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합성감미료 4종에 대한 섭취량 평가 연구 :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four artificial sweeten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훈정-
dc.contributor.author이영선-
dc.date.accessioned2017-10-27T16:59:57Z-
dc.date.available2017-10-27T16:59:57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27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003-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2017. 8. 권훈정.-
dc.description.abstract국내에서 사용이 허용된 합성감미료는 4종(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으로 최근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이후에는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품 내 합성감미료 함량 분석을 진행하여 합성감미료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자료에 적용하여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를 수행하였다.
식품 내 합성감미료 사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합성감미료 4종 동시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알코올은 아스파탐의 분해를 막기 위해 질소를 사용하여 제거하였으며, 지방은 75% 아세톤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고체화시켜 제거하였다. 합성감미료 분석에는 적절한 민감도를 가지면서 경제적인 HPLC-ELSD를 사용하였다. 합성감미료 4종 동시분석법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저지방성 대표식품(배음료)과 고지방성 대표식품(생크림)을 대상으로 직선성, 방법검출한계 및 방법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 측정불확도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이 국제 기준에 적합하였다.
확립된 합성감미료 4종 동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품 908건(식품유형 30종)을 분석하였다. 모든 식품에서 합성감미료 함량은 국내 사용기준 이내로 확인되었다.
사카린나트륨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17종의 식품유형에서 사용이 확대되었으나, 이 중 탁주에서만 사카린나트륨이 검출되었다. 합성감미료 4종 중 가장 늦게 사용이 허가된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는 각각 5종의 식품유형에서 새로이 검출되었으며 각각 16종 및 17종의 식품유형에서 사용이 확인되었다. 이는 합성감미료의 사용범위가 확대되더라도 실제 식품산업에 적용되어 제품화 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음료류에서는 사카린나트륨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합성감미료 사용이 용이해지면서 뒷맛(쓴맛)을 가지는 사카린나트륨 대신 설탕과 비슷한 맛을 제공하는 다른 합성감미료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카린나트륨은 다른 합성감미료에 비해 적은 식품유형에서 검출되었는데 이는 사카린나트륨이 제한된 식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국내에서는 사카린나트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합성감미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관능적 기호도가 합성감미료의 사용양상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12–2015)의 24시간 회상자료와 식품 내합성감미료 농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합성감미료 4종의 섭취량은 모두 ADI 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합성감미료 4종의 평균 섭취량(%ADI)은 사카린(3.4%), 아스파탐(0.9%), 아세설팜칼륨(1.8%), 수크랄로스(2.2%)로 사카린이 ADI 대비 가장 높은 섭취수준을 보였으나, 사카린 기여식품 섭취자의 95th 섭취수준 또한 ADI 대비 14%를 넘지 않았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체중당 합성감미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p < 0.005), 그 이유는 탁주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아(만 3–6세)는 다른 연령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중당 합성감미료 노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감미료의 특성상 과자, 캔디류, 음료류 등 어린이 기호 식품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식품섭취빈도자료를 24시간 회상자료 대신 식품섭취자료로 사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대상자의 합성감미료 섭취량을 24시간 회상자료와 식품섭취빈도자료로 각각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식품섭취빈도자료는 제한된 음식항목에 대해서만 조사한 자료로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식품유형 7종은 합성감미료 섭취량 산출시 제외되었다. 식품섭취빈도자료에서 합성감미료 섭취량 추정에 사용된 식품유형은 24시간 회상자료보다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섭취량이 0인 빈도는 24시간 회상자료를 사용했을 때가 더 높았다. 그러나 24시간 회상자료는 개인의 섭취량 분포에서 집단의 평균적인 섭취패턴을 추정할 수 있고 모든 식품을 섭취량 평가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합성감미료 위해 평가에는 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24시간 회상자료로 산출한 합성감미료 섭취량의 평균과 95th은 식품섭취빈도자료를 이용했을 때보다 더 높게 나타나 합성감미료 위해 평가에서는 식품섭취빈도자료에서 제외된 가공식품의 기여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24시간 회상자료로 산출된 95th 추정 섭취량은 일반 섭취분포의 95th 보다 과장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합성감미료는 모든 식품에서 사용기준 이내로 사용되었으며, 합성감미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관능적 기호도가 합성감미료의 사용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합성감미료 모니터링 자료와 식품섭취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국내 합성감미료 섭취량 수준은 모든 합성감미료에 있어 안전한 수준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민들 사이에 만연한 합성감미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필요에 따라 합성감미료를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합성감미료 사용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적 측면에서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2 장 문헌고찰 5
2.1. 합성감미료의 특성 5
2.1.1. 사카린나트륨 5
2.1.2. 아스파탐 8
2.1.3. 아세설팜칼륨 11
2.1.4. 수크랄로스 14
2.2. 합성감미료가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17
2.3. 합성감미료 분석법 22
2.4.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 24
2.4.1.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 방법 24
2.4.2. 국내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 현황 26
2.4.3. 국외 합성감미료 섭취량 평가 현황 30
제 3 장 국내 유통 식품 중 4종 합성감미료 분석 33
3.1. 서론 33
3.2. 연구방법 36
3.2.1. 시약 및 기기 36
3.2.2. 합성감미료 분석시료 선정 및 구입 39
3.2.3. 합성감미료의 동시분석방법 41
3.2.3.1. 저지방 시료 전처리 41
3.2.3.2. 고지방 시료 전처리 42
3.2.3.3. HPLC-ELSD 44
3.2.4. 분석법 검증 49
3.3. 결과 및 고찰 53
3.3.1. 매질별 분석 신뢰도 53
3.3.1.1. 직선성 53
3.3.1.2. 방법검출한계 및 방법정량한계 56
3.3.1.3. 정확도 58
3.3.1.4. 정밀도 61
3.3.1.5. 측정불확도 65
3.3.2. 국내 유통 식품 내 합성감미료 함량 67
제 4 장 합성감미료 위해 평가 79
4.1. 서론 79
4.2. 연구방법 81
4.2.1.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4시간 회상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평가 81
4.2.2.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섭취빈도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평가 84
4.2.3. 24시간 회상자료와 식품섭취빈도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평가 비교 86
4.3. 결과 및 고찰 88
4.3.1. 합성감미료의 성별 및 연령별 위해 평가 88
4.3.2. 24시간 회상자료와 식품섭취빈도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결과 비교 104
제 5 장 요약 및 결론 112
참고문헌 117
부록 131
부록 1. 국내 합성감미료 사용기준 및 규격 131
부록 2. 국외 합성감미료 사용기준 및 규격 136
Abstract 18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201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카린나트륨-
dc.subject아스파탐-
dc.subject아세설팜칼륨-
dc.subject수크랄로스-
dc.subject섭취량 평가-
dc.subject.ddc641-
dc.title합성감미료 4종에 대한 섭취량 평가 연구-
dc.title.alternative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four artificial sweetener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