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방암 여성을 위한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a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선-
dc.contributor.author김혜숙-
dc.date.accessioned2018-05-28T16:00:57Z-
dc.date.available2018-05-28T16:00:57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3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050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8. 2. 이명선.-
dc.description.abstract유방암 여성의 성건강은 암의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중대한 손상을 입으며, 이는 유방암 여성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그동안 유방암 여성의 성문제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과 중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유방암 여성을 대상으로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으로 설계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성 특성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특히 PLISSIT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포괄적이고 정확한 성에 대한 정보제공, 운동 중재, 의사소통 훈련, 성감대 찾기와 감각집중 훈련, 미용교육 등을 포함하였다. 중재 방식은 그룹 중재와 개별 전화 상담을 병행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유방암 진단을 받은 지 5년 미만으로 배우자가 있고 유방재건술을 하지 않았으며, 스스로 성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여성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군 24명과 대조군 2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2017년 연구자가 직접 제공하였으며, 실험군은 주 1회, 90분씩 총 4회의 그룹중재와 2번의 전화 상담을 받았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을 대상으로 중재 직전 사전조사와 중재 후 1주차, 5주차에 성기능, 성 디스트레스, 신체상, 부부친밀감, 성지식을 측정하였다. 대조군도 실험군과 같은 시점에 동일한 변수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성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χ2 test, t-test,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였다. 두 군의 종속변수 차이 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기능은 중재 후 1주차에 집단과 시간 경과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4.459, p=0.040), 중재 후 5주차에는 차이가 없었다(F=0.748, p=.391).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 디스트레스는 중재 후 1주차와 5주차 모두 집단과 시간 경과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8.586, p=.005
-
dc.description.abstractF=4.837, p=.033).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상은 중재 후 1주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2.512, p=.120), 중재 후 5주차에 집단과 시간 경과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739, p=.012).
4) 실험군과 대조군의 부부친밀감은 중재 후 1주차와 5주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0.003, p=.957
-
dc.description.abstractF=0.478, p=.49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지식은 중재 후 1주차와 5주차 모두 집단과 시간 경과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7.661, p<.001
-
dc.description.abstractF=11.542, p=<.001).

결론적으로, PLISSIT 모델 기반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유방암 여성의 성기능을 향상 시키고, 성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신체상과 성지식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는 보다 간소화된 성건강 증진 중재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유방암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유방암 여성의 성건강 6
2. 성건강 중재 프로그램 구성 15
3. PLISSIT 모델 기반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 20
Ⅲ. 개념적 기틀 및 가설 24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24
2. 연구의 가설 27
Ⅳ. 연구 방법 29
1. 연구 설계 29
2. 연구 대상자 30
3.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 적용 32
4. 연구 도구 36
5. 연구 진행 및 자료수집 방법 40
6. 연구자의 준비 42
7. 연구의 윤리적 고려 43
8. 자료 분석 방법 44
Ⅴ. 연구 결과 45
1. 사전 동질성 검정 45
2. 가설 검정 52
Ⅵ. 논의 62
1.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62
2.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67
3. 연구의 의의 69
Ⅶ.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4
부록 94
Abstract 12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9093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방암-
dc.subject성건강 증진 프로그램-
dc.subject성기능-
dc.subject성 디스트레스-
dc.subject신체상-
dc.subject부부친밀감-
dc.subject성지식-
dc.subject.ddc610.73-
dc.title유방암 여성을 위한 성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a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ye Sook-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