반 사회상과 조응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것은 특히 그로테스크의 미학으로 드러난다.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편향되어, 1990년대 연극에 대한 주요 관점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결과 조광화 박근형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의 성격은 거시적 관점에 가려 세밀하게 논의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사회상에 대한 연극적 대응이라는 관점으로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의 발생과정과 작용 양상, 사회적 대응 방식에 대해 종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2장에서는 작가에 의해 인식된 현실이 작품에 반영되는 양상을 살핀다. 사회 경제적 위기감이 팽배했던 당시의 사회 문제점은 작가에 의해 작품 속에 반영되어 극대화되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세계의 모순점을 돌파하기 위한 인물들의 비정상적이고 극단적인 행동이 드러난다.
3장에서는 인물들의 모습과 행동에서 드러나는 그로테스크를 분석한다. 이들은 특히 신체적 차원에서는 기형, 불구, 기계와의 결합, 정신과 육체의 분리 및 이식 등의 양상을 보이며, 윤리적 차원에서는 근친상간, 친부살해 등 금기를 넘어서 반인륜적 행각을 벌이는 행동을 감행한다. 그 결과 인물들은 괴물이 되어 극한적 상황에 대해 극단적 행동을 보임으로써 모순된 상황을 부각시켜 되비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들은 파멸함으로써, 희생양이 된다. 그러므로 이들에게서 발견되는 그로테스크의 미학은 단순히 엽기성과 극단성, 이질성을 통해 발생하는 미적 효과의 측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위기 해결을 위한 희생 제의의 성격을 띠게 된다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이들 괴물-희생양을 통해 조광화와 박근형의 작품이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해 취하는 대응 방식을 밝힌다. 물리적 윤리적 폭력을 행사하던 괴물(희생양)에게 배제의 형태로 대체 폭력이 행사되고 있으며, 작품 전체는 이러한 배제를 통해서 공동체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조광화와 박근형의 작품들은 당대 사회에 대한 공적 제의의 성격을 지닌다.
결론적으로 조광화와 박근형 작품에 드러나는 그로테스크의 미학은 표면적으로는 비정상적인 상황과 인물을 전경화하고 있지만, 긍정적이며 대안적인 생성을 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theme of grotesque featured in the plays of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after mid-1990s. These plays, written by a rising writer-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not only show unique tendency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but also correspond to the social images of late 1990s.
Existing research on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mainly focuses on the aspect of Postmodernism and plays a role as a general viewpoint to the plays in 1990s. For that reason, the aesthetic of grotesque featured in both writers has been shadowed by the general viewpoint of postmodernism. Therefore, I present this thesis to cover the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plays of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after mid-1990s and suggest the another viewpoint, the theatrical response to the social aspect in late 1990s,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grotesque aesthetic, the condition of grotesque and the modes of social response, featured in the plays of both writers.
In the second chapter, I explore how both writers represent their perceived reality within the plays. Throughout plays, the writers maximize the social problems drawn out from the social, economic crisis and direct the radical, abnormal actions of each characters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irony of the world.
Thirdly, I analyze the grotesque featured in each characters description and the modes of action. On the physical level, the characters show deformity, disability, mechanical coupling, separation/transplantation of body and soul
-
dc.description.abstractwhereas, anti-human crime, such as incest and patricide, is committed on the ethical level. Consequently, the characters become a monster, showing the drastic reaction to the extreme setting, which mirrors the ironic situation. They become scapegoat by the destruction. Therefore, the grotesque of these characters depicted as extremity, disparateness and bizarreness not only displays the aesthetic effect but also suggests the tendency of scapegoat ritual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community crisis.
In the final chapter, I examine how the plays of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take a stand on the social aspect of late 1990s through monster-scapegoat. The plays stage substitution violence, excluding the monster(scapegoat) and trying to solve the community crisis. On this aspect, the plays of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shows the tendency of the public ritual toward the society where they are standing on.
In conclusion, the aesthetic of grotesque, featured in the plays of Cho Kwang-hwa and Park Geunhyung, tends to produce the positive alteration, outwardly foregrounding the unnatural setting and the character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문제제기 1
1.2. 연구대상 및 연구사 검토 6
1.3. 연구방법 14
2. 극한적 현실로부터 디스토피아의 출현 26
2.1. 극한적 현실의 한계상황 인식 26
2.2. 친숙한 세계의 급변을 통한 비정상성 노출 35
3. 비정상적 세계에서 벌어지는 괴물들의 축제 45
3.1. 비정상적인 요소에 의한 괴물의 형상화 45
3.2. 무정부적 예외상태에서 인물의 희생양화 54
4. 일그러진 세계의 재생성을 위한 시도 67
4.1. 폭력을 막기 위해 도입된 대체 폭력의 작용 67
4.2. 배제된 것들의 희생제의를 통한 대안적 사유의 생성 75
5. 결론 83
참고문헌 86
Abstract 9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10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박근형-
dc.subject조광화-
dc.subject그로테스크-
dc.subject괴물-
dc.subject희생양-
dc.subject희생제의-
dc.subject.ddc792-
dc.title1990년대 중반 이후 연극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 조광화, 박근형의 작품을 중심으로 --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94-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